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중국 문화학에 관한 논고 - 동아시아적 시각을 중심으로 -

        전홍석(全洪奭)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본고는 ‘제2의 기계시대—4차 산업혁명기’ 세계문명의 상호 소통과 협력이라는 시대정신에 부응해 인류 보편적 ‘공감(empathy, 생명) 영역’에 접속하는 동아시아 문화학(Culturology) 확립이라는 역내 공동목표에 응답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그 이론모델은 아직 미개척 영역으로 남아 있는 20세기 초중반 중국 문화학 지형에서 모색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 제반 문화사상을 집성해 학적 체계화할 것을 제안하고 이를 편의상 동아시아학(East Asian studies) 범주의 ‘현대 중국 문화학’이라 명명한다. 사실 ‘동아시아학—지역공동체’의 구성조건인 지역정체성은 미래를 향한 기획이자 이 미래를 조망하면서 과거로부터 성찰하는 지적 실험이다. 1930~40년대에 초기형, 생명주의형, 전반서화형, 중용형 등 중국 문화학의 생성ㆍ전개 지형은 현재적 동아시아학이 논의되는 매력적인 시기이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정체성 문제는 당시 서구 근대성과 대면한 중국 문화학자들의 공통된 물음이었다. 다만 이들에게 중심점은 중화中華지향의 전통성도, 서구 지향의 근대성도 아닌, 즉 창조주체에 의해 모색되는 ‘혁신적인 자기정체성(자아상)’에 있었다. 요컨대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창조주체로서의 문화(culture, 생명) 연구를 통해 도달한 중국 문화학자들의 문화학 구성은 4차 산업혁명기 문명사의 변곡점에 직면해서 생명공감이라는 미래대안으로서의 세계상 모색과 그에 기초한 소통적ㆍ연대적 동아시아 문화코드 창출에 유효한 지식자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respond to the common objective of establishing East Asian culturology, which connects to the universal ‘empathy domain,’ by following the spirit of mut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world civilizations in the ‘Second Machine Age—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The theoretical model is to be found in the types of Chinese culturology from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which remain an unexplored area.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o compile and systematize these cultural ideologies, naming them as ‘contemporary Chinese culturology’ in the category of East Asian studies. In fact, regional identity is a component of ‘East Asian studies—community’ that functions as a plan for the future and an intellectual experiment to overlook the future while contemplating on the pas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types of Chinese culturology in the 1930s and 40s, including the initial type, life type, overall westernization type, and moderation type, belong to an attractive time at which present East Asian studies are being discussed. The identity issue in East Asia were the common questions asked by Chinese culturologists who confronted Western modernity at the time. However, their focus was on ‘innovative self-identity (self-image)’ sought by the creative subject, not the Chinese traditionality or Western modernity. In short, the culturological composition of Chinese culturologists was reached through the critical introspection against Western modernity and the study of culture as creative subjects. It can be a useful knowledge resource for seeking the global image of life empathy as a future alternative and creating a communicative and solidary East Asian culture code while facing the inflection point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 호텔 식음료부서의 마케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홍 한국관광정보학회 2000 觀光情報硏究 Vol.- No.6

        Hospitality of Food & Beverage has been challenged with rapid growth of franchise and customer's wide variety of needs, desires and tastes in the millenium. To survive in this completive environment, reinventing ourselves to meet the demands of the customer and maximize the profit with quality service, unique atmosphere, clever promotion and of course, great food must be main sources of Food & Beverage marketing. This study suggests long-term vision how to promote consistent benefit and strengthen the ground of Food & Beverage market. To achieve overall growth at all levels of Hotel Revenue Food & Beverage market in Particular needs to strive to create a promoting system which can represent good value for the customers as well as managements through attactive marketing strategy. Accordingly, the following principles should be encourag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Food & Beverage outlets. First, Responding to the diverse appetite of customers requires to create new concepts, define culinary trends. Especially, pioneering a new category of Banquet and Bars can absolutely qualify and differentiate the outlet. Second, Cost saving marketing strategy and wide range of cost on menu can increase the net sales through effective system functioning growth in sales. Third, The product and consumption is taken place at a time at Food & Beverage outlets, it tells us that immediate access to availability-that is Food & Beverage outlets-,capable of potential customer into visiting is significantly important. It can be accomplished by identifying new sites and designing new facilities. Fourth, Surveys on exceeding demands of customer can add up the revenue, so it need to gather information about customer's preference and trends and utilize it perform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It should be followed up and evaluated the benefit and effects by it.

