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정은(Jeong Eun Jeon),박희진(Heejin Park),김동규(Dong Kyu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최장 공통 부분 스트링이란 주어진 두 개 이상의 스트링에서 가장 길게 일치하는 공통 부분 스트링을 계산하는 문제이다. 최장 공통 부분 스트링은 스트링 프로세싱이나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현재까지 연구된 동적 프로그래밍이나 써픽스 트리를 사용한 방법은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적은 저장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최장 공통 부분 스트링을 빨리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써픽스 배열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은 선형 시간, 공간 복잡도를 가지며, 써픽스 트리의 최하 공통 조상(LCA, Lowest Common Ancestor) 연산이나 써픽스 배열에서 사용하는 그와 비슷한 구간 최소값 질의(RMQ, Range Minima Query)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전정은(Jeong Eun Jeon),박희진(Heejin Park),김동규(Dong Kyu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대표적인 인덱스 자료 구조인 써픽스 트리와 써픽스 배열은 긴 문자열에서 임의의 패턴을 검색하는 데 효율적이다. 써픽스 트리는 써픽스 배열보다 큰 공간을 차지하지만, 이미 구축된 써픽스 트리의 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합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열 A와 B에 대한 써픽스 배열이 구축되어 있을 때, A#B$의 일반화된 써픽스 배열을 구축하기 위한 합병 알고리즘을 두 가지 제시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기존의 유전체 서열 써픽스 배열을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합병하여,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합병된 써픽스 배열을 만들 수 있다. 실험 결과, 합병 알고리즘은 일반화된 써픽스 배열을 다시 구축하는 것 보다 5배 정도 빠른 속도를 보였다.
Tourism Research 연구동향 분석 : 2011년~2020년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전정아 ( Jeon Jeong-ah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4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topics, types of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nd methods of analysis published in Tourism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of the Korea Tourism Industry Association that contributed to the research of the tourism industry.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tourism. At this time, the research period analyzed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2011 to October 2020 when Tourism Research was selected as a candidate for listing.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selecting Tourism Research among many tourism-related journals is that it has a long history after the Korea Tourism Association. Also, the year of selection of candidates for the listing is late. So we are going to investigate the existing research status and trends of Tourism Research 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systematic tourism industry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this, Tourism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purely academic research. We also want to help support businesses in the industry and foster the government.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practical research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전정식(J. S. Jeon),문종(J. Moon),이상인(S. I. Lee),심태언(T. E. Shim),황정남(J. N. Hwang) 한국진공학회(ASCT) 199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5 No.3
기판온도 약 500℃, 진공도 ~10^(-5) Torr에서 이온화된 cluster 빔 증착(ICBD)법으로 Y₂O₃ 박막을 Si(100) 위에 제조하였다. Si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얇은 층의 Yttrium막을 형성한후 산소와 Yttrium 원소를 반응증착시켰다. 증착한 상태의 X-선 회절분석에서 b.c. c 및 h.c. p 구조의 Y₂O₃가 관찰되었다. 제한시야 (selected area diffractin:SAD) pattern 분석에서 spot과 ring pattern들이 관찰되었는데 증착중에 결정형성 및 결정성장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고분해 투과전자현미경(hgih resolution transmition electron microscopy : HRTEM) image에서 Y₂O₃/mixed layer/SiO₂=170Å/50Å/10Å의 구조가 관찰되었으며 비정질상인 SiO₂의 형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증착된 Y₂O₃의 전기적 특성은 Pt/Y₂O₃/Si 구조에서 누설전류 밀도는 10^(-6) A/㎠ 이하로 나타났으며, breakdown 강도는 7㎹/㎝로 나타났다. Y₂O₃ thin film on Si(100) was successfully grown by ionized cluster beam (ICBD) technique at substrate temperature of around 500℃ and pressure of ~10^(-5) Torr. To prevent the oxygen and yttrium source. In as-deposited state, b. c. c and h. c. p structures of Y₂O₃ were observed from X-ray analysis. from the observation of spots and ring pattems in selected area diffractin(SAD) patterns, crystallane formation and growth could be proceeded during the deposition. Y₂O₃/mixed layer/SiO₂=170Å/50Å/10Å structure were verified by high resolution transmition electron imcroscopy (HRTEM) image, and the formation of amorphous layer of SiO₂ was discussed. Electrical charateristics of the film were also investigated. In as-deposited Pt/Y₂O₃/Si structure, leakage current was less than 10^(-6) A/㎠ at 7 ㎹/㎝ strength.
