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과제복합도에 따른 인지부하 차이의 객관적 측정

        정겨운 ( Gyeoun Jeong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동공반응과 문제풀이시간 및 눈 깜빡임 비율을 학습자의 인지부하 판단을 위한 측정지표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과제 복합도 수준에 따른 동공반응, 문제풀이시간 및 눈 깜빡임 비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과제복합도 상·하 구간별 t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공확장 평균은 과제복합도 상 구간에서 더 크게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문제풀이시간은 과제복합도 상 구간에서 더 오랜 시간을 소요하였고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눈 깜빡임 비율은 과제복합도 상 구간에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동공확대 지표와 같은 생리심리반응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로 이를 해석함에 있어 환경적 요소와 연구 맥락을 고려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문제풀이 진행 과정에서 객관적 지표에 근거한 인지적 처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과정 중에 발생하는 인지부하에 기반 한 실제적이고 적응적인 처방을 제공하기 위해서 관련 연구를 확대·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utilized pupil response, problem solving time, and eye-blink in the computer-based problem solving experiment as a measuring indicators for the determination of cognitive load from learner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pupil response, problem solving time, and eye-blink rate among 26 university students with low and high level of complexity condition.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to check the differences by task complexity level,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upil dilation was larger in the high level complexity section but did not repo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problem solving time took longer in the high level complexity se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sk complex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ye-blink rate was shown to decrease in the high level complexity se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sk complex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ove study results pointed out that physiological psychological reactions, such as pupils dilation indicators, should be analyzed in depth by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factors and research contexts in interpreting them as indicators that are sensitive to external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prescription based on objective indicators in the course of problem solving, and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related research to provide practical and adaptive prescriptions based on cognitive load that occurs during learner’s learning process.

      • KCI등재

        마이크로 콘텐츠 정보제시방식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 학습자 인지·정서적 상태 차이

        정겨운 ( Gyeoun Jeong ),서다혜 ( Dahye Seo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콘텐츠의 정보제시방식(Handwriting vs. Typed PPT)에 따라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적·정서적 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인지적·정서적 상태가 학습자의 학습 성취와 상관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콘텐츠 설계와 학습자의 학습경험 그리고 학습 성취간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정보제시방식이 다르게 설계된 마이크로 콘텐츠 학습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차이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크로 콘텐츠 정보제시 방식에 따라 학습자들의 인지적 상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이크로 콘텐츠 정보제시 방식에 따라 학습자들의 정서적 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상태 지표는 학습 성취와 부분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 콘텐츠 설계원리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상태 변화를 객관적 측정지표를 통해 확인하고, 성취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지적·정서적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다중모드학습분석학적 관점에서 생리심리반응, 행동로그, 자기보고식 설문 모두 활용함으로써 더욱 심층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This study used micro-content information presentation styles to identify the cognitive and emotional learner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learning process. To verify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or emotional states and learner achieve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design,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in 63 college students, from which the following were found. The micro-conten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revealed that cognitive learner statuses were partially differ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state of learners, and the learners ’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s partially correlated with learning achievement. Using a multi-mode perspective that involved analyz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learner responses, behavioral log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is study was able to more deeply identify the changes in cognitive and emotional learner states and the relationships with achievement.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는 학습분석학의 적응적 진화

        정겨운 ( Gyeoun Jeong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n education has been substantial, with generative AI, notably ChatGPT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s (LLMs), standing out as a noteworthy development. ChatGPT’s proficiency in comprehending natural language semantics and syntax, generating coherent text, and engaging in context-specific dialogues introduces transformative possibilities for education. Its adeptness in intricate interactions with learners suggests that analyzing these interactions can serve as a catalyst for examining individual learning experiences, thereby fostering the evolution of learning analytic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landscape brought about by the adoption of generative AI from a learning analytics perspective and propose directions for its adaptive evolution. To achieve this,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mechanisms between humans and ChatGPT, seeking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ir engagements. Through this exploration, we identified explanatory possibilities for phenomena that traditional learning analytics could not elucidate and proposed directions for the adaptive evolution of learning analytics, encompassing descriptive, diagnostic, predictive, and prescriptive aspects. This paper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on of new educational paradigms induced by generative AI, offering insights for more effective, efficient, and engaging instructional design in educational settings where generative AI is integrated.

