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존유기탄소의 δ<sup>13</sup>C : 분석시 고형화 전처리 방법 비교 알칼린 과황산칼륨산화 탄산침전과 동결건조

        전병준,박현진,최우정,박용세,이상모,윤광식,Jeon, Byeong-Jun,Park, Hyun-Jin,Choi, Woo-Jung,Park, Yong-Se,Lee, Sang-Mo,Yoon, Kwang-Sik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2

        DOC의 ${\delta}^{13}C$은 수질 오염원 규명에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동위원소비 질량분석기(EA-SIRMS)를 이용하여 DOC의 ${\delta}^{13}C$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두 가지 전처리방법 (과황산칼륨산화-$SrCO_3$침전법과 동결건조법)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표준물질로는 글루코스(${\delta}^{13}C$; $-12.0{\pm}0.02$‰)와 돈분퇴비 침출액 건조분말(${\delta}^{13}C$; $-23.3{\pm}0.04$‰)을 사용하였다. 과황산칼륨산화-$SrCO_3$ 침전법에서는 용액의 알칼리성에 의해 DIC 제거가 어렵고 공기 중 $CO_2$의 영향에 의해 시료가 오염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가 매우 낮았다. 반면, 동결건조법은 산 첨가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였고, 측정값과 이론값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실험조건별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이론값에 근접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A-SIRMS를 이용하여 DOC의 ${\delta}^{13}C$ 분석시 동결건조법으로 시료를 전처리하면 분석결과의 정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The carbon (C) isotope ratio (${\delta}^{13}C$) of dissolved organic C (DOC) is an indicator of water pollution source. In this study, the potential use of two pre-treatments for the ${\delta}^{13}C$ analysis, alkaline persulfate oxidation coupled with carbonate precipitation (precipitation) and freeze drying (drying), were compared to suggest a more feasible pre-treatment method. METHODS AND RESULTS: Two reference materials with different ${\delta}^{13}C$ valu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chemical grade glucose ($-12.0{\pm}0.02$‰) and pig manure compost extract ($-23.3{\pm}0.04$‰). In the precipitation method, the measured ${\delta}^{13}C$ values were consistently lower than the theoretically calculated values as dissolved $CO_2$ could not be removed due to the alkaline property of the reagents and the dissolution of air $CO_2$ into the alkaline solution. The drying method also resulted in more negative ${\delta}^{13}C$ than the calculated ${\delta}^{13}C$; however, the difference was systematic ($3.9{\pm}0.3$‰) and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delta}^{13}C_{calculated}=0.87{\times}{\delta}^{13}C_{measured}-0.624$, $r^2=0.98$) between the calculated and measured ${\delta}^{13}C$. Calibration of ${\delta}^{13}C$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delta}^{13}C$ values produced reliable and accurate ${\delta}^{13}C$ valu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rying method is more accurate pre-treatment metho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air $CO_2$ compared to the precipita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delta}^{13}C$ of DOC.

      • KCI등재

        연구보문 : 수질환경; 전남 지역 농업분야 양분 지표를 이용한 수질 공간 변이 해석

        전병준 ( Byeong Jun Jeon ),임상선 ( Sang Sun Lim ),이광승 ( Kwang Seung Lee ),이세인 ( Se In Lee ),함종현 ( Jong Hyun Ham ),류순호 ( Sun Ho Yoo ),윤광식 ( Kwang Sik Yoon ),최우정 ( Woo Jung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3 No.1

