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정식 시에 나타난 민족의 형상 - 조국건설의 과제 앞에 선 한 해방기 지식인의 특별한 선택과 그 시적 투영

        정명교 ( Myeong-kyo Jeo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4 No.-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Emancipation Period (1945-1950) were fac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build the new independent state. Seol Jeong-Shik, one of the most active intellectuals of the time, approached this tas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demp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saw poetry as the optimal medium. The basis for his thoughts and devices were as follows: 1. The task of people``s redemption originated from his judgement that the Korean People did not have an authentic figure for the new era. 2. It seems that in Seol``s thought, the authentic figure of the people was not that of a specific tribe but rather represented universal humanity, although its concrete aspects were not yet determined. 3. He believed that to arrive at the authentic figure, Korean people should be at once entirely denied and entirely respected. They should be entirely denied for their resurrection, but should also be entirely affirmed as they would rescue themselves without others`` intervention. 4. For the achievement of this re-birth of Korean People through the simultaneous directly-opposed self-identifications, Seol considered that the intellectuals had to take a role of the catalyst who was willing to be sacrificed by the people in return for his severe reproach to the latter, and, by this sacrifice, make them realize their fault and stand out toward self-remediation. Seol came thereby to presume the achievements of Jesus Christ as the symbol of the intellectuals`` task. 5. At the same time, he took the poetry for the optimum medium of the intellectuals`` task for the self-awakening of the people. Therefore, his poetry was composed basically by the oxymoron that included both the statement and counterstatement about the people. This oxymoron put the multi layered meanings and the complex resonances on his poems.

      • KCI등재

        김현 비평에 있어서의 고향의 문화사적 의미

        정명교(Jeong Myeong-Kyo)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현의 고향이 진도와 목포라는 두 장소로 나뉘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김현의 고향 체험이 그의 정신적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러한 영향이 그의 비평적 태도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폈다. 우리의 고찰에 의하면, 김현은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즐거움을 만끽했던 진도를 떠나 목포로 이사하면서 사회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진도의 체험은 그에게 감각적 쾌락을 제공하고, 목포의 생활은 그에게 사회적 윤리를 요구한다. 이 두 가지 정신적 지향의 갈등은 그에게 문학을 선택하게 하고, 문학을 통해서, 그는 사회적 현실원칙에 저항하는 감각적 쾌락의 의미를 보전하고, 그 언어적 실천들을 섬세히 감식하는 비평가로서 자라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원칙과 쾌락원칙 사이의 갈등은, 김현에게 있어서 좀 더 복잡한 맞물림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그는 현실원칙에 대항하여 쾌락원칙을 추구한 게 아니라, 현실 원칙 및 그 원칙의 실제적 삶의 양상들에 감각적 매력을 부여하여, 그것들을 호기심 및 탐구의 대상으로 바꾼다. 그러한 변환의 밑바닥에는 그가 어린 시절에 행한 무의식적 작업이 개입되어 있는데, 그 무의식적 작업이란 정신의 활동성으로 하여금 사유를 앞지르게 하고, 음운론적 혹은 문법적 모호성을 활용한 의미의 치환을 통하여 현실원칙(신성성으로 대표되는)의 사항들에서 무거움을 덜어내고 그것들을 낯설어서 궁금한 것으로 만드는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한 작업을 통해, 현실원칙은 단순히 따라야할 엄격한 윤리가 아니라, 주체가 스스로 제것화해 개발시켜 나가야 할 미지의 것이 된다. 이러한 전환은 섬세한 감각적 음미를 즐기면서도 그것을 어김없이 반성적 사유(현실원칙의 거울에 비추어진)로 이끌고 갔던 그의 비평적 생애의 근본 모형으로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tried to look for the childhood experience of the critic Kim Hyun and its influence over his criticism. Kim Hyun's childhood in Jindo Island, his birthplace, was fulfilled by the enjoyment of the romping in the forest and on the beach. Since he moved to Mokpo in his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he entered the world of socialization, and needed to learn the way to observe the social disciplines instead of enjoying the nature. This change oppressed him, and he began to realiz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desire for the sensual pleasures in nature and the demand of the principles of the reality. The perception of this discordance led him to the literature. When reached full age, as a literary critic, he became a delicate connoisseur of the descriptions and the expressions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and had defended the sensual feast of the literature against the symbolic system of the society which includes norms, inhibitions, oppressions, punishments… Then his criticism evolved gradually to the more complicated level. He was not obstinate in pursuing the principle of the pleasure fighting against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he turned the latter and its real items into the objects for inquiry and for curiosity by putting proper values and, in addition, proper bewitchment on them. This modification had its ground in his work of the unconsciousness in the childhood which had reduced the heaviness of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represented by the obedience to the divinity. His work of the unconsciousness transformed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into what was strange, and therefore, what he wanted to know, by making the excess of the speed of his mental activity and by semantically displacing the word 'divinity' through the exploitation of homophonic ambiguity. With this unconscious work,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became attractive and gave the heuristic pleasure to Kim Hyun. He appreciated the value of the reflection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and sought the projection of the reflexive activity on the literature. His criticism propose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sensual pleasure and the reflexive thought, arriving at the dreaming of the literature, to be presented as the suffering of the world by the writing itself: the very thing for enjoyment.