      • KCI등재

        동적 시각 단서가 인지부하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간능력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혜정 ( Hyejeong Park ),정겨운 ( Gyeoun Jeong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오늘날의 교수학습은 영역 일반적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학습목표의 변화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학습형태의 변화를 겪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 두 가지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자 특성으로 공간능력에 주목하고 있으며, 공간능력은 학습과정과 성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학습과정에서, 동적 시각 단서 제시여부에 따른 인지부하의 차이를 시각 행동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학습자의 공간능력 요인이 동적 시각 단서와 학습 중의 인지부하 관계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공간능력과 인지부하가 학습 성과를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72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적 시각 단서 제시여부에 따른 인지부하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동적 시각 단서와 공간작업기억이 인지부하 지표 중 시선도약 빈도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 성과를 성취도로 한 경우, 공간작업기억과 평균 시선고정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성과를 문제풀이 시간으로 한 경우, 학습자의 시각적 변별과 시선도약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격 학습 환경에서 인지부하의 발생 원인을 알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공간능력이 낮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격 학습을 설계할 경우 외재적 인지부하를 유발하는 시각적 요소 관리에 더욱 주의할 것을 제언하였다. Today, the 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is undergoing many changes. The learning goal was changed by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domain-general core competencies, and it was changed from offline to online. Researchers are focusing on spatial ability as a learner characteristic that can influence these changes. Spatial ability has been reported as a factor that can influence the learning process and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dynamic visual cues in the video learning process was analyzed through visual behavior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learner’s spatial ability had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visual cues and cognitive load. finally, it was analyzed whether the learner’s spatial ability and cognitive load predict learn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of a total of 72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dynamic visual cues was partially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dynamic visual cues and spatial ability on cognitive load indica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some of the spatial ability and cognitive load indicator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useful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cause of cognitive load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when designing distance learning for learners with low spatial ability, it was suggest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anagement of visual elements.

      • KCI등재

        일반적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동영상 학습에서 시각적 단서와 사전지식 수준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이인혜(In-Hye Lee),정겨운(Gyeoun Jeong),조일현(Il-Hyun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일반적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동영상 학습에서 시각적 단서와 사전지식 수준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 변화하는 인지부하를 생리 심리 반응과 회상자극기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학습에서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에 따라 인지부하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와 인지부하의 관계가 사전지식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일반화 선형 회귀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 시각적 단서가 제시된 실험집단과 시각적 단서가 주어지지 않은 통제집단 간 인지부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평균 시선 도약 횟수 지표는 통제집단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동공확장 평균지표는 실험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와 사전지식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일반화 선형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와 사전지식에 따른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두 지표 간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동공 확장 평균 또한, 시각적 단서, 사전지식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평균 시선 도약 횟수와 동공 확장 평균 지표로 대변된 인지부하는 시각적 단서와 사전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시각적 단서와 사전지식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연구진은 일반적 문제해결 전략에 관한 학습 맥락에서의 실증적 검증 결과를 근거로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규명하고 관련 연구를 확대해 나갈 것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sual cues and prior knowledge levels on cognitive load in video learning about domain gener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Methods For thi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controlled laboratory with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load was analyzed using visual data and subjective response data from recall stimuli amo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and Excel, and analyzed through Wilcoxon test and GLM(Generalized Linear Model). Results TFirst, in the video-based learning,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visual cues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visual cues was examined. The average number of saccade was more frequent in the control group.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of pupil dilation was lar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visual cues and prior knowledge, we analyzed them through a GLM. The main effects if visual cues and prior knowledge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indicator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pupil dila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the visual cues, the main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the interaction effect.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load represented by the average number of saccade and the average pupil dil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visual cues and prior knowledge,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visual cues and prior knowledge. Accordingly, research team suggested that the multimedia design pronciples be investigated and related studies sh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results of emporocal verification in the context of learning about domain gener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