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경로당 기능 활성화를 위한 경로당 이용실태 연구 - 경상북도 농촌 경로당을 중심으로 -
전동진,이상홍,김영화,Jeon, Dong-Jin,Lee, Sang-Hong,Kim, Young-Hwa 한국주거학회 201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5 No.4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user-orient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spatial plan of senior centers that provide the elderly with leisure and welfare functions for in rural areas. Five counties with the highest ratio of the elderly of 65 or over were selected from Gyeongsangbuk-do rural areas. The study classified the senior centers into 5 types depending on their floor plan,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on the representatives and users of the centers using open-end questions through one-day observation on the spot, and performed actual measurement of the floor and analysis of current use. Based on above research, the result was drawn by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current use, and requirements. The study is intended to serve as preliminary data for future plan of senior centers in rural areas.
전동진(Jeon, Dong-Jin),정진홍(Jeong, Jin-Hong) 한국정보법학회 2012 정보법학 Vol.16 No.2
최근 개인정보의 해킹사고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에 따라 기업의 CEO나 최고경 영진이 새로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각자의 비즈니스 환경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관심이 많아 졌다. 이 논문은 전체 개인정보보호법 중에 제 3조 개인정보보호 법의 기본 보호원칙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본원칙의 유래와 근간을 연구한 결과 OECD 기본 8원칙의 국제표준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개인정보보호법과 OECD 8원칙 조항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제70조에서 제75조 조항 중 주요 벌칙조항들은 기본원칙을 어긴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고 개인정보를 제 3자에 제공하는 것은 가장 엄중한 처벌조항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 중 특히 벌칙조항에 대해 민사소송 및 형벌사항에 대한 준비를 위하여 상세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private information data leakage recently, most of CEO and top managers are interested in the new law to protect their private information data with their business environments from hacking. Among the whole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we focused on the third article that is basic principles of the new law. we have been traced the principles of new law its origins, that was originated from OECD 8basic principles. As result, following were found, The basic principles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correspond with OECD 8principles. The main punishments of the 70-75th articles regarded as breaking the basic principles. To offer private information data to the others by fraud without customer’s agreement is treated with the most severe punish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some detailed guidelines to prepare the new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specially punishments from lawsuit and any other penalty.
전동진(Jeon, dong-j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1
이 글에서는 웃음의 특징 중 하나인 비반복성에 주목했다. 웃음의 비고정성을 주제나 대상을 드러내는 문체적 특징으로 보았다. 유동적인 사태가 함의하고 있는 정체성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이성적 윤리(스타일)보다는 감성적 윤리(스타일)가 유용할 것이다. 인과 관계에서 벗어난 웃음은 우연하게 흐름을 형성한다. 다양한 관계를 따라 웃음을 퍼진다. 웃음은 의미의 맥락을 타고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의미 해석은 연기된다. 먼저 그 동안 제안된 웃음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웃음은 감정적인 것을 포착하는 데 위력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한 발 나아가 직관성에 주목해 웃음의 의미망을 확장했다. 직관을 감각직관, 사물직관, 사태직관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확장 된 직관을 통해 손광은 시에 표상된 웃음을 분석하고 해석했다.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정서의 순간적인 흔들림을 가장 강하게 주는 것이 웃음이다. 웃음은 반복되고 움직이면서 개인의 스타일을 그린다. 이런 스타일의 반복을 통해, 사회 및 문화적인 스타일로서 패턴을 이룬다. 단어 윤리에 속하는 편견을 희석시키기 위해서는 스타일면에서 감정적 윤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Laughter is characterized by being non-fixed. We cry twice in the same way, but is hard to laugh twice with the same thing. I saw the non-repetition of laughter as a stylistic feature that reveals the subject or object. In order to capture the identity that emerges in the flowing things, we need emotional ethics based on flexibility, not regulatory reason ethics. Laughter outside causal relationship forms an accidental flow. Laughter that spreads along various relationships does not flow in the context of meaning.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is postponed. I have explored the concepts of laughter focusing on Bergson"s laughter. I have extended the intuition known as empowering to capture emotional things. This is the principle of working emotional ethics. I divided my intuition into three: Sensory intuition, Thing intuition, Scene intuition. Through the extended intuition, I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laughter expressed in the Son Kwang eun’s poems. A momentary shake about an object or situation repeats and moves, drawing the individual"s styl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is style, the social and cultural style becomes a pattern. In order to dilute the prejudices attached to ethic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ethics in terms of style.
