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접경(Contact Zones)의 연쇄로서 해방 공간과 허위와 무위의 영화적 공간

        전우형(Chon, Woo Hyung)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5 No.-

        이 연구는 해방 공간의 한국영화사에서 가장 문제적인 인물로 꼽히는 최인규와 그의 작품 <자유만세>, <죄 없는 죄인>, <독립전야>에 내재하는 미완의 상태가 해방 이후 한국사회가 직면한 ‘접경’(Contact Zones)의 연쇄에 관한 영화적 표상임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접근은 우선 해방 직후 최인규의 영화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기존의 많은 논의들이 작품의 결핍을 주목하지 않은 채 그의 영화들을 해방 이후 한국영화의 기원이나 정전으로 호명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러한 미완 상태가 단순히 한국사회의 혼란이나 제작 환경의 곤궁함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주변화하는 시각을 경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연구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텍스트는 최인규의 ‘광복영화’ 3부작 중에서 필름으로 남아있는 <자유만세>와 <독립전야>이다. 두 텍스트는 해방 이후 그의 영화에 대한 평가에 자주 등장하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기원이라는 호명이 은폐하고 있는 미완의 상태를 확인하게 하고, 그것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최인규의 해방 이후 영화는 후기 식민주의의 현상으로, 그리고 해방 공간의 한국사회가 맞닥뜨린 접경의 문화적 재현으로, 결국에는 민족국가 건설의 수행적 실천이 빚어낸 영화의 균열로서 의미 이동이 발생했다. 해방 공간의 미군정과 단정은 정치적 주체 사이의 갈등과 경제적 주체 사이의 불평등을 야기했다. <자유만세>와 <독립전야>의 숱한 미완의 흔적과 해방 직전의 서사화 등은 해방 공간의 후기 식민지성과 함께 민족국가 건설의 수행적 실천으로서 영화의 재현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영화적 의장이었다. 두 작품의 영화적 공간은 동일성을 강요하는 해방 공간의 허위(hypocrisy)를 드러내고 이를 무위(inoperativeness)로 대응하는 데에서 접경성을 드러낸다. <독립전야>의 노골적인 미완상태와 텅 빈 기호를 자처하는 엔딩은 해방-미군정-단정으로 이어지는 접경의 연쇄가 전시하는 해방 공간의 위선과 무기력에 관해 최인규가 남긴 최초의 증언으로서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explored to identify the unfavorable condition inherent in Hurrah! Freedom (1946), Sinless Sinner (1948) and Night Before Independence (1948) of that the works of Choi In-gyu, who one of the most problematic characters in the Korean film history of liberation space, as a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chain of “Contact Zones” that Korean society faced after liberation. This approach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aming Korean movies after the release of Korean film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lack of works, in many existing discussions analyzing and interpreting Choi In-gyu"s movies shortly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this approach is to stop that this unfinished state was regarded as merging from merely the confus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poverty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The texts mainly covered in this study are the films Hurrah! Freedom and Night Before Independence, which are among the three trilogy of Choi In-gyu"s ‘liberation film’. Both texts identify the unfinished state concealed by the call of the new origin of Korean cinema, which often appears in the evaluation of his film after liberation, and shows where its cause is. Through this, after the liberation of Choi In-gyu, the film became a phenomenon of post-colonialism and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contact zones Korean society faced by liberation space, resulting in a semantic shift as a crack in the film caused by the practice of nation state construction. The US military affairs and sole government in liberation space have a character of contact zones as a prototype of conflict between political subjects and radical inequality between economic subjects. The traces of the unfinished and the pre liberation stories of Hurrah! Freedom and Night Before Independence are a cinematic appratus that proves the impossibility of reproducing the film as a practical practice of the nation state construction together with the later colonization of liberation space. Moreover, the unfavorable unfinished state of the Night Before Independence and the empty sign in the ending are meaningful as the first testimony of Choi In-gyu on the reduction and closure of the cinematic space where the chain of contact zones leading to liberation-US military affairs-sole government accelerates.

