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역 후 천명환아의 기도내 세포양상 및 IL-8치

        정다은,김병의,정주영,김정연,마상혁,김창근,Jung, Da Eun,Kim, Byeong Eui,Chung, Ju Young,Kim, Jeong Yeon,Ma, Sang Hyuk,Kim, Chang Ke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홍역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 천명성 질환에서 기도내 세포양상과 화학주성인자IL-8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홍역 후 후기 폐 합병증의 병태생리를 밝히는데 도움을 얻고자 했다. 방 법 : 이전에 건강했으나, 홍역 폐렴 후 적어도 3회 이상의 천명으로 내원하여 고식적인 천명치료를 하였으나 이에 잘 반응하지 않아 기관지내시경을 시행받은 12명의 환아(홍역 후 천명군, 중간연령 1.3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은 홍역 감염 평균 6개월(1-15개월) 후 고해상 전산화 단층촬영(HRCT)을 시행 받았다.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는 총세포수와 세포분획을 분석하였다. IL-8 농도는 ELISA로 측정하였다. 이 결과들을 7명의 정상 대조아(대조군, 중간연령 7.4세)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기관지폐포세척세포의 비교에서 호중구 분획이 홍역 후 천명군에서 16.0%로 대조군의 3.8%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 그 외 임파구나 호산구의 분획은 양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T세포아형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서는 CD4+/CD8+비가 1/14.1로 CD8+이 현저하게 상승되어 있었다. 2) IL-8치의 비교에서는, 홍역 후 천명군($mean{\pm}SD$, $512.7{\pm}324.0pg/mL$)에서 대조군($41.7{\pm}67.7pg/mL$)에서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P<0.01). 3) BAL 호중구와 IL-8치의 상관성에 관한 분석에서 홍역 후 천명군의 BAL 호중구와 IL-8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16, P=0.001). 4) 의미있는 HRCT 소견으로는 모자이크성 관류, 기관지 확장, 기관지벽 비후 그리고 폐혈관 감소로 후기 만성 폐합병증 소견을 보여 주었다. 결 론 : 홍역 후 천명성 질환에서 기도내 호중구와 IL-8치가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호중구와 IL-8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역 후 천명의 병태생리에 기도내 호중구와 IL-8의 역할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lmonary cellular profiles and IL-8 levels in patients with post-measles wheezing. Methods : Twelve previously healthy infants with a minimum of three episodes of wheezing after measles pneumonia(Measles wheezing, median age, 1.3 years) were recruited by a retrospective examination of hospital records. They underwent bronchoalveolar lavage(BAL) with flexible bronchoscopy, and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HRCT) with a mean six(1-15) months interval. Comparisons were made with seven normal controls(Control, median age : 7.4 years). BAL cell counts and differentials were determined. IL-8 levels also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 The BAL cellular profiles were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ly increased percentage of neutrophils in the Measles wheezing group(median 16.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median 3.8 %)(P<0.01). IL-8 levels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Measles wheezing group($mean{\pm}SD$, $512.7{\pm}324.0pg/m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41.7{\pm}67.7pg/mL$)(P<0.01). Furthermore, IL-8 levels correlated significantly(r=0.816, P=0.001) with neutrophil percentages in BAL fluids in the Measles wheezing group. Abnormal HRCT findings were mosaic perfusion, bronchiectasis, bronchial wall thickening, and decreased vascular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ulmonary neutrophils and IL-8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he post-measles wheezing.

      • KCI등재

        Multimodal neuroimaging in presurgical evaluation of childhood epilepsy

        정다은,이준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8

        In pre-surgical evaluation of pediatric epilepsy, the combined use of multiple imaging modalities for precise localization of the epileptogenic focus is a worthwhile endeavor. Advanced neuroimaging by high fiel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iffusion tensor images, and MR spectroscopy have the potential to identify subtle lesions. 18F-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single photon emission tomography provide visualization of metabolic alterations of the brain in the ictal and interictal states. These techniques may have localizing value for patients which exhibit normal MRI scans. Functional MRI is helpful for non-invasively identifying areas of eloquent cortex. These advances are improving our ability to noninvasively detect epileptogenic foci which have gone undetected in the past and whose accurate localization is crucial for a favorable outcome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 KCI등재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에서의 다양한 요단백의 배설

