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비쿼터스 장치 제어를 위한 인간행위의 패턴분류

        정태민(Tae-Min Jung),최우경(Woo-Kyung Choi),서재용(Jae-Yong Seo),김성현(Sung-Hyun Kim),전홍태(Hong-Tae Jeon)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As Ubiquitous era comes, it became necessary to construct environment which can provide more useful information to human in the space where people live like homes or offices. On this account, network of the peripheral device of Ubiquious should constitute .yltneiciffe For it, this paper reserched human pattern by classified motion recognition using Gyro sensors module data. This pattern classification can help control Home network system (ZOR-EHS) by Intel PXA255 linux embedded system. I suggest the system which can control home network system more easily through patterned behavior, and control Ubiquitous environment by human’s behavior and condition.

      • KCI등재

        센서모듈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제어

        정태민(Tae-Min Jung),최우경(Woo-Kyung Choi),김성주(Seong-Joo Kim),전홍태(Hong-Tae Je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7 No.2

        유비쿼터스 시대가 다가오면서 앞으로 가정 및 회사 등 인간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공간에서의 좀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다양한 정보를 인지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주변 장치들의 네트워크는 인간에게 많은 정보와 편리성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센서모듈에서 주출되는 데이터를 신경망과 퍼지 알고리즘을 사용해 동작인식의 패턴을 분류하여 인간행동의 사고를 파악한다. 이러한 패턴의 분류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센서모듈의 통신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패턴이 분류된 행동들의 명령으로 여러 가전기기라든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식을 더욱 간단히 제어하며, 인간의 건강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인간행동과 상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의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As Ubiquitous era comes, it became necessary to construct environment which can provide more useful information to human in the spaces where people live like homes or offices. On this account, network of the peripheral devices of Ubiquitous should constitute efficiently. For it, this paper researched human pattern by classified motion recognition using sensors module data. (This data processing by Neural network and fuzzy algorithm.) This pattern classification can help control home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I suggest the system which can control home network system more easily through patterned movement, and control Ubiquitous environment by grasp human's movement and condition.

      • 면역 시스템을 이용한 에어콘의 온도 제어 시스템 설계

        서재용,조현찬,전홍태,Seo, Jae-Yong,Jo, Hyeon-Chan,Jeon, Hong-Tae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9 No.1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센서를 이용한 에어콘의 온도제어용 실내 ·외 온도 추론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온도추론 시스템은 자연계의 면역 시스템의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한 실내온도 추론과정과 실외온도 추론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시간 온도추론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면역기법을 이용한 온도 추론 시스템은 과거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주어진 입력 데이터뿐만 아니라 학습되지 않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온도 추론능력이 우수하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emperature inference system for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of the Air-Conditioner with limited sensors. The proposed system based on the network theory of biological immune system consists of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inference process. It is designed that on-line temperature inference is possible. This system is admirable for unlearned data as well as given input data by making efficient use of previous information.

      • 성장과 소거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듈화된 웨이블렛 신경망의 적응구조 설계

        서재용,김용택,조현찬,전홍태,Seo, Jae-Yong,Kim, Yong-Taek,Jo, Hyeon-Chan,Jeon, Hong-Tae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9 No.1

        본 논문에서는 F-투영법과 기하학적인 성장기준을 적용하여 모듈화된 웨이블렛 신경망의 최적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 성장과 전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하학적인 성장기준은 지역오차를 고려한 예측 오차기준과 기존의 웨이블렛 함수와의 준직교성을 보장하는 웨이블렛 함수를 배치하기 위한 각도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성장기준은 모듈화된 웨이블렛 신경망을 설계자 의도에 부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한 성장 알고리즘은 모듈화된 웨이블렛 신경망의 모듈과 망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소거 알고리즘은 모듈화된 웨이블렛 신경망의 모듈로 사용되는 웨이블렛 신경망의 지역화 특성으로 인해 모듈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불필요한 모듈의 노드를 제거한다. 제안한 모듈화된 웨이블렛 신경망의 최적구조 설계알고리즘을 1차원과 2차원의 함수 근사화 문제에 적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growing and pruning algorithm to design the optimal structure of modular wavelet neural network(MWNN) with F-projection and geometric growing criterion. Geometric growing criterion consists of estimated error criterion considering local error and angle criterion which attempts to assign wavelet function that is nearly orthogonal to all other existing wavelet functions. These criteria provide a methodology which a network designer can construct MWNN according to one's intention. The proposed growing algorithm increases in number of module or the size of modules of MWNN. Also, the pruning algorithm eliminates unnecessary node of module or module from constructed MWNN to overcome the problem due to localized characteristic of wavelet neural network which is used to modules of MWNN. We apply the proposed constructing algorithm of the optimal structure of MWNN to approximation problems of 1-D function and 2-D function,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 SEMG 생체 신호 처리에 의한 인공 지능 시스템 제어