      • KCI등재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 연구

        전우형 ( Chon Woo-h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을 점검하고 그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씌었다. 그간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는 주로 영화가 아닌 영상운동의 일환으로 다루어져 왔다. 이런 관점은 최근 제작된 <위로공단>(2015)이나 <그림자들의섬>(2016) 등 분명 영화를 지향하는 노동 다큐멘터리 등을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논문은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출발이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사회가 맞닥뜨린 반민주적 현실이라는 재현 불가능한 현실을 재현함으로써 독립영화가 더 나은 세계를 기획하려는 새로운 시작과 맞물려 있음을 논구하고자 한다. 장산곶매의 극영화 <파업전야>(1990)와 노동자뉴스제작단의 뉴스릴(news reel) <노동자뉴스>(1989)가 거의 동시에 노동자 재현에 나섰으나 연일 계속되는 노동자투쟁, 그리고 정부의 탄압과 시민사회의 외면이라는 문제상황을 돌파하는 데 성공한 것은 <노동자뉴스> 쪽이었다. 16mm 비디오카메라와 VHS(video home system)를 거점으로 하는 <노동자뉴스>는 뉴스라는 형식 안에 극영화와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물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마련한 기원이었다. 덕분에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는 극영화의 미학과 뉴스릴의 사실주의 너머 항쟁의 현장을 기록하거나 특별한 기억으로 호명하는 대중적이고 미학적 정치 문화로 증식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The origin of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was engaged with the restart of Korean independent film`s establishing better life and world by representing im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which Korean society had been faced since the democratization revolution in 1987. The fiction film The Night before Strike(1990) and the news reel The Labor News(1989) represented labors almos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Labor News seems to achieve the task of representing continuous labor strike, government`s oppression. The 16mm video camera and Video Home System which The Labor News Production had exploited as media are proper for this. The Labor News exploited the language of the fiction film and news reel documentary as well, and established the new prospect of the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henceforth in Korea. By The Labor News`s favor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could be multiplied as popular and aesthetic culture.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이론과 실천 ; 번역의 매체, 이론의 유포 -A.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과 차이의 담론화

        전우형 ( Woo Hyung Ch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논문은 『창작과비평』이 자신의 매체성을 드러내는 전략으로서, 그리고 그들이 생산한 다양한 문학담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A.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의 개입 양상과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창작과비평』의 번역이 단순히 서구지향이나 서구취향이라는 엘리티즘의 연속선상에서, 또는 외국문학 연구자의 인정투쟁과 상징권력 정도로 인식할 때 결코 드러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번역행위와 전통과 실학, 민중문학에 대한 발견과의 관계 등을 전달하는 글쓰기 행위로서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A.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은 사회과학적 비명이라는 마르크시즘 문예이론의 수용 및 유포 너머 한국의 정치경제 현실에 대한 탐색을 통해 주체적 문학담론의 생산을 매개하는 하나의 실험이었다. 『창작과비평』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은 번역행위에 내재하는 아날로지의 극복을 통해 단순히 번역 대상으로서 서구를 동일시하거나 모방하는 차원이 아니라, 차이를 전제로 하는 자생적인 문학답론의 신생을 궁구하는 동력으로서 종국에는 엘리트와 민중, 전통과 현대, 제3세계문학, 그리고 제3세계문학과 세계문학의 주체적 연대 가능성을 여는 계기로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tervention and effects in Korean translation of A. Hauser``s The Social History of Art. This translation was a strategy to reveal Cha``angjak kwa Pip``yong(『창작과비평』)``s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diverse literary discourses they produced. These approach will reveal writing that transmits relation between translation, tradition, Shilhak(rea1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founding of the people literature, which was far more than just west orient or preference elitism nor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symbolic power of foreign literature scholars. The translation of A. Hauser``s The Social History of Art was more than just acception and dissemination of Marxist literary theory. It was an experiment to produce subjective literary discourse mediated by researches of Korea``s political economic reality. Therefor, Cha``angjak kwa Pip``yong overcame analogy inherent in translation, not just identifying or imitating the direst, but investigated the birth of new native literary discourse which premised difference with the west. This ultimately lead to be a momentum of subjective solidarity between elites and people, tradition and present, the third world literature, the third literature and the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소설 「무진기행」과 영화 <안개> 사이의 순환-선형적 리듬과 의사-유령적 자아