        하천수질의 공간적 변이 해석에 양분 지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전남 시·군의 수질 자료(T-N, T-P, BOD, COD)와 양분 지표(화학비료 공급량, 가축분뇨 발생량, 가축 분뇨 양분 발생량, 양분수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수질 T-N은 화학비료 공급량, 가축분뇨 질소 발생량, 양분수지와 모두 정의 상관관계( P<0.05 또는 P<0.01)가 있었고, T-P와 이들 양분 지표와의 상관관계는 95% 수준에서 유의성이 없었지만 가축분뇨 인 발생량( P=0.06)과 양분수지( P=0.09)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남 지역 하천의 T-N 농도는 농경지 시용 화학비료는 물론 가축분뇨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면 T-P 농도는 화학비료 보다는 부적절한 가축분뇨처리 및 퇴비 과잉 시용에 의해 증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축분뇨와 이를 원료로 제조되는 퇴비는 토양교질 및 금속 이온과의 반응성이 낮아 무기태 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성이 큰 유기태 인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하천 T-P 농도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BOD와 COD는 모두 유기물질 함량이 높은 가축분뇨 발생량과 정의 상관관계( P<0.05 또는 P<0.01)가 있었는데, 이 또한 T-P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천 수질에 대한 가축분뇨의 영향을 반영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기상, 지형, 강우유형, 영농활동, 토지이용방식이 상이한 시·군을 대상으로 취득이 용이한 통계자료에 의존하여 양분수지를 분석하여 수질 변동을 해석한 점은 한계로 인정된다.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수질 변동 이해의 측면에서 양분 지표를 이용한 수질의 공간 변이 해석 가능성과 수질 관리의 측면에서 가축분뇨관리(폐수 처리 및 적정 퇴비 시용)의 중요성을 통계적으로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BACKGROUND: Water quality of rural areas are susceptible to agricultural nutrient input and supply such as chemical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nutrient (N and P) indices in understanding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cross Chonnam province which is a typical agricultural region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The nutrient indices including chemical fertilizer supply, livestock manure production, and nutrient balance were correlated with water quality data (T-N, T-P, BOD, and COD) for the twenty-two districts of the province. Concentration of T-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emical fertilizer supply, livestock manure N production, and nutrient balance (P<0.05 or P<0.01). Meanwhile, T-P concentration was not correlated with these nutrient indices;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that T-P concentration increases with livestock manure P production (P=0.06) and with nutrient balance (P=0.09). These results suggest that T-N concentration is susceptible 44 to both chemical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whereas T-P is likely to be affected by livestock manure rather than chemical fertilizer. The concentrations of BOD and COD were also positively (P<0.05 or P<0.01) correlated with livestock manure produc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usefulness of nutrient indices in understanding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suggests that livestock manure rather than chemical fertilizer can be a more critical water pollution source and thus highlights the need for more attention to livestock manure treatments for rural water quality management.

      • 비점원 오염 물질의 동위원소 및 원소함량의 특성을 이용한 오염원 구명 가능성 평가

        전병준 ( Byeong-jun Jeon ),이세인 ( Se-in Lee ),이광승 ( Kwang-seung Lee ),임상선 ( Sang-sun Lim ),박현진 ( Hyun-jin Park ),함종현 ( Jong-hyun Ham ),윤광식 ( Kwang-sik Yoon ),최우정 ( Woo-jung Choi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복합토지이용 유역은 농경지, 축산, 산림, 생활계 등 다양한 비점오염원이 산재해 있어 하천에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배출 경로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영농ㆍ축산ㆍ주거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전라남도 장성군 소재의 풍영정천 유역에서 강우시 하천 유입이 가능한 오염 원인 물질인 경작지 토양(논, 밭, 과수원), 사료(임신우사료, 우사료, 계사료), 볏짚, 낙엽, 가축분(우분, 계분), 퇴비 시료를 채취하여 동위원소 및 원소함량을 분석하고 오염 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토양의 경우 밭(탄소 : -25.4±0.3‰, 질소 : 9.6±0.5‰)과 과수원(탄소 : -24.2±0.8‰, 질소: 10.6±0.4‰)의 탄소, 질소동위원소비 모두 논(탄소 : -29.6±0.2‰, 질소 : 4.9±0.2‰)보다 높았는데, 이는 밭과 과수원에 탄소동위원소비가 높은 퇴비(탄소 : -24.2±1.4‰, 질소 : 16.3±0.3‰) 시용량이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논토양의 질소동위원소비가 낮은 이유는 혐기적 조건으로 질산화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질산염 용탈이나 탈질에 의한 질소손실이 낮고, 반면에 미생물에 의한 부동화와 재무기화가 순환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토양의 총탄소, 총질소, 무기태 질소, 총인, 수용성인, 기타 금속 함량은 논, 밭, 과수원 토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토양의 Al농도가 타 오염원보다 높았다. 농업/축산 자재 및 농림축 부산물의 탄소동위원소비 중 사료의 탄소동위원소비(-19.7±0.8‰)가 볏짚(-28.2±0.1‰)과 낙엽(-28.3±0.3‰)보다 높았는데, 이는 배합사료의 주원료가 C4 식물인 옥수수이기 때문이며, 이는 가축분뇨의 탄소동위원소비(-23.1±1.8‰)와도 상응한다. 질소동위원소비의 경우 퇴비(16.3±0.3‰)가 화학비료(-1.5±0.5‰)보다 매우 높았고, 산림 부산물인 낙엽(-0.7±0.3‰)이 농림축 부산물인 볏짚(8.1±0.9‰)과 가축분뇨(10.2±3.5‰)보다 낮았다. 그리고 농업/축산 자재 및 농림축 부산물의 원소함량 중 분뇨의 탄질비(20.3±2.8)가 퇴비(14.6±1.9)보다 높았는데, 이는 퇴비화 과정 중에서 CO<sub>2</sub> 손실에 의해 퇴비의 탄질비가 낮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퇴비, 볏짚, 낙엽의 Al/(Ca+K+Mg+Na)는 각각 0.027, 0.031, 0.939로 토양(논 5.8, 밭 5.8, 과수원 6.4)보다 낮았고, (Cu+Zn)/Al는 퇴비(0.6)가 볏짚(0.09), 낙엽(0.14) 및 토양(논 0.002, 밭 0.002, 과수원 0.001)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와 같은 경작지 유형별 토양, 농업/축산 자재 및 농림축 부산물의 탄소, 질소동위원소비와 금속함량 차이를 이용하여 수질 비점오염의 원인과 경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동위원소비와 원소함량비 특성을 이용한 농촌 비점오염원 구명 타당성 평가