        전부일(Bu-Il Jeon),조현찬(Heon-Chan Cho),전홍태(Hong-Tae Jeon) 대한전자공학회 201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6

        This Study has purpose to verify an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an exoskeleton robot arm to express human"s recognition ability using a real time abstracting Surface EMG data obtained naturally from human"s body. The EMG sensing data from muscle"s contractions are used as an original signal to operate an exoskeleton robot arm and an actuator copying human arm"s movement. A fuzzy control method directly controls a human arm"s movement so that we can control the output from user and load by intelligent control algorithm.

      • 시간-주파수 지역화를 이용한 방사 기준 함수 구조의 최적 설계

        김용택,김성주,서재용,전홍태,Kim, Yong-Taek,Kim, Seong-Joo,Seo, Jae-Yong,Jeon, Hong-Tae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8 No.5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에 비해 보다 단순화되고 빠르게 수렴하는 특성을 보이는 방사 기준 함수 구조를 초기에 설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간 주파수 지역화를 이용한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고 방사기준 함수 구조를 초기에 주어진 문제에 적합한 최적 상태로 결정하였다. 시간-주파수 평면에서 지역화 특성이 대상 함수를 근사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방사 기준 함수를 사용하여 은닉층을 구성할 경우, 근사 능력을 지닌 초기 구조를 결정함에 있어서 장점을 지닌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itial optimized structure of th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RBFN) which is more simple in the part of the structure and converges more faster than Neural Network. For this, we use the analysis method using time frequency localization and we can decide the initial structure of the RBFN suitable for the given problem. When we compose the hidden nodes with the radial basis functions whose localization are similar with the target function in the plane of the time and frequency, we can make a good decision of the initial structure having an ability of approximation.

      •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듈라 웨이블릿 신경망의 최적 구조 설계

        서재용,조현찬,김용택,전홍태,Seo, Jae-Yong,Cho, Hyun-Chan,Kim, Yong-Taek,Jeon, Hong-Tae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8 No.5

        단일 신경망에 기반한 웨이블릿 이론과 모듈라 개념을 결합하여 기존의 웨이블릿 신경망이나 모듈라 네트워크의 일종인 모듈라 웨이블릿 신경망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듈라 웨이블릿 신경망의 최적구조를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 모듈을 구성하는 웨이블릿 신경망의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팽창과 이동계수를 결장하기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제안한 최적 구조 설계 알고리즘을 근사화 문제에 적용하여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Modular wavelet neural network combining wavelet theory and modular concept based on single layer neural network have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wavelet neural network and kind of modular network. In this paper, an effective method to construct an optimal modular wavelet network is proposed using genetic algorithm.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determine dilations and translations of wavelet basis functions of wavelet neural network in each module. We apply the proposed algorithm to approximation problem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and algorithm.

      • KCI등재

        Type-2 Fuzzy logic에 기반 한 고속 항공기의 횡 운동 제어

        송진환(Jin-Hwan Song),전홍태(Hong-Tae Je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3 No.5

        항공기의 제어 시스템 설계에 있어 두 가지 어려움이 있다. 즉 항공기의 동적 특성이 비선형 특성을 갖고 있고 그 파라미터 값들이 시간 혹은 비행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시변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적인 제어 이론을 활용한 신뢰성 높고 효율적인 제어 기법들이 계속 개발되어 왔으나 정확한 이론적 분석이 수반되지 않으면 항공기의 성능, 강건성, 그리고 안전성조차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최근에는 퍼지 논리, 신경망,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대표되는 지능 제어 기법을 활용한 항공기 제어 시스템 개발이 시도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퍼지 논리가 갖고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취약점들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Interval Type-2 퍼지 논리 이론을 기반으로 고속 항공기의 지능형 비행 횡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에 의해 그 효용성을 입증한다. There exist two major difficulties in developing flight control system: nonlinear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ime-varying properties of parameters of aircraft. Instead of the difficulties, many high reliable and efficient control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But, most of the developed control systems are based on the exact mathematical modelling of aircraft and , in the absence of such a model, it is very difficult to derive performance, robustness and nominal stability. From these aspects, recently, some approaches to utilizing the intelligent control theories such as fuzzy logic control, neural network and genetic algorithm have appeared. In this paper, one advanced intelligent lateral control system of a high speed fight has been developed utilizing type-2 fuzzy logic, which can deduce the uncertainty problem of the conventional fuzzy logic. The results will be verifi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