전정배 ( Jeongbae Jeon ),윤성수 ( Seongsoo Yoon ),배승종 ( Seungjong Bae ),윤홍일,송영석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우리나라의 휴경지는 2007년 현재 37,242ha로 전체농지면적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주 과거 18년 동안 유휴농지는 총누계 133,241ha에 이르고 있다. 또한 전체농지에 대해 2005~2007년 동안 평균 0.25%의 유휴농지가 발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국제정세의 변동과 농산물 가격의 하락으로 인하여 인력의 부족현상과 채산성 악화가 심해지고 있다. 유휴지의 방치로 산사태, 토양유실, 홍수와 같은 재해 위험이 높고, 경작 농지면적의 감소 등을 발생할 수 있다. 유휴지의 정의는 다음의 표와 같다. 본 연구 과정은 조사 및 분석대상의 유휴지를 선정하고, 휴경지의 발생원인 및 활용방안을 파악ㆍ분석하기 위해 현지조사, 설문조사, 문헌조사를 병행 실시한다. 현지조사는 대상지역 농지를 직접 답사하여 자연지형조건, 토양 및 토질조건, 기존작물, 인근마을, 유휴지원인 등을 조사한다. 문헌조사는 국내외 관련법 및 제도, 유휴농지와 관련되는 정책 및 기존의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공주, 강릉, 제주, 보은, 안동 지역을 주된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현지 설문, 문헌 조사를 통해 유휴지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유휴지를 대상으로한 밭기반 종합정비 사업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모델을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선된 점진적 구조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응력경로 탐색
전정배 ( Jeongbae Jeon ),김시환 ( Sihwan Kim ),윤성수 ( Seongsoo Yoon ),리신호 ( Shinho Rhee ),박진선 ( Jins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콘크리트 부재의 응력경로를 탐색하기 위하여 점진적 최적화 기법의 종료 기준과 요소 해석시 계산의 부하량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업수리구조물로의 적용성을 고찰한다. 점진적 최적화 기법은 구조물을 요소로 분할하여 이산화 시킨 후, 유한요소해석법을 통해 각각의 요소 응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재료 모델을 구성하여 최적해가 되도록 반복한다. 개별요소는 공요소(0, stiffness)의 개념을 도입하는데, 이때 공요소 결정은 제거(Die)의 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해의 도달에 양방향(Alive or Die)으로 수렴되도록 알고리즘을 개선 한다. 기존 사용되고 있는 종료규준들은 설계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결정되어 일관성이 부족하므로, 초기 탄성계수 값을 탄성계수 범위내에서 가정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고, 구조물 응력 최대값에 제거율과 복원율을 동시에 적용하여 소거와 복원을 병렬로 실행하는 알고리듬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종료규준은 초기 탄성계수값이 복원되는 요소는 E로 소거되는 요소는 0으로 치환되게 유도함으로써 초기탄성계수 값이 0이 되는 요소의 개수가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Alive or Die) 수렴방식과 새로운 종료규준을 적용시킨 알고리듬을 바탕으로 콘크리트 보의 응력경로를 탐색함으로써 농업수리구조물로의 적용성을 고찰한다.
전정배 ( Jeong Bae Jeon ),윤성수 ( Seong Soo Yoon ),박진선 ( Jin Seon Park ),이형렬 ( Hyeong Ryeol L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본 연구는 유한요소법과 신뢰성기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온실의 변위를 계산하고 파괴확률을 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온실해석은 부재의 절점간 연결을 같은 강성계수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제 온실은 부재의 절점이 클램프, 용접, 볼트와 너트 등의 형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온실의 해석은 실제 절점의 조건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온실해석에 있어서 하중과 재료의 특성은 확정값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하중과 재료의 특성은 확률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기존의 해석방법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논리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신뢰성해석은 뼈대 구조물의 해석에 용이하여 온실구조물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유한요소법은 유한요소의 물성을 확률변수로 설정하여 해석을 가능하게 함으로 확률유한요소법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실구조물의 절점을 반 절점 요소로 적용하고, 확률적으로 변화하는 하중과 재료의 특성요인을 반영하여 확률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 모델을 작성한다. 작성된 모델로 표준온실도를 기준으로 온실구조물을 해석하고 기존의 방법론과 해석 결과와 파괴확률을 비교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