        전병준 ( Byeong-jun Jeon ),이세인 ( Se-in Lee ),임상선 ( Sang-sun Lim ),이광승 ( Kwang-seung Lee ),박현진 ( Hyun-jin Park ),함종현 ( Jong-hyun Ham ),윤광식 ( Kwang-sik Yoon ),최우정 ( Woo-jung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Water quality in rural areas is sensitive to a variet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agricultural, livestock-farming, forest, and residential areas due to the multi-purposes land u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stable isotope and elemental compositions of potential pollution sources including livestock manure, nutrient inputs (synthetic fertilizer and compost), agricultural soils (paddy, upland, and orchard), and water samples (paddy drainage water, forest runoff water, and sewage waste water) to explore the potential use of isotopic and elemental compositions in estimating water pollution sourc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ungyoungjeong river watershed located in Jangseong of Chonnam Province, Kore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concentrations of C and N and isotope ratio of C (δ<sup>13</sup>C) and N (δ<sup>15</sup>N) and metal (Ca, Mg, K, Na, Zn, Cu, and Al) concentrations. Each pollution sources have distinct isotopic (δ<sup>13</sup>C and δ<sup>15</sup>N) and elemental composition (Cu and Zn). For example, manure and its compost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isotopic values (δ<sup>13</sup>C and δ<sup>15</sup>N) and metal (Cu and Zn) concentration; whereas synthetic fertilizer had lower δ<sup>15</sup>N. The higher δ<sup>13</sup>C, δ<sup>15</sup>N, and metal concentration were attributed to feeding of less <sup>13</sup>C-depleted corn, <sup>14</sup>N loss from manure, and addition of Cu and Zn to formula feed, respectively. Upland and orchard soils had a higher δ<sup>13</sup>C and δ<sup>15</sup>N due to continuous application of <sup>13</sup>C- and <sup>15</sup>N-enriched livestock manure. Sewage waste water was characterized by a higher Na/Ca ratio reflecting excessive salt use in diet. The N/P ratio of forest runoff water was higher than other water samples probably due to forest soils where P fertilizer is not supplied.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the potential water pollution sources have contrasting isotopic and elemental compositions and thus it may be possible to use such characteristics in identifying water pollution sources.

      • 퍼베이시브 컴퓨팅을 위한 가상기계의 어셈블러

        전병준 ( Byung-jun Jeon ),이창환 ( Chang-hwan Yi ),오세만 ( Se-man 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최근 유·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소규모 장치의 개발 기술이 향상되면서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서는 다양한 생활용품에 장착 가능한 소규모 장치와 센서 등을 사용한다. 소규모 장치와 센서들은 다양한 기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 환경과 실행 환경의 호환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가상기계 플랫폼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가상기계는 규모가 크고 높은 컴퓨팅 파워를 요구하기 때문에 퍼베이시브 환경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퍼베이시브 환경에 적합한 가상기계의 어셈블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가상기계인 EVM의 어셈블러를 수정하여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어셈블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적은 리소스만을 제공하는 소규모 가상기계에 적합하도록 EVM의 객체 지향 특성과 불필요한 명령어를 제거한다. 수정된 새로운 가상기계 플랫폼을 위한 어셈블러를 통해서 가상기계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파일 포맷을 생성할 수 있다.