      • KCI등재

        비판의 요건으로서의 교양과 실증 그리고 윤리 : 곽광수 교수의 김현 비판 검토, 혹은 김현의 서양이론 변용 알고리즘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샘풀이

        정명교 ( Jeong¸ Myeong-ky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3

        평론가 김현의 작고(1990년 6월) 3개월이 지난 후, 곽광수의 김현 비판이 발표되었고, 여러 번 매체를 달리 하며 보완되었다. 곽광수 비판의 핵심 내용은 김현의 바슐라르 이해가 잘못 되었다는 것이다. 곽광수가 바슐라르 연구의 권위자라는 평판에 힘입어서 이 비판은 국어국문학계에 널리 유포되었으며 김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유보적이거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필자는 곽광수의 견해에 전혀 동의하지 않았으나, 두 학자 모두에게 배운 사람으로서 이 문제에 침묵하는 게도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30년이 지난 지금 돌이켜 보니, 이 침묵이 결국은 김현의 외국문학 이해에 대한 왜곡된 평가를 넘어서 김현의 문학이론 자체를 곡해하는 풍토를 조장하는 데 한몫을 한 꼴이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이 논문에서 곽광수의 김현 비판이 잘못된 추론과 부족한 지식, 그리고 실증적 훈련의 미흡 등 기본적인 연구 능력의 미달로 인해 잘못 출발하고 잘못 전개되었다는 점을 조목조목 짚었다. 이 반박이 궁극적으로 김현의 문학이론 전반에 대한 온당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국어국문학계의 외국이론 이해의 증진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ree months later of the death of Kim Hyun(June 1990), Kwak Kwang-soo, one of companions of the deceased, have criticized the Kim Hyun’s way of the recep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literary theory and the philosophy of the science of Gaston Bachelard. The main point of his criticism was that Kim Hyun’s comprehension of bachelardian theory had distorted it, caused by the misreading of the arguments of our great philosopher of the imagination. Kwak’s criticism has influenced broadly on the researchers of Korean Literature grounded on the reputation that Kwak was the one who knows most about Bachelard. Furthermore, it has led to the negative evaluation about Kim Hyun’s literary theory. I have not agreed with the Kwak’s assertations even from the first. But considering the properly Asian attitude not to put in the problems between persons that equally had taught me in School, I have kept the silence. However, looking backward last 30 years, I realize, my humble attitude has let the misunderstanding about Kim Hyun’s literary theory spread recklessly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ctify this atmosphere. So in this article, I try to prove that Kwak’s insistence against Kim Hyun is absolutely wrong, through three stages of investigation: (1) Wrong construction of the problem by the defective citation from Kim Hyun’s statements; (2) ignorance or misunderstanding of the Key concepts of Bachelardian theory, i.e. ‘deduction’, ‘induction’, and ‘enveloppement’; (3) ignorance about the abundant examples which Bachelard had applied himself of the concept ‘enveloppement’ both in the theory of imagination and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in Bachelard’s works. I hope that this demonstration serves as momentum where the misunderstanding about the Kim Hyun’s reception of Bachelard would be resolved and the researchers’ weird attitude towards the Occidental theory would be corrected.

      • 한국적 서정시를 태동시킨 김영랑의 시와 박용철의 시론

        정명교(Myeong Kyo JEONG)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7 다산과현대 Vol.10 No.-