        전우형(Chon, Woo Hyung)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영화 <안개>는 플래시백과 내레이션, 그리고 주제가 ‘안개’의 멜로디가 수없이 반복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반복과 그에 내재하는 차이는 소설 「무진기행」에는 없는 것이면서, 그렇다고 영화 고유의 속성으로부터만 비롯된 것이라 하기에는 또 소설을 너무 닮아있다. 그동안 소설 「무진기행」의 영화 <안개>로의 각색 과정에서 소설 대부분의 문장들이 영화에 기입되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이나 핵심 사건, 그리고 시공간적 흐름의 동일성에 주목하는 논의들이 대부분이었다면 이 차이의 양상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일은 선행 연구를 보완하거나 관점의 전환을 견인한다. 왜냐하면 영화에서 차이를 통한 반복은 다양한 리듬들이 간섭하는 하나의 거대한 리듬을 만들어내고, 이 리듬은 원작으로부터 도약하며 신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리듬, 영화의 시청각적 이미지들이 만들어내는 영화적 언어는 소설의 문장들이 빚어내는 문체 효과의 등가적 대상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소설은 문장의 구성이나 배열에 의해 씐다면, 영화는 시청각적 이미지에 대한 통제에 의해 연출된다. 소설의 문장들이 문체 효과를 발생시킨다면, 시청각적 이미지들은 영화의 리듬을 생성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소설 「무진기행」을 유일하게 하는 문체 효과, 즉 감수성 혁명의 영화적 전유 양상을 ‘리듬’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피려는 방법론적 탐색이다. 영화 <안개>의 리듬은 무진의 자연적이고 순환적인 시간성이라는 소설 「무진기행」으로부터 빌려온 것이면서 여기에 서울의 기계적이고 선형적인 시간성, 그리고 무진에 내재하는 모방으로서의 선형적인 시간성 등이 빚어내는 다(多)리듬적인 것이다. 이 거대한 리듬의 세계로부터 주인공 윤기준은 철저히 소외되어 있다. 영화는 서울의 도시적 일상으로부터 추출당하는 설정을 통해 윤기준을 불안한 주체로서 문제적 개인화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문제적 개인화는 무진으로 가는 여정에서, 그리고 무진에 도착하면서 한층 더 강화된다. 그는 무진에 도착하자마자 안개로 대표되는 자연적인 상태에 압도당함과 동시에 무진에 내재하는 모방된 도시적 일상과도 역시 불안한 관계를 맺고 만다. 이는 결국 소설 「무진기행」에서 주어가 수동적인 위치로 물러앉거나 대상과의 관계 불균형을 드러내는 문장들이 빚어내는 문체 효과의 영화적 표상 장치이다. 무진으로 여행하는 윤기준은 결국 자기 성찰적이라거나 비판적 응시의 주체가 아니라 과거의 억압과 미완이 현재가 엉겨 붙어 현재를 떠도는 유령(specter)적 존재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그의 유령됨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삶에 성찰과 가르침을 실어오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하인숙을 서울로 데려가겠다는 약속이나 급히 떠나게 되어 미안하다는 사과 등, 어떤 수행적 언어도 불가능한 의사-유령(pseudo-specter)에 지나지 않는다. Film a Fog(1967) is formed by countless repeats of flashback, narration, and the melody theme song Fog. These repeats and differences within the repeats does not appear in the novel A trip to Mujin(1964), but it is very similar to novel that we can not assume it is originated by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ovie. Former studies focused on how the movie Fog has adapted the novel A trip to Mujin by how the sentences of the novel has been inscribed in the movie and examining similarities of character, main events, and flow of space-time. But this paper focuses on differences and its meanings, which supplements and transforms perspectives of former studies. In the movie the repeats with differences creates a huge rhythm which interfere with variety of rhythm, and this huge rhythm leaps and newborns from the original. Furthermore, this rhythm, audiovisual image of the movie that creates cinematic language seems to be equivalent to the stylistic effects created by novel’s sentences. Novel is written by configurations and arrangements of sentences, movie is directed by regulation of images. Novel"s sentences raise stylistic effects, audiovisual images generate rhythm of the movie. Therefore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of appropriation of sensitivity revolution of A trip to Mujin, writing style that makes A trip to Mujin exclusive, in the movie by the term ‘rhythm’. Movie a Fog"s rhythm is formed by natural and circular temporality which is borrowed from A trip to Mujin, and it adds Seoul’s mechanical and linear temporality and linear temporality which is inherent imitation in Mujin, to form multi-rhythm. Main character Yun, gijun is thoroughly alienated from the world of this huge rhythm. Movie starts to make him problematic individual by setting him to be extracted from the urban everyday of Seoul. Then, the journey to Mujin, and arrival of Mujin, enhances the problematic individual. He is overwhelmed by a natural state as represented by the fog as soon as he arrives at Mujin, and at the same time he ties uneasy relationship with imitated urban everyday inherent in Mujin. It is a cinematic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effects of writing style of A trip to Mujin which makes the subject to retreated to the passive position, and sentences showing imbal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object. Yun, gijun traveling to Mujin, is not self-reflective nor has critical gaze, but suppression and unfinished of the past intertwined to form a specter to wander the present. And this specter does not delivers reflection and teaching from the boundary of life and death. Therefore he can not perform any performative language, such as to promise Ha, insuk to bring her to Seoul or apology for such urgent depart, so he is just a pseudo-spect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화와 기차, 폐기된 계몽의 극장