      • KCI등재

        근대 유럽 계몽주의에 대한 宋儒 理學의 영향과 그 문화 철학적 의미

        전홍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문화 철학’적 극복과 그 대안 모색이라는 차원에서 중국의 ‘송유 이학’이 17∼18세기 근대 유럽 ‘계몽주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수용자의 주체적인 관점에서 프랑스 계몽주의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데카르트 학파, 즉 좌파인 회의론적 진보주의자 ‘베일’과 우파인 호교론적 보수주의자 ‘말브랑슈’의 중국 형상을 그 모델로 하여 연구된 것이다. 이들은 데카르트 철학 그 자체가 안고 있는 ‘혁명성’과 ‘보수성’에 근거하여 이학으로 대표되는 중국의 비종교적 이성주의 문명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과 태도를 취했다. 베일이 찬동하는 입장에서 중국 문명을 이성 세계의 전범으로 파악해 유럽의 수구 문화 비판과 혁신을 위한 강력한 사상적 원군으로 삼았다면, 말브랑슈는 반대하는 입장에서 중국 문명을 위협적인 이단 세계로 규정하여 유럽의 신성 문화 수호를 위한 비판과 공격의 대상으로 여겼다. 이러한 베일과 말브랑슈의 논의와 해석은 계시 신학과 무관한 중국의 자연 이성관을 적극 부각시켜 유럽의 계몽주의 지식인들에게 진보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테면 그것은 프랑스의 백과전서파에게 반향을 일으켜 프랑스의 무신론, 유물론, 혁명 철학으로 화하여 종교의 허위성을 폭로하고 전제 정치를 타도하는 프랑스의 정치 혁명을 이끄는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영상저작물에서 저작자의 분류와 의미에 대한 고찰

        전홍구 ( Jeon Hong-g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一鑑法學 Vol.0 No.40

        본고는 최근 그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있는 영상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의 올바른 해석을 통해 영상저작물에 관계되는 자들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영상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영상저작물의 권리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저작자의 의미와 범위 등에 대해 학계의 해석과 판례 및 입법사례를 살펴보고 제작현장의 실태를 참작하여 고찰하였다. 우리 저작권법은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의 의미와 범위, 저작자의 인정 기준에 대하여는 불분명한 입법으로 인해 해석상 다툼과 함께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의 제작에 사용하기 위해 창작되는 대본이나 영화음악과 같은 위촉저작물의 저작자는 영상제작에 창작적으로 관여함에도 학계의 다수설은 소설의 원작자와 같이 고전적 저작자로 분류하고 이들을 영상저작물의 공동저작자로 인정하지 아니하고 있다. 또한 영상저작물의 저작자 내지 저작권자의 지위를 갖는 영상제작자는 영상제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권리의 내용도 불확실한데다 영상제작자로서 경제적인 역할과 책임을 인정받는데 있어서 학설은 인색하다. 우리 저작권법은 1987년 신 저작권법 시행 이래 영상저작물의 저작권과 관련하여 수차례의 개정은 있었으나 그 개정 내용은 디지털콘텐츠 시대의 영상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보다는 저작권단체 등의 이해 반영에만 충실한 게 아닌가 생각된다. 이로 인해 영상저작물에 관한 규정은 사실상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를 통해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관계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함께 사실상 유명무실화된 특례규정의 개선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tionally adjust the interests of those involved in video works through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pyright law of video works, which is recently increasing their role and importanc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video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signification and range of authors,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relationship of rights and duties of audiovisual works, are considered by searching for the interpretation of academia, judicial precedent and pieces of legisl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actual condition of production sites. Our copyright law has been also a cause of conflict as well as dispute over interpretation due to unclear legislation on the signification and range of authors of video works and the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of the authors. Especially, even though authors of commissioned contents, such as scripts or music for making movies or dramas, are even creatively involved in producing video works, the majority of academia classify them as classical authors such as the original authors of novels and don’t recognize them as co-authors of video works. In addition, although the producers of video works, who have the status of the authors or copyright holders, play a important role in producing video works, their rights are uncertain and, the theories of academia are stingy in accepting their economic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video producers. Our copyright law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in relation to the copyright of video works, since the enactment of the new Copyright Act in 1987, but it seems that the revised contents are not responding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video industry in the age of digital contents but reflecting the interests of copyright organizations. For that reason,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pecial clause on video works doesn’t actually play a rol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pyright relations of the video works and also hope to improve the special clause that has been almost nominal.