        오늘날 상당수의 한국시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시쓰기의 양태인 이른바 ‘한국적 서정시’는 1930년대 김영랑과 박용철에게서 발원하였다는 게 이 글의 전제이다. 필자는 김영랑의 시와 박용철의 시론을 통해서 그들에 의해서 ‘기다림’의 시학이 형성되었음을 밝히고, 이어서 그러한 태도의 역사적 맥락과 그 의미를 찾았다. 김영랑의 대표작인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 ‘모란’은 피었다 지는 걸 반복한다. 그리고 시의 화자는 모란이 피었을 때 이미 꽃이 질 걸 예상하고 “비로소 꽃을 여흰 설움”에 잠기겠다고 말한다. 이런 ‘꽃 지는 때’의 예상 때문에 그가 기다리는 모란이 꽃피는 때는 “찬란한 슬픔의 봄”이 된다. 그리고 시인이 기다리는 것은 바로 이 찬란한 슬픔의 봄이다. 이러한 시적 진술을 꼼꼼히 살피면 ‘모란’을 조국 광복으로 이해하는 종래의 해석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에서 중요한 것은 ‘모란’의 정체가 아니라 ‘기다림’의 태도 자체를 삶의 원리로 삼았다는 사실이다. 그 태도는 기다림의 자세를 가다듬으며 오실 이를 맞이할 자세를 닦는 데서 의의를 얻는다. 이와 비슷이 박용철은 그의 시론 「시적 변용을 위하여」에서 ‘절차탁마’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는 그것이 시적 성취를 얻으려면 시의 정령이 가브리엘이 ‘수태고지’를 하듯 시의 완성을 ‘염화시중의 미소’로 점지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시론 역시 김영랑의 시적 태도와 근본적으로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태도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무엇보다도 3.1운동의 좌절이 핵심적인 진원이다. 이로 인해 자주적 근대화의 불가능성에 직면한 조선 지식인들의 상당수는 근대에 대한 추구를 포기하고 ‘조선심’, ‘조선적인 것’ 등 상상의 모국으로 회귀하였다. 그러나 근대에 대한 추구를 포기하지 않은 사람들도 많았다. 그러나 그 추구의 방법은 폐색된 채로 있었다. 그렇다면 불가능성 앞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한국의 근대시는 바로 그 문제에 대해 가장 적극적인 대답을 하면서 형성되었다. 김소월과 한용운은 먼저 그러한 추구와 불가능성을 동시에 끌어안고 어느 것도 외면하거나 포기하지 않으면서 둘 사이의 팽팽한 긴장을 형성하였다. 그들에게는 ‘시간의식’이 부재했기 때문에 그 긴장을 최고도로 유지하는 데서 시적 형상을 얻었다. 다음 세대인 김영랑과 박용철은 거기에 시간을 넣은 방법을 고안하였다. 즉 불가능성이 하염없이 지속되는 부동의 시간에 ‘기다림’의 자세를 집어 넣어 그들이 소망하는 이상이 ‘도래할 것’에 대한 믿음을 유지시킬 힘을 얻는 것이었다. 다만 그 이상이 도래할 때, 도래하실 ‘임’에 합당한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기다림의 자세를 갈고 닦아야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일제에 굴하지도 않고 허망한 과거에 매달리지도 않으면서 현실을 의연히 견디어내면서 자신의 내실을 다지는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와 같은 ‘공덕 쌓으며 기다리는 의연한 기다림’의 시학이 이때 만들어졌으며 그것은 훗날 한국시의 가장 중요한 흐름을 이루게 된다. I suppose that the poems of KIM Yeongrang and the poetic theory of Park Yongcheol formed the beginning of the ‘Korean Lyric Poetry’ that have been produced by the large majority of the Korean Poets after them. I had clarified at first that two companions made a ‘poetry of waiting’ as a great foundation of Korean Poetry, and subsequently I trac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is poetic tendency and its meaning. In “Till the peony comes into bloom”, a major work of Kim Yeongrang, the flower repeats the circle of the inflorescence and fall-off and the Poetic narrator, anticipating in advance its fall-off in the moment of the bloom of a peony, says that he will be in the sorrow due to the its loss. By these anticipations, the spring in the florescence of the peony becomes that of the “glittering mourning.” The narrator waits the spring of this nature, not the spring itself. On these poetic dictions, we can judge that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about this poem that the peony is the metaphor of the homeland, is irrelative. Because it is illogical that the poet would hope the circle of the loss - recovery of his country. The important thing in this poem is not the identity of the peony but the fact that the poet established the consistent attitude of full-hearted waiting in the cycle of the flower as the principle of the life. Similarly, his friend Park Yongcheol claims in his essay, “On the Poetic Transformation” that the poet should wait the instant of the poetic perfection in the endless refinement of the language and this moment arrives as the Annunciation. The poem of Kim and the theory of Park share the same literary perspective. From where this view has been originated? Above all, the failure of march.1st 1919 movement for independency is the first seismic center. By it, most of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the men of letters) under the colonial subordination were frustrated deeply. Many of them abandoned the pursuit of the modernity that had incited them to fight for the ‘independency of the state’ and the ‘autonomy of the Korean People’ and sank into the possessed indulgence in the Chosun’s proper qualities which were supposed imaginarily. While the Korean intellectuals who did not the pursuit of the modernity should have faced with the impossibility of the achievement of their hope. Kim Sowol and Han Yong-un, poe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of Kim Young rang composed the tragic vision maintaining exhaustively the tension between hope and despair. In their poems, the Time was absent. Kim Yeongrang and Park Yongcheol have opened the time of endurance and have modified the feeling of despair into the willing for the hope by the patient and devoting waiting. This attitude formed a so influential poetics, which so many poets of their post-generation have followed.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서 서정성의 확대가 일어나기까지