다문화 이주 학습자를 위한 문화 활용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제언
전동진(Jeon, Dong-jin),조경순(Jo, Kyeong-sun)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9 No.-
학습자의 문식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리, 어휘, 의미 해석, 기본 문장 구조에 대한 인식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 인식 요소 중 본 연구에서는 기본 문장 구조에 주목하며, 다문화 이주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읽기?쓰기 능력과 함께 문식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한국어 문장 구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이주 학습자에 대한 언어 기능 배양뿐만 아니라 다문화 이주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한국문화를 수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다문화의 창안자로 역할 하기 위해서는 문화를 활용한 체계적인 한국어 쓰기 교육이 요구된다고 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 문화, 전통 등과 결부된 언어 개념 즉 문화로서의 언어 개념을 한국어 교육에 도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다문화 이주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생성 능력과 문화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한국어 쓰기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고 문화를 활용한 교육 방법을 제안한다. It is asked for us that to develop original theory of Korean education and teaching & leaning method in Korea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focus on fostering writing-ability and cultural comprehension through strengthen the sentence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to be designed language teaching about Korean writing-lecture as foreign languag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ve tended to be based in certain areas since. Since the late 1990s, it was a switch to mainly communication. In recent years, it was suggested to have a balanced education. With a step further in here, we wanted to present the measure that can be towed with grammar teach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writing-training. This is helping to organize the Korean curriculum 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전동진 ( Jeon Dong-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9
문화적 글쓰기는 언어적 측면에서 문화시학을 지향하고 있다. 우리는 신역사주의와 문화시학을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경우를 종종 보아왔다. 이 둘 모두는 사실성과 객관성을 추구하는 역사주의를 비판한다. 그런데 둘은 다음과 같은 지점에서 서로 입장을 달리한다. 신역사주의 비평가들은 개별적 존재자들의 일화가 사회적 의미로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개인의 일화를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다. 반면 문화시학비평가들은 특정 사건, 사물에 대한 글쓰기를 통해 마련되는 스타일에 주목한다. 인간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특정한 시공간에 대한 이야기들은 다채로운 방식으로 전달된다. 문화시학 비평가들은 특별한 일에 대해 반복되는 수많은 스타일의 이야기를 통해 형성되는 플롯을 목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는 시편들에 나타난 모닥불의 문학문화사를 구축했다. 모닥불은 마을의 중심에서 타올랐고, 모닥불이 곧 텍스트이기도 했다. 또 우리는 변혁과 혁명의 모닥불, 민족의 역사를 담고 있는 모닥불도 만날 수 있었다. 문화어로서 모닥불의 플롯은 모닥불에 대한 다채로운 글쓰기 스타일을 통해 역동적으로 흐르고 있다. 문화적 플롯은 운동경기의 규칙과 달리 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특별한 목적을 상정하지도 않는다. 우리는 문화 플롯을 반복되는 물결무늬를 지칭하는 `무아레`라고 부를 수 있다. 문화적 플롯은 공동체의 기억을 저장하고 있다. 이것은 화석처럼 굳어진 것이 아니라 생생하게 살아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기억들을 새로운 시·공간에서 끊임없이 재현해 냄으로써 생활 세계에 역동성을 불어넣을 수 있다. 공동체의 기억이 건강해야, 이것이 새롭게 재현될 미래 역시 건강하고 정의로울 수 있는 것이다. Cultural writing has intended cultural-poetics aspect of words. We had seen a case that hadn`t separated new-history and cultural-poetics occasionally. They have criticized historicism that had pursued factuality and objectivity. They were divided direction at this point, New-historicism critics believed that happening of being of individual could expand to social-cultural meanings. A episode was taken very seriously to new-historicism critics. Otherwise, cultural-poetics critics have paid attention to style through writing to things. Story-telling has many way to transmit about story of Lifeworld here and now. Cultural-poetics have a goal to seize a plot that was formed through to repeat multifariousness style of specific case. By such a understanding, I constituted a literary-cultural history of a bonfire that was represented on poems. A bonfire burned at the center of village and was text itself. We could have met a bonfire as a change and a revolution, history of nation and so on.. A plot of bonfire as cultural-word can flow dynamically through many written style of a bonfire. A cultural plot is not specified otherwise than the rules of sport. It also does not address specific goals. We could call cultual-plot to be `Moire` that was seemed to like a coastline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either fixed mapping or unspecified changing by waves. Cultural polt is storing the memory of the community that is not a hardened fossil but is alive. One day in the future by reproduce them, we will be able to configure new TimeSpace to unfold our Lifeword. So the memory of the community must be healthy. So that our future can b healthy and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