        전우형(Chon, Woo-Hy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78

        이 글은 조선영화에 재현된 기차가 서양의 근대문화와 문명, 그리고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가 빚어내는 속도를 표상하고, 두 속도기계의 틈새에서 승차와 하차를 강요받는 식민지 조선인의 숙명을 드러내는 양상을 확인하고자 했다. 특히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영화와 기차가 서양의 근대문화와 문명이 이식되는 계몽의 미디어이자,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가 시작되는 선전의 미디어였다는 점이다. 이때 영화와 기차는 근대 초기 한국사회를 단일한 속도의 장으로 밀어 넣는 질주정이었다. 조선영화 <군용열차>와 <미몽>은 영화와 기차의 속도, 그리고 서양의 근대문화와 문명이 이식되는 계몽의 세계와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와 선전의 틈새에 놓인 식민지 조선인의 숙명을 재현해 내고 있다. <군용열차>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거니와, 일본이 식민지 전체를 병참기지화하려는 군국주의의 속도를 전경화하고 있으며, 제국의 스파이 되기라는 서사를 통해 자신과 조선의 현실을 부정하는 것을 승차 자격으로 제시하고 있다. <미몽>은 자본주의적 욕망과 개인주의의 화신이 된 여인의 죽음을 통해 <군용열차>의 속도에 대한 정당성을 마련하고 있다. 이 영화는 ‘가만히 있으라’는 주문을 통해 속도의 제어권이 부재하는 식민지 접경의 일상을 환기하는 동시에, 도래할 동원의 속도를 내면화하고 있다. 이로써 영화와 기차는 이제 계몽의 폐기된 이미지로서 선전과 선동, 즉 프로파간다를 위한 질주정이 되고 만다. This paper shows how the train in the Korean film in colonial era represents the speed of modern culture, civilization of the West, and the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and reveals the fate of colonized Koreans forced to get on and off in the gap between two speed machines. Especially noteworthy in this paper is that films and trains were the media of enlightenment in which Western modern culture and civilization were transplanted, and the media of propaganda in which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began. At this time, films and trains were the dromologie to push Korean society into a single place of speed. The films Military Train(1938) and Sweet Dream(1936) represents the fate of the colonial Koreans in the gap between the speed of film and train, the world of enlightenment where Western modern culture and civilization are transplanted, and the militarism and propaganda of Imperial Japan. Military Train, as can be seen in the title, are foregrounding the pace of militarism in which Japan attempts to log the entire colony. The Sweet Dream is a place for the speed of the military train through the death of a woman who became an incarnation of capitalist desires and individualism. The film reminds us of the daily life of the colonial border where there is no control over the speed through the order of ‘Still stay’, while internalizing the speed of mobilization. As a result, film and trains are now a discarded image of enlightenment and become a dromologie for propaganda.