        정명교(Jeong Myeong-Kyo) 한국시학회 2006 한국시학연구 Vol.- No.16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he formative process of Korean lyricism of 1920s. First of all, I set forth as premises the following propositions. (1) The lyricism, as we understand these days, is a set of particular affects and attitudes about the world including peculiar aesthetic and linguistic points of view that had been constructed by the romanticism of 18-19th century of Europe. Especially, it is distinguished by the literary genre triad: the epic, the lyric and the dramatic. (2) Like all the cultural materials entered from the Outside, the lyricism was also strange to Kore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it was very difficult to be received as it was by Koreans. The Korean poets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the earnest desire for establishing new modern poetry in Korea based on the model of the Western literary forms. That is, they tried to recreate the Western poems with Korean language. But they met the resistance of the traditional emotions, attitudes and aesthetic points of view. This situation came in effect to formation of singular forms of Korean poetry different from Western lyric poetry in two directions. Judging from my analysis, I conclude: (1) Manhae(Yong Woon HAN)'s poetry joined the Western poetry in a sense that it included the ‘consciousness of the self.’ But this coincidence is only that of outward appearance. In fact, his poems were created through other process different from the transplantation of Western poetry. I presume that his poetry was a result of the overdetermination of three sources at least: First, the fact that Korea was, in the cultural dimension, the colony of the colony; Second, the Buddhism as moral philosophy; Lastly, the Koreans' unique world view of which we can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innaecheon’, i.e. ‘man and god are same’) from the ‘Donghak Sasang(Eastern Philosophy).’ (2) So Weol KIM saw through the essence of Western lyric poetry: ‘disaccord with or alienation from the world.’ But He also felt keenly the resistance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emotions. His poetry was not created through the mechanic application of Western poetry with Korean language. Korean traditonal forms of culture were utilized to make possible the settlement of Modern lyricism. The result was that he built an exceptional aesthetic feeling about parting, i.e, ‘Zeuryeoparbko Kasiopsoseo(Leave over leaves).’