      • 토양환경 분야PS-05 : 수질 시료 용존유기탄소의 탄소동위원소비 분석 방법: 알칼린 과황산 산화법과 동결건조 연소법 비교

        전병준 ( Byeong Jun Jeon ),함종현 ( Jong Hyun Ham ),임상선 ( Sang Sun Lim ),이광승 ( Kwang Seung Lee ),이세인 ( Se In Lee ),박현진 ( Hyun Jin Park ),유서진 ( Seo Jin Yu ),이상모 ( Sang Mo Lee ),박용세 ( Yong Se Park ),윤광식 ( Kwa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is a key parameter of water quality assessment as DOC is directly associated with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arbon isotope composition (δ13C) of DOC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DOC sources since organic materials have distinguished δ13C values affected by their source; for example C3 vs. C4. In this study, we compared two methods (alkaline persulfate oxidation and freeze drying-combustion). For the alkaline persulfate oxidation method, glucose (-12.0‰) was used as a standard material. Glucose solution (10 mg L-1) was oxidized with alkaline persulfate (10 mL) in the presence of SrCl2 (for precipitation of CO2) under a variety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en the precipitates (SrCO3) were analyzed for δ13C. The measured δ13C were -25∼-17‰ and thus the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were not satisfied. For the freeze drying-combustion method, five reference materials (-23.3∼-12.0‰) were prepared by mixing glucose (-12.0‰) and compost extracts (-23.3‰). The solutions (150 mL) containing the reference materials were freeze-dried after addition of 700 mg of K2SO4 (for increasing quantity) and then the powder was analyzed for δ13C.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y=1.1328x + 6.7348, r2=0.98, P<0.001) between the calculated values (y) and measured values (x).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freeze drying-combustion can produce more reliable δ13C measur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kaline persulfate oxidation method.

      • KCI등재

        항고소송과 당사자소송의 관계

        전병준(Jeon Byeong Ju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총 Vol.21 No.2

        현행 행정소송법에는 당사자소송이 항고소송과 함께 행정소송의 한 유형으로 규정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항고소송(취소소송)중심으로 행정소송이 운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행정소송법 개정움직임과 더불어서 취소소송중심의 관행에서 벗어나, 공법상 당사자소송을 적극활 용해야 한다는 견해들이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근래에 당사자소송의 논쟁의 현상에 비추어 항고소송중심주의가 나타난 이유를 밝히고, 항고소송중심주의의 한계를 밝히고자한다. 또한 당사자소송이 왜 활성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거와 당사자 소송의 활용가능성과 적용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공ㆍ사법 일원화경향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가 아니면 양자를 엄격히 구별해야하는가에 대한 견해의 대립과도 연결되어있다. 당사자 소송의 활성화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일찍이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유력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으나, 실무와 이론적 괴리는 상당한 기간 계속 되어 관행화되어 왔다. 행정소송법의 개정작업이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은 이미 ‘개정행정사건소송법’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행정소송법개정논의가 치열하게 전게 되었으며, ‘행정소송법 개정법률안’이 입법예고 되어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그 동안의 양국의 법 개정과정에서 어떠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행정소송법의 개정과정에서 항고소송과 당사자 소송에 관한 치열한 논의가 전개되어왔으며, 이 논의는 비단 행정소송에 관한논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행정법전체에 걸친 큰 이해의 틀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There is purpose of this paper that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Revocationlitigation' and 'Partylitigation'. 'Partylitigation' is prescribed to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with 'Revocationlitigation'. but Actually, administrative litigation have applied to 'Revocationlitigation's center. Recently, depart from these traditional practice and opinionses that must utilize actively 'Partylitigation' are insisted. Therefore In this paper, wish to make a essential study in specific dispute about limit of the 'Revocationlitigation' through argument of recent times. Also, argue about reason which ‘'Partylitigation’ should be activated. These discussions were involved with Unification of Public Law and Private Law. Recent times, revision of Administrativelitigation Law was achieved in Korea and Japan. In this process, discussion about activation of 'Partylitigation' was spread hard. Therefore through study of discussion In law revision process, in two countries, think that systematic interest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