      • KCI등재

        〈오발탄〉의 매체 전환구조와 영화예술적 속성 구현 양상

        전우형(Chon Woo-hy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1960년대 한국 영화계는 문예영화 제작 경향의 다원화가 시도되었다. 이 시기는 원작의 시간성을 기준으로 할 때, 고전소설, 근대소설, 그리고 동시대 소설의 영화화가 균형을 갖추던 시기였다. 고전소설의 영화화가 흥행 목적의 상업영화, 그리고 근대소설의 영화화가 우수영화 보상제도라는 정책적 측면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동시대 소설의 영화화는 상대적으로 영화 내적 성장과 관련되어 있다. 이 논문은 그 중 〈오발탄〉의 소설-영화 전환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시대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문예영화가 문학을 대체하는 새로운 예술로서 영화의 가능성을 실험했던 방식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오발탄〉은 문예영화, 그리고 한국적 리얼리즘 영화의 새로운 기원으로서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점검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오발탄〉의 소설-영화 전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문예영화 〈오발탄〉의 등장으로 영화의 원작 변형이 훼손이라는 가치 평가로부터 자유로워 졌으며, 네오리얼리즘의 세례를 입고 탄생한 한국적 리얼리즘이 단순히 주제나 제재에 국한되지 않고 형식이나 스타일에까지 넓고 깊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점쇼트를 통해 개인의 내면을 그려내고 객관적 시점과 몽타주를 통해 그들이 처해 있는 외부 현실을 재현하는 영화언어에 대한 발견이 그 구체적인 증거이다. 그리고 이 시점이나 몽타주 등 영화의 고유한 언어의 활용이 〈오발탄〉의 리얼리즘적 속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점이 문학의 예술성을 대체하는 예술영화로서 문예영화의 가능성을 견인하고 있음도 고찰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filmic adaptation of novel in "aimless bullet-obaltan" experiments the possibility of art film in korean movies. During 1960's, literary films were increased and diversified. Specially the filming of contemporary novels are increased in number. The film "aimless bullet" is usually criticized as a new origin of modernizing korean film and korean realism film. This film was reproduced as resolute modifying the original novel. However this film had been free from the habitual criticism about damaging original work. This film represents the multilayered realities in 1950's korean post war by enlarging the yungho's narrative which relatively reduced in the original novel. And director found the proper film techniques and used those as film expression languages for the representation of realities like this. Those are point of view shots, objective shots and montages. The point of view shots described the devastated individual's mental side, compared with the objective shots and montages represented the social irregularities. This represents much to the 1960's korean film history in korean adaptation of neorealism which covered widely from theme or motif to style. For these reason, this thesis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imless bullet" made way for convirting the literary film into art film.

      • KCI등재

        특집 : 인문학의 한류를 위한 세계적 시야의 한국어문확 연구와 교육; 한국 현대문학 텍스트의 확장과 "문화론적 연구" -2013년 AAS(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성격-

        전우형 ( Woo Hyung Chon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1 No.-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tudie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such international wide conference a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AS), the researchers themselves decide the themes and organize the presentations. With the overall theme set by the organizers, however, the presenters are also offered the opportunities to present their own agendas. They are only classified as the Asian researchers without being exposed to wholesale exclusion and segregation. The seeming loose self-identification among the presenters that “we are Asian researchers” paradoxically opens up for the possibilities for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beyond exclusion and classification. The joint research as a prevalent mode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speaks to the precedent vibrant discussions among the co-researchers. Free from the exclusive environment and the classifying signifiers like “Korean,” “modern,” and “literature,”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provide academic venues for exploring the new aspect about modern Korean literature studies. This study discusses the move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ies on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through the specific presentations on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by AAS in 2013. By trying to defining the “move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tudi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tting ou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이상 「지도의 암실」과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실험적 제휴