      • KCI등재

        특집논문 : 위기가 아닌 적이 없었다. 그러나 때마다 위기는 달랐다: 위기 담론의 근원, 변화, 한국적 양태

        정명교 ( Myeong Kyo Jeo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위기’ 담론에 대해 다음의 사항들을 추론하였다. 첫째, ‘위기’라는 개념은 인류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하였고, 동시에 오늘날에도 아주 빈빈히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다는 것은 ‘위기’가 모든 인류가 공유하고 있는 정신적 영역에 속하면서 항존하는 개념임을 가리킨다. 둘째, 그러나 ‘위기’라는 개념은 시대에 따라서 다른 의미를 가진다. 고대의 ‘위기’ 개념이 얼마간 예측 가능한 결정적 변화가 임박한 상황에 대한 지칭이라면 근대에 와선 예측불가능하게 쉼 없이 닥치는 항상적인 요동 상태가 그것을 대신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의 변화의 근저에는, 그 표면적인 현상이 암시하는 재앙적인 분위기와는 달리, 근대적 주체로서의 인간들이 세계의 변화를 자신의 몫으로 돌리고자 하는 의도가 자리 잡고 있었다. 즉 위기는 근대인들에게 닥친 불가항력의 재앙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근대인들이 세계의 주도권을 쥐고 세계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기 위한 기획이었다는 것이다. 셋째, 따라서 근대의 위기는 근대인들이 세계를 변화시켜 나가는 과정, 즉 그들의 생체험이 최고의 밀도로 실험되는 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인들은 이 생체험의 밀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자신들의 몸 안에서 찾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감각이었다. 즉 ‘기획으로서의 위기’는 ‘감각의 탄생’으로 이어졌고, 이 과정을 통해, 인류는 위기를 치러내는 과정을 자연스런 일상사로 만들고, 변화를 수행하는 살아있는 주체의 존재태를 자신의 육체 안에 내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어서 필자는 위기 개념이 근대 이후 한국인들에게도 똑같이 하나의 기획으로 받아들여졌음을 다양한 문헌들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것은 한반도의 문인들이 근대 문명의 한 양태를 통해 피식민지인이 되는 치욕을 겪었는데도 불구하고, 근대의 원리 자체는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가리킨다. 다만 이러한 기획이 자연스런 감각으로 이어지기가 어려웠다는 것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것을 결정적으로 확인시켜주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세계구성적 주체로서의 체험을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치러낸 4ㆍ19세대들, 즉 최인훈과 김승옥의 소설들이었다. 이렇다는 것은 한국에서의 근대가 서양에서처럼 자연스럽게 출현할 수 없으며 따라서 특별한 방법적 고안을 통해 근대를 제것화하는 경로를 통해야만 서양의 근대화과정과 경쟁할 수 있는 나름의 근대화체제를 갖출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필자는 근대 초엽 즈음의 문학인들에게서 그러한 방법적 고안의 노력을 찾아보았는데,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는 극단적으로 대조적인 두 가지 응답을 들려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한용운의 태도를 ‘질 수 없는 자의 신비주의’로, 그리고 김소월의 그것을 ‘질 수밖에 없는 자의 현실주의’라고 명명하고, 근대 이후 한국의 지식인 및 문인들의 위기에 대한 근대적 기획은, 대체로 ‘질 수 없는 자의 신비주의’ 쪽으로의 쏠림이 두드러진 가운데, 두 태도 사이를 요동해 온 것으로 판단했으며, 그러한 요동은 오늘날까지 지속되어 온 것으로 파악하였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origin and the change of meaning of the concept ‘crisis’ and demonstrated its change of meaning, as follows:The concept ‘crisis’ has been used broadly by the humanity from remote antiquity to our days. It means that this concept has been permanently functional i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humanities. However, the meaning of this concept has been varied with the passage of time. While, in ancient times, the crisis meant the somewhat predictable, critical moment on the brink of the change of any situation, modern men see the crisis as unpredictable and continually approaching state of big catastrophes. Despite of the negative appearance of anxiety, fear and chaos, what lies under this change of meaning was the will of modern men who wanted to take the initiative of and credit for the world`s changes and to prove themselves to be the constitutive subject of the World. That is, what appeared to be the inevitable catastrophe against the modern men has actually been the optimum opportunity for modern men to realize this will. In this sense, the crisis, for the modern society, is not the disaster but the project of the modern men to proactively accelerate the changes of the world. The modern men found the organ inside their body to signify the extent of the organic experiment, i.e., the experience of realizing their will to the cranial nerve, and, subsequently to the consciousness and feeling. This organ was the sensibility. With the birth of the sensibility, the crisis was rooted in the ordinary life of mankind. After these examinations, I turn the question to the sense of crisis of Korean intellectuals since the encounter with the Modern Civilization. The Korean intellectuals took the severe shock from the Western civilization which swept them as the chance for setting up themselves on the stage as the modern subjects. Their intention couldn`t be realized naturally because the ‘implanted’ modernity needed time for maturation and the colonization by a modernized neighboring country plainly pressed Korean people against the will to accept the Modernity. As such, Korean intellectuals had to find a way to their own methodology to adjust on the Modernity. I was able to extract such attitudes from two poets, Kim So Wol and Han Yong Un. These two attitudes upon the situation of crisis can be named respectively ‘mysticism of man who denies the loss’ and ‘realism of man who is obliged to lose’. I reasoned that not only these two attitudes were the basic attitudes of the Korean intellectuals, but also they obsessed Koreans` judgments and actions even until now.