        정다은,구자욱,Jung, Da Eun,Koo, Ja 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목 적 : 방광요관 역류증이나 역류성 신병증을 가진 요로감염 환아에서 다양한 요단백(${\beta}_2$ MG, microalbumin) 또는 효소(NAG)의 배설을 측정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나 역류성 신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및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이들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요로감염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아 중 방광요관 역류와 신반흔이 없었던 환아는 I군(n=30), 방광요관 역류증만 있었던 환아는 II군(n=12), 신반흔 및 방광요관 역류증을 같이 가지고 있었던 환아는 III군(n=34)으로 분류하여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 ${\beta}_2$ MG, microalbumin, NAG를 측정하였다.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가 낮은군(reflux grade I, II, III)과 높은군(reflux grade IV, V)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서의 요중 ${\beta}_2$ MG, microalbumin, NAG 값을 비교하였다. 방광요관 역류를 가진 46명의 환아 중 16명에서 방광요관 역류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방광요관 역류증이 소실될 때까지 매년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검사, VCUG, DMSA renal scan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의 microalbumin과 NAG는 III군에서 I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beta}_2$ MG는 각 군간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2)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에 따라서는 높은군(grade IV, V)에서의 NAG값이 낮은군(grade I, II, III) 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3)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요단백 및 효소의 수치 변화에 있어서는 microalbumin과 NAG가 방광요관 역류증이 완전히 소실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소아 요로감염 환아에서 역류성 신병증의 존재 여부 및 추적 관찰에서의 방광요관 역류의 소실여부를 예측하는데 microalbumin과 NAG의 측정이 유용하며, 특히 NAG는 방광요관 역류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cretion of various urinary proteins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urinary tract infection(UTI), with or without vesicoureteral reflux(VUR) or reflux nephropathy, and to identify means of predicting the severity of VUR or the presence of reflux nephropathy as indicated by these markers, and to know how these markers are changed after resolution of VUR. Methods : We studied 30 children with previous UTI, without VUR and renal scarring(group I), 12 children with VUR, without evidence of renal scarring(group II), and 34 children with VUR and renal scarring(group III). 24-hour or 12-hour urine ${\beta}_2$ microglobulin(${\beta}_2$ MG), microalbumin and N-acetyl-${\beta}$-D-glucosaminidase(NAG) were measured in each child. Urinary protein excre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R(mild VUR : a grade reflux I-III, severe VUR : a grade reflux IV-V). Cases of bilateral VUR were graded by the higher grade of reflux detected. A total of 46 children with primary VUR were followed. Among these patients, VUR was completely resolved in 16 children.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and DMSA scan were performed every year. Values for urinary markers were estimated every year. Results : 24 or 12 hour urine microalbumin and NAG excre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 I(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Urinary ${\beta}_2$ MG excre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Urinary NAG excretions were elevat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severe VUR compared to mild VUR($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After resolution of VUR, urinary microalbumin and NAG excretions were decreased(P<0.05). Conclusion : Urinary microalbumin and NAG may be useful clinical indicators to predict the presence of reflux nephropathy and the resolution of VUR. Especially, urinary NAG excretions may be used as a possible method to predict the severity of VUR.

      • IC-PO MPPT 방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의 MPPT 제어

        정다은,고재섭,이진국,정동화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2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This paper proposes incremental conductance(IC)-Perturbation & Observation(PO) method for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control of photovoltaic. Conventional Perturbation & Observation(PO) and IC MPPT control algorithm generally uses fixed step size. A small fixed step size will cause the tracking speed to decrease and tracking accuracy of the MPP will decrease due to large fixed step siz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improved PO MPPT algorithm that adjust automatically step size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To improve tracking speed and accuracy, when operating point is far from maximum power point(MPP), step size uses maximum value and when operating point is near from MPP, step size uses variable step size that adjust according to slope of P-V curve. The validity of MPPT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prove through compare with conventional PO MPPT algorithm.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코딩 활용 초등 음악 창작 수업 개발

        정다은 미래음악교육학회 2023 미래음악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velop elementary music creating instruction plans using cod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By considering previous research on music education using coding an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e analyzed coding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music creating instruction. Based on this, music creating classes aimed at creating music were developed using coding programs through teaching methods that reflect the 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It was developed as a instruction that can easily access music creating, understand musical concepts, and enhance musical creativ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routh music creating classes using coding.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usic creating instruction will help build computational thinking, musical creativity, and musical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코딩 활용 초등 음악 창작 수업 방안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코딩을 활용한 음악교육 선행 연구와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코딩 교육, 컴퓨팅 사고력, 음악 창작 교육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를 반영한 수업 방법을 통해 코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음악 창작을 목표로 하는 음악 창작 수업을 개발하였다. 코딩을 활용한 음악 창작 수업을 통해 음악 창작에 쉽게 접근하고 음악적 개념을 이해하며 음악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력을 함께 신장할 수 있는 수업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음악 창작 수업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 음악적 창의성, 음악적 소통 역량 등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