        전우형 ( Woo Hyung Chon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2 No.-

        이 연구는 식민지 조선 문학의 할리우드 영화 표상에 나타난 현실인식 과 대응, 그리고 실험적 예술성 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씌었다.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어떤 소설들은 이제 더 이상 문자의 재현 기술 이나 효과와 단절된 채 씌며 따라서 문학적 전통과도 결별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여럿 있겠으나, 그 중 영화 의 영향을 배제하기란 여러모로 힘들어 보인다. 이런 문학의 가장 앞자리에 있다는 이상이나 박태원 등의 창작방법이 보여준 난해한 실험성은 대개 영화를 매개로 분석할 때 그나마 선명해진다. 그런데 이상의 서사 텍스트들이 앞으로 공유하게 될 이러한 특징들, 즉 재현 체계의 교란을 통한 재현의 거부 등이 그의 서사세계가 출발하는 시점에 유행했던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재현 기술과 일정한 유사성 이 감지된다. 발성영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유행하기 시작한 할리우드의 뮤지컬 영화는 서사와 공연이라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시간으로 구성되며, 이 두 시간 사이에서 주인공은 끊임없이 분열된다. 이 소설이 발표된 1932년의 식민지 조선이 할리우드 뮤지컬 발성영화 시대로 전환하는 시 점이며, 특히 소설에 뮤지컬 영화 The Love Parade(1929)가 삽입되어 있는 점 등은 뒤이어 그의 서사가 영화를 향해 열리는 근원적인 지점을 규명하기 위한 텍스트로서 이 소설을 재발견하게 해준다. .지도의 암실.은 이질적인 복수의 시간과 끊임없이 근원적 자아를 소외시키는 분열적 시선 등에 대한 실험적 글쓰기이며, 선조적 시간성을 본성으로 삼는 문자의 재현 불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메타포가 된다. 복수의 시간과 자아의 분열, 그리고 문자에 대한 회의, 이 세 가지 요소가 이 소설이 영화, 그리고 <러브 퍼레이드>라는 뮤지컬 영화와 제휴했을 가능성을 확인해주는 증거이다. 「지도의 암실」이 지시 대상 사이의 경 계를 모호하게 하거나, 시공간적으로 단절된 두 세계 사이에 놓인 자아 의 순간적 체험을 표현하는 데 이 뮤지컬 영화의 형식을 모방하고 있음 은 분명해 보인다. 다만 이러한 모방은 이상의 소설쓰기가 늘 완결된것이 아니듯, 뮤지컬 영화가 매개하는 다른 텍스트들, 예를 들어 유럽의 아 방가르드 영화로 나아가는 하나의 실험과정이었다. Features that Yi Sang’s future narrative texts share, such as denial of reproduction through the interference of the reproduction system, are similar with reproduction technology of musical film of Hollywood which was popular when his narrative world was starting. Musical film of Hollywood began to fashion at the beginning of sound film. These musical film is constituted with at least two different time of narrative and performance, which constantly divide the main character during the two times. Colonial Korea of 1932, when this novel was published, was transit period to Hollywood musical sound film. Especially the musical film The Love Parade(1929)’s insertion in the novel makes us rediscover this text to be established as fundamental point for his narratives to open up to movies. A Darkroom of Map is a experimental writing, withheterogeneous multiple time and disruptive gaze constantly alienating fundamental ego. It is also a metaphor of non-reproducible of letter which nature is linear temporality. Plurality of time, division of ego, and skepticism about letter, these three elements are the evidence that this novel are affiliated with musical movie called The Love Parade. A Darkroom of Map obscures the boundary between the referents and represents theexperience of the moment of ego that was placed between the two worlds that have been cut off in space and time. These clearly mimics the format of the musical film. However, like Yi Sang’s novel writing was never concluded, these are only experimental stage to proceed to the texts mediated by musical film, for example avant-garde film of Europ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