      • KCI등재

        디지털과 문학 사이 – 융합의 사례 분석과 전망

        정명교(Jeong Myeong-kyo)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1 No.-

        이 논문은 문학과 하이퍼텍스트의 융합의 필연성을 밝히고 그 한 사례를 소개, 분석한 것이다. 필자는 문자문화와 디지털 문화가 서로를 참조할 수밖에 없는 까닭을 설명하고그 상호참조의 인류학적 의의를 문학의 본성에 근거해 풀이하였다. 인류학적 의의라 한것은, 이 상호참조가 단순히 유희적이거나 실험적이라기보다 인류 문명의 바람직한 진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을 가리키기 위해서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이 일은 그만큼 어렵고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것을 필자는 ‘죽음을 담보로 자기 변혁을 꾀하는’ 문학의 최첨단적 실천이 문학의 근본적 본성에 해당하기 때문임을 밝혔다. 필자는 이러한 상호참조의 뜻에 비추어, 필자가 직접 시도했던 두 문화의 융합의 사례, 즉 ‘언어의 새벽: 하이퍼텍스트와 문화’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헤어 보았다. 이 사례는 ‘최초 의’ 시도라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가 있었으나 그 실제적인 전개는 실패로 규정되었다. 필자는 그 실패의 의미를, 하이퍼텍스트이 방향에서, 문학의 방향에서, 그리고 제도의 방향 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향후 다시 이러한 시도가 집단적인 차원에서 재개될 때 유의미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I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ultures and literature and the anthropological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In my opinion, the literature has been dreaming on the state of hypertext so that it could overcome the limit of the linearity of the letter and acquire all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through the infinitely free writing. From the side of Hypertext, since its apparition, it has been continued to refer to the mode of being of the literature because that in the hypertext, users can easily lose their identities even if they do the hypertext practice in the desire of self-fulfillment by the effect of hypertextualization which leads the individuals to the continuous moving and deconstruction of the identity. So, it’s necessary to try to synthesize literature and hypertext and create new mode of art with texts. But this dialectical practice is very hard to be realized by the fact that it makes it necessary for the literature to approach close to its limit so that it would demand the its death for the renewal, and it also brings the hypertext users about the uncomfortable feelings through the self-reflection by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practice.In 1999 I made a first attempt in Korea of this sort of fusion through the Project named ‘The Daybreak of the language: Hypertext and Literature’ as the public servi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 look back on this experience for the examination of the achievement and the failure of this project and the obtainment of the lesson for the future challenge.

      • KCI등재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향한 문학적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교류 텍스트 구성과 번역을 중심으로

        정명교 ( Myeong Kyo Je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필자는 2013년 9월 1일 프랑스 엑상 프로방스에 도착하여 11개월 체류하며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문학적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제 수행을 위해 초청기관인 엑스-마르세이유 대학의 ‘아시아 연구소’(IRASIA), 그리고 엑상프로방스에 설립된 한국문학 전문 출판사인 Decrescenzo 출판사와 긴밀히 교류하였고, 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다달았다. 한국문학은 그 매체가 철저히 지역어에 국한되어 있다는 특징 때문에 세계의 독자들에 의해 수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곤란에 직면하였다. 이 난제를 타결하기 위해 한국문학은 불가피하게 번역이라는 매개 장치를 도입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문학을 세계에 널리 알리려는 번역자들의 노력에 의해 한국문학은 유럽의 독자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문학에 대한 세계 독자의 인지도는 아주 낮은 상태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한국문학에 얼마간 호의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던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조차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은 점차로 높아졌다기보다 거꾸로 하강 추세에 놓여 있다. 이렇게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지지부진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특히 한국문학의 맥락에 대한 이해의 절대적인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다시 말해, 한국문학을 하나의 일련의 역사적 흐름으로 이해시키는 문학사에서부터 시작하여, 한국문학을 한국사 및 한국사회의 구도 안에 위치시켜 한국인들의 일반적 정신현상과 연결시키는 한편, 한국사회와 한국사를 세계사의 일반적 흐름과 지형 내에 위치시켜 한국인들의 삶을 세계인의 삶의 영역 안으로 진입시키는 작업이 지극히 결핍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문학을 세계문학의 구도 내에 위치시키는 데에 한국문학작품의 수준과 특성 외의 광범위한 주변 조건들의 충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기획에서부터 구체적인 실행 방책에 이르기까지 전면적인 재검토와 변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 역사적(정치경제사적) 층위, 문화적 층위, 교섭사의 층위, 순문학적 층위에서의 주변 텍스트의 적극적 개발 2. 세계인들에 의한 한국문학 수용 양태의 분석과 수용 방식의 변화를 위한 방안을 상호간 이해 가능성의 시각에서 모색. 3. 출판 기획에서부터 시작해 일반 독자의 손에 쥐어지기까지의 한국문학의 전 유통과정에서 한국문학이 분명한 이정표 하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의 구축. I have stayed from the September 1 2013 to August 1 2014 in Aix-en-Provence of France for the Sabbatical year. During this period, I’ve connected with the diverse researchers of the East-Asian Culture and Literature and some publishers who have published or are publishing now the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by French and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publishing house of the Decrescenzo which had been founded in order to spread the Korean Literature. I have inspected the circulation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and Korean cultures and I saw against my hope, the miserable degree of the reception of Korean literature by French readers. There was above 20 years that the Korean literature presented oneself at the book market in Europe, and since above 10 years the European people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e K-Pop music and Korean dramas. Nevertheless the Korean literature is far from the horizon of the expectation of European readers. In the background of this situation, there are several causes which constraint the dissemin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the aesthetic values of Korean literature. First of all, the European cultural field is barely furnished with the mediating dispositifs, especially books which could explain the Korean literature systematically in the context of Korean History and in the interrelations with other literatures and so hence could help the European readers to understand the Korean literature and realize solidly the experiences and the troubles in the Korean Literature. Secondly, the European media is hardly interested to the Korean literature and moreover, they was in the state of the overwhelming unknowingness of that. This situation is associated with the respective disinterest about the Korean culture against the two big East-Asian cultures and also with the fact that even well-known Korean cultures aren’t estimated highly in the spiritual qualities of culture, so therefore aren’t venerated as important references. Thirdly, the personnel in the circulation system of the cultural things including the booksellers aren’t prepared with the ability to present Korean literature to the public. They have no manuals to do it in spite of the increase of the will about the more vending of Korean literary works. To struggle these irritated situations, we should endeavor after not only the expansion of the aesthetic values of the Korean literature, but the opening the traffic for the clear and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the realistic experience of that literature. This way, above all, demands the multiple publications of the manuals about the Korean literature including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In addition to it, we should grope for the linking between the enjoying of the Korean mass culture and the hopefully enthusiastic reading of Korean literature. Lastly, we should try to resettle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literature to the direction of Korea-friendliness.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내재한 동양적인 것의 작용 양상