      • KCI등재

        필라테스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전홍,이지희 한국무용학회 2007 한국무용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변인에 따른 필라테스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필라테스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수강생 325명(남=146명, 여=166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신뢰성 검증, t-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상관관계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성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가운데 신체활동과 유연성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운동 빈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 가운데 스포츠 유능감, 외모, 건강,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유연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2)성별 및 운동 빈도에 따라 정서 변화에 차이를 보였지만 연령에 따른 정서 변화는 긍정적 정서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3)정서변화와 신체적 자기개념의 상관계수(r)는 .125에서 .825까지 모든 하위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ilates methods on physical self-concepts and emotion in adults. For this, 312 adults were sampled from seven culture centers in Seoul. A set of questionnaires (Korean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were administrated in each of the centers. The statistical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thre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hysical self-concep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in physical activity and flexibility, but no differences by age at all.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participation frequency in sports confidency, outward appearance, health, physical activity, self-esteem, and flexibility. Second, in emo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and participation frequency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only in positive emotion(p<.001). Third, correlation coeffcient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emo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 of all subfactors, ranging from .125 to .825.

      • KCI등재

        소비자 혁신 저항,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홍,부이응옥중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혁신 저항성의 정도에 따라 그들의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이 혁신제품에 대한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실제로 본 연구를 통해, 수신자로서의 소비자의 특성뿐만 아니라 송신자의 광고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하고 실증적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여 주었다. 첫째, 소비자의 혁신저항성 정도와 광고유형 사이에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전략에 대해, 혁신저항이 높은 경우 비비교광고가, 혁신저항이 낮은 경우 비교광고가 더 높은 광고태도나 구매의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둘째, 사전지식의 정도와 광고유형사이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 비교광고가,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 비비교광고가 더 평균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의 경우 광고유형과 사전지식 모두에서, 구매의도는 광고유형에서, 사전지식과 광고유형사이의 상호작용은 두 개의 반응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입증했다. 특히 사전지식의 유형별 수준에서 비교하는 쌍별비교의 검증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 비교와 비비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 광고유형의 차이에 따른 유의성은 검정되지 못하였다. 또한 사전지식 정도와 광고유형사이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상호작용비교(사전지식 높고 낮음 경우에 비교와 비비교의 평균적 차이)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혁신저항성,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에 따른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묻는 연구에서, 혁신 저항성이 낮은 경우, 광고태도와 구매의도 영향을 주는 사전지식, 광고유형, 및 사전지식과 광고유형사이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혁신저항성이 낮고 지식수준이 높은 정도에서 비비교광고 보다 비교 광고가 더 효과적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했다. This study was to be designed to provide insights regarding the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IR), prior knowledge(PK), and advertising appeal(ADA)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A) and purchase intention(PI). Firstly, we examined attitude toward ATA and PI in two methods of ADA (i.e.,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vertising) on the level of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As for high IR and low IR separately. Secondly, we found that both the PK main effect and the ADA main effect a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K and AA is significant.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IR, PK and ADA on ATA and PI and represented a difference in menas between comparative ad and non-comparative ad for high PK minus a difference in means between comparative ad and non-comparative ad for low PK while being low IR. And the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필라테스 운동이 여성 발레 전공자의 신체조성과 골반 및 척추형태에 미치는 영향

        전홍,황규자 한국무용학회 2012 한국무용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반 및 척추의 변형이 예상되는 발레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12주간(3회/주, 60min/day)의 필라테스 운동(매트 및 리포머) 후 신체조성의 변화와 골반 및 척추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H 대학교 발레 전공자(나이: 28.88±4.76세, 키: 161.75±5.29cm, 체중: 51.41±6.77kg, 경력: 16.25±4.68 년)를 대상으로 필라테스 운동 전·후 신체조성과 골반 및 척추 형태를 3차원 영상분석기(Formetric Ⅲ, Germany)로 측 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발레 전공자들의 신체조성은 필라테스 운동 후 체중(p=.03), WHR(p=.005) 및 체지방률(p=.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골반 기울기는 필라테스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4) 골반 비틀림 각은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p=.73). 척추의 형태와 관련된 변인인 흉추 후만각(p=.03), 요추 전만각(p=.005)은 필라테스 운동 후 유의하 게 증가하였으며 척추 측만곡(p=.01)은 필라테스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몸통 앞·뒤(p=.002) 및 좌·우 (p=.02) 기울기 각은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필라테스 운동은 발레 전공자의 신체구성 변화와 골반 및 척추의 안정화를 개선시켜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을 생각 할 수 있으며 무용 뿐 아니라 골반 및 척추 변형이 예상되는 다른 종목 운동선수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