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가의 공간읽기와 스토리텔링 전략 - 해남 녹우당 권역을 중심으로

        정경운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ere has not been an improvement in the preservation of the houses of head families and the modernization of head family culture in Jeonnam reg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However, as Jeonnam head family revitalization project has started as part of the recently launched 'Namdo Culture Renaissance' project, the head families are facing a moment of change. Nogudang of Haenam Yun family is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leading the ‘Jeonnam Head Family Society,’ and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ultural foundation. This study aims to make a few suggestions related to space in Nogudang in which various plans will be carried out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ad spatial symbols to derive the sense of place of Nogudang area (including Yeondong village) based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of Haenam Yun family. There are three major spatial symbols: ‘virtue’, ‘learning and art’, and ‘harmony’. Considering these three spatial symbols and various spatial resources currently present in Yeondong Village, this study classified Nogudang area into three gardens (a garden for virtue, a garden for learning and art, and a garden for rest), and proposed spatial strategies that can strengthen the story concepts of the three gardens. 전남지역의 종가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종택 보존이나 종가문화의 현재화 작업이 미비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최근 시작된 ‘남도문화 르네상스’ 프로젝트 일환으로, 전남종가 활성화 사업이 출발하면서 변화의 시점을 맞이하고 있다. 해남윤씨 가문의녹우당은 이 변화의 중심에 서서 ‘전남종가회’를 이끌고 있으며, 문화재단 설립을 앞두고있는 상황이다. 이 글은 재단 설립과 함께 다양한 계획을 시도할 녹우당에 공간과 관련된몇 가지 제안을 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남윤씨 가문의 유・무형적 자산을 기반으로 녹우당 권역(연동마을 포함)의 장소성 도출을 위한 공간기호를 읽어냈다. 공간기호는 크게 세 가지로, ‘덕(德)’, ‘학예(學藝)’, ‘조화(調和)’이다. 이 3개의 공간기호와현재 연동마을이 갖고 있는 다양한 공간 자원들을 고려하여, 녹우당 권역을 3개의 정원(덕의 정원, 학예의 정원, 쉼(休)의 정원)으로 분할한 뒤, 각 정원의 스토리 콘셉트를 강화시킬 수 있는 공간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적 기억’으로서의 운주사-예술적 관습을 중심으로-

        정경운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호남학 Vol.0 No.55

        This research arranged and compiled the artistic interpretational convention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is is a restructured report composed of new meanings of Unjusa temple based on Gwangju in May 1980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r its expandability, that creation of new meanings originated from the artistic interpretation, and that the repeated artistic reinterpretation allowed the temple visitors to remember the “cultural memory” of Gwangju in May 1980. First, this study discovered that Unjusa templ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a “space of memory” to remember and reenact the incidents in “Gwangju” in 1980 by the initial visitors groups including intellectuals and artists before the temple was used as a material of artistic embodiment, and reviewed the process that Unjusa temple was record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memory on “Gwangju”. It also discussed three aspects (incomplete narration and the future in abeyance, link between the images of the statute of the Buddha/pagoda and the public, intentional choice of the names of the Buddhist temple about the desire for reform), focusing on the book titled “Jang Gil San” by Hwang Seok Young as the origin of the artistic convention on the fact. The hypothesis, which led the discussion, was that Unjusa temple, which was reinterpreted by the initial visitors group, c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cultural memory and as an artistic “medium”. If this hypothesis is accepted, all artistic works by artists can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 medium created by a medium”. Then, it is assumable that the artistic conventions of the meta-media could have had impacts on the experience of visiting Unjusa temple by some public visiting groups including those who remember Gwangju. This is also the point to create the cultural memories at the public level. In this regard, Unjusa temple that has been reinterpreted since the 1980s and the temple-based artworks can be considered as “arts of memory” that constantly reminds us of our cultural capabilities not to lose or forget Gwangju. 이 글은 운주사가 1980년 광주의 ‘오월’ 혹은 그 확장성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된 텍스트라는 점, 새로운 의미 창출이 최초로는 예술적 독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점, 그리고 반복된 예술적 재독해 작업들이 방문자들로 하여금 광주 ‘오월’의 ‘문화적 기억’ 행위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예술적 독해의 관습들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운주사가 예술적 형상화의 소재로 다루어지기 이전에 이미 지식인과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한 초기 방문 집단들에 의해 1980년의 ‘광주’를 기억해내고 재현해내는 ‘기억의 공간’으로서 인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운주사가 ‘광주’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맥락에 기입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예술적 관습의 기원으로서 황석영의 『장길산』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미완의 서사와 유보된 미래, 불상/불탑의 이미지와 민중 이미지의 연결, 변혁 열망과 관련된 ‘運舟’ 명칭의 의도적 선택 등)을 논의했다. 이 논의를 이끌어갔던 가설은 초기 방문 집단들에 의해 재해석된 운주사가 광주 오월에 대한 첫 번째 문화적 기억이자 예술로서의 ‘매체’로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만약 이 가설이 허용될 수 있다면, 이후의 작가들에 의한 예술적 작업들은 ‘매체에 의한 매체’로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메타 매체들의 예술적 관습은 곧 광주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일부 대중적 방문 집단들의 운주사 경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대중적 층위의 문화적 기억이 만들어지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1980년대 이후 재해석된 운주사는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산출되고 있는 예술작품들은 광주를 상실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우리들의 문화적 능력을 상기시키는 ‘기억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