        정명교 ( Jeong Myeong-ky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2

        필자는 요 근래 윤동주의 고유한 특성으로 알려져 있는 ‘내면 성찰’이 실은 상호주관성을 모색하는 과정이었음을 밝히고 그에 이어서 윤동주 시들 자체가 상호텍스트성을 내장하고 있다는 점을 규명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윤동주 시의 상호 텍스트성은 서양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의 공존과 교섭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윤동주는 기독교인이었고 서양식 근대교육을 받았다. 따라서 윤동주의 지적·문학적 사유는 절대적 타자를 향한 갈구와 개인주의적 윤리에 의해 이끌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그의 시를 잘 살펴보면 동양의 문헌이나 경험으로부터 온 사실들이 그의 서양적 사유에 겹쳐져 있다는 것이 흔히 발견된다. 그들은 병존하면서 동시에 특정한 교섭을 통해 독특한 문학적 형상을 빚어낸다. 그 모색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서양적인 문화에 지배적인 성격을 투사하고 동양적인 것에 조선인의 경험을 싣는 방식이다. 조선인의 역사적 고난을 문화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서양적 문화형의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둘째, 동양적 덕목을 서양적 윤리로 변형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동양적 덕목의 핵심 사항이 서양적 윤리의 특정 항목으로 ‘변위’되는 일이 일어난다. 가령 「서시」의 핵심 구절,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은 “맹자의 ‘앙불괴어천(仰不塊於天)’에서 빌어온 것이 최근 밝혀진 바 있다. 그런데 그는 동양적 덕목의 ‘보편성’을 개인 윤리의 ‘철저성’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근대적 태도의 하나의 극점을 가리키는 데 활용하였다. 이 변위를 가능케 한 것은 ‘보편성’과 ‘철저성’이라는 두 태도가 공유하고 있는 ‘남김없이 빠짐없이 모든 것에 적용된다는 성질’이다. 이런 방식을 통해서 윤동주는 동양적 사유를 서양적 문화형에 맞도록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서양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을 중첩시킴으로써 제 3의 문화형 혹은 윤리를 만들어내려는 시도이다. 이때 동양적인 것은 서양적인 것의 결함을 비추는 거울로 기능하면서 동시에 그 자신의 완미함을 미루는 대신, 동양적인 것의 존재만을 남긴다. 즉 서양적인 것의 대안으로서 가정된 특정한 동양적 내용을 내세우는 게 아니라(이것은 바로 일제의 근대 초극의 논리와 대동아 공영권의 구상이 빠졌던 환상이다), 서양적인 것의 결함을 넘어설 수 있는 비서양적 존재만을 세우는 것이다. 그것이 「간」에서 토끼가 보여준 자세이다. 아쉽게도 이 세 번째 방식이 실제로 성취한 제 3의 문화형 혹은 윤리는 윤동주의 시에서 보이지 않는다. 그의 요절이 정말 안타까운 또 하나의 까닭이다. For the last 2 years, I have tried to find the intersubjectivity in Yoon, Dong-ju’s poetry which has been usually known as purely introspective. This article also continues to prolong the same work so that I attempt to exa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Occidental and the Asiatic. So far, the most researches on Yoon, Dong-ju have considered the Christianism and the Modern education as the basis of Yoon, Dong-ju’s spirit and poems. But the Confucian ideas and the traditional cultures also haunt persistently the poet’s meditation and intervene into his thought to bring consequently unique poetic effects by compounding the Occidental (or the Modern) and the Asiatic (or the Traditional). I could find 3 ways of these mixings. Firstly, the antithesis between the Cultural from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Empirical through the indigenous experiences of the Korean people. This opposition lead to open the cultural possibility of the Korean or Asian empirical facts. Secondly, the transformation of the Asiatic virtues into the Modern ethics by an special technique which might be called ‘the displacement of the linguistic energy level.’ For example, in “Prologue” the poet brought directly the phrase “” of Mencius. But he has displaced the ‘universality’ of the East virtues by ‘thoroughness’ of modern personal ethics. Therefore, Yoon, Dong-ju showed a successful trial of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Asiatic.’ Finally, the attempt to open a new prospect of the poet’s own world which is neither Occidental nor Asiatic by the superposition of two cultures. Unfortunately, I couldn’t the concrete content of this new world, that might be one of the sincerest regrets for his untimely tragic death.

      • KCI등재

        곡물 소재 팽화식품에서 장내 유익균의 증진 효과 분석 및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부착능 평가

        정명교(Myeong-Kyo Jeong),오도건(Do-Geon Oh),권오성(Oh-Sung Kwon),정준영(Jun-Young Jeong),이임식(Ym-Shik Lee),김광엽(Kwang-Yup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9

        본 연구에서는 공초점 주사현미경(CLSM)을 활용하여 장내 유익균과 국산 통곡물(whole grain) 소재들과의 부착을 통 해 생육환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서식공간을 제공받는 것을 시각화하고, 소재들의 프리바이오틱스 효과를 in vitro 배양을 통해 확인하여 통곡물 소재들로 제조된 프리바이오틱스 팽화식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하였고, 그 결과 장 속에서 장내 유익균 균총을 향상시켜 인체의 건강증진에 유익한 팽화과자 제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다. 선정곡물들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이 8.99~12.19%, 조회분 1.34~2.39%, 조단백질 7.34~15.38%, 조지방 1.84~8.12%로 함량이 분석되었고, 불용성 식이섬유 3.08~18.62%, 수용성 식이섬유 0.10~3.13%, 그리고 총 식이섬유 함량 5.26 ~21.36%로 확인되었다. 곡물분말의 프리바이오틱스 부착여부를 CLSM으로 관찰한 결과 곡물분말과 혼합된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곳곳에 산재되어 있었지만, 주변 유동액 층보다 상대적으로 곡물분말 주변에 부착되어 존재하였다. 선정곡물들의 장내 유익균의 증진에 활성 효과가 있음을 검증한 결과 L. acidophilus에서는 찰보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 값을 보였다.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에서는 귀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에서는 control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두드러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Bifidobacterium bifidum은 12시간 이후 흡광도 값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곡물 소재 동결건조 추출물 간의 장내 유익균 활성 정도를 비교한 실험 결과 L. acidophilus에서는 찰보리와 율무에서 가장 높은 생육증진 효과를 보였고 현미를 제외한 다른 곡물 모두 유의한 증진 효과를 보였다. L. delbrueckii subsp. lactis에서는 율무에서 가장 높은 증진 효과를 보였고,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에서는 찰보리와 찰수수에서 가장 높은 증진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B. bifidum에서는 찰보리와 찰기장에서 높은 증진 효과를 보였다. 팽화식품 제조 시 배합에 사용될 6종의 혼합곡물의 장내 유익균 활성 효과를 알아본 결과, 24시간 배양 시 L. acidophilus는 control에 비해 1.72배 이상 상승하였고, L. delbrueckii subsp. lactis는 1.89배,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는 1.66배 이상, B. bifidum는 1.47배가량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조된 팽화 과자의 색도 측정결과 L값은 치즈맛의 시즈닝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왔다. a값은 대조군이 적색에 가깝게, 시즈닝 첨가군은 녹색 쪽으로 나타났다. b값은 두 제품에서 크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팽화과자의 경도는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바삭거림은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dhesiveness of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to whole-grains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CLSM), to demonstrate the prebiotic effects of whole-grains, and to develop prebiotic puffed snacks with these whole-grains. CLSM has been used to observe the adhesivenes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which belongs to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to whole-grain powders using optical sectioning techniques. The enhanced effects on the growth of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with the hot water grain extract were verified using an indirect count method. Finally, a puffed snack was produced with the prebiotic effect and the quality was evaluated by checking the chromaticity and degree of hardness. As a result, L. acidophilus exhibited adhesive ability to whole-grain powders and growth of selected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e Hunter L value of the developed puffed snack increased when seasoning was added. The hardness of the puffed snack with season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puffed snack with seasoning was highly rated in the overall pre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