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문판 무용참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장혜주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3

        Engagement is a psychological construct that was originally defined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to refer to the emotional, cognitive and physical components that drive people to get actively involved in their occupational duties. The Athlete Engagement Questionnaire(AEQ: Lonsdale, Hodge, & Jackson, 2007) conceptualizes engagement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mprising four factors: confidence, vigor, dedication and enthusia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apt the AEQ into Korean version of dance engagement questionnaire(DEQ). DEQ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60 university dance students and data were subjected to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llowing an EFA and CFA, a final model, with 16 items and four first-order fac- tors (confidence, dedication, vigor, and enthusiasm), exhibited a good fit to the data(x2=407.22. df=98, p=.001, Q=4.15, TLI=.922, CFI=.937, RMSEA=.074). In the final stage associations between dance en- gagement and grit provided evidence for the nomological validity of the DEQ. The results confirmed that all four dimensions were related to a engagement factor in a university dance setting.

      • KCI등재

        무용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자기조절학습 및 수업참여간의 관계

        장혜주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3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Bandura, 1986)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Zimmerman, 2011),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tructs of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gagement in dance classes. A total of 352 university danc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nduct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students’ self-efficacy were a predictor of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 expectancy, self-regulated learning, and class engagement. Students’self-efficacy indirectly influenced on engagement in dance classes throughout positive negative outcome expecta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of multi- group analysis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ies, self- regulated learning, and engagement in class were invariant across dance care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regulate their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s effectively and to have a strong belief for successful performance.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자기효능감 이론(Bandura, 1986)과 자기조절학습 이론(Zimmerman, 2011)을 무 용수업에 적용시켜 대학생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의 구성개념과 자기조절학습 및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검증하 고,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대학생의 무용경력 수준 간에 동일한지를 검증하는데 두었다. 연구대상은 무용학과 대학생 352명(남학생 60명, 여학생 292명)이며,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이용하여 처리 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는 무용시간에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긍정적 결과기대, 부정적 결과기대, 자기조절학습 및 수업참여를 결정짓는 예측변수이며, 자기효능감이 긍정적 부정적 결과기대와 자기조절학습을 통해 수업참여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대학생의 자기효능 감과 긍정적 결과기대, 부정적 결과기대, 자기조절학습 및 수업참여 간의 관계는 무용경력 고/저 집단 사이에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대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자 신감을 갖고 인지적, 동기적 및 행동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자기조절을 하는 기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 무용수업에서 지각된 동기분위기, 3×2 성취목표 및 정서간의 구조적 관계

        장혜주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3×2 성취목표이론(Elliot et al., 2011)에 근거하여 무용시간에 지각된 동기분위기, 다중 성취목표 및 정서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두었다. 연구대상은 무용전공 대학생 422명(남학생=79명, 여학생=343명)이며,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는 무용시간에 지각된 숙달분위기는 대학생들의 과제접근목표, 자기접근목표와 타자접근목표를 통해 긍정적 정서에 정적으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며, 지각된 수행분위기는 과제회피목표, 자기회피목표와 타자회피목표를 통해 부정적 정서에 정적으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무용과 대학생들의 다양한 성취목표가 지각된 동기분위기와 긍정적 부정적 정서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무용시간에 대학생들이 긍정적 정서를경험하기 위해서는 보다 과제 숙달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Based on 3×2 achievement goals framework (Elliot et al., 201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chievement goals, and emotions in dance classes. Subjects were 422 university dance students (79 males, 343 females).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mastery climate in dance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s throughout three types of 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 climate positively influenced on negative emotion throughout three avoidance go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iversity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dance classes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emotion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enhance a task-oriented climate in order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in dance classes.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각된 교수행동과 심리적 욕구만족 및 무용참여간의 관계:내 적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혜주 대한무용학회 202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1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the mediation of the perception of teaching behaviors supporting dance students’needs for autonomy, com- petence, and relatedness into engagement in classes via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epends on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A sample of 375 uni- versity dancers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procedures in terms of moderated mediation. For this, dancers’ perceptions of need-supportive teaching behaviors, basic need satisfac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dance engagement were assesse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dicated that university dancers’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par- tially mediated the need-supportive teaching behaviors-dance engagement relationship. This indirect effect was conditional on the level of intrinsic moti- vation, insofar as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cted as a mediator of the need-supportive teaching behaviors-dance engagement relationship only for individuals with high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In conclusion, results sug- gest that university dance students’ perception of need-supportive teaching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their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in- trinsic motivation fostering engagement in a dance class.

      • KCI등재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지식과 간호실무 역량요인의 상관성 분석

        장혜주,이주희,남애리나,김희정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1

        Purpose: For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relationships betwee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and their clinical competencies in sedation practice. Methods: Ninety one ICU nurses were recruited from two tertiary hospitals in South Ko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levels of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and nursing practice competence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1.0 Results: ICU nurses are more knowledgeable about general information on sedation rather than up-to-date information. Continuing education on sedation was related to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s. However, the levels of knowledge were not related to competence in sedation practice. Inste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sedation practi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ubjective norms; orders and goal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actice of sedation, and intention to u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levels of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practices of Korean ICU nurses. Continuing education should emphasize up-to-date information on sedation practice and need for positive attitudes which influence all other competencies towards sedation practices to achieve optical care of sedation in the ICU.

      • KCI등재

        무용학과 대학생의 마인드셋과 목표달성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과제수행의 매개효과

        장혜주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성장과 고정 마인드셋이 그릿과 과제수행을 통해 목표달성에 미치 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두었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387명(남학생=58명, 여학생=329명)이 며, 마인드셋과 그릿, 과제수행 및 목표달성을 측정하는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는 기초분석을 위해 기술통 계와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이 실시되었으며, 4개의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처리되었 다.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은 노력지속성을 촉진시켜 과제수행을 높임으로 써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에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드셋은 각각 노력지속성과 흥미일관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과제수행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과제수행은 이들의 목표달성에 기여하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무용관련 능력이 학습과 끈기와 열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과 지속 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성공적인 과제수행과 목표달성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KCI등재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장혜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연구의 세 가지 핵심 개념을 이용하여 무용전공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이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개인 정체성을 통해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개인 정체성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무용경력 수준에 따라 다른가를 평가하는 데 두었다(구조계수의 불변성 검증). 방법 연구대상은 수도권과 강원 지역의 4개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423명의 학생들(남학생 44명, 여학생 379명)이다. 이들의 평균 무용경력은 7.38±3.81년이며, 평균 나이는 21.04±2.63세이었다.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이용하여 처리되었다. 결과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개인 정체성은 성장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창의적 능력이 학습과 노력으로 바뀌지 않는다는 고정 마인드셋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개인 정체성을 통해 과제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창의적 마인드셋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개인 정체성, 그리고 과제수행 간의 관계는 무용경력과는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능력이 학습과 연습을 통해 성장될 수 있다고 믿는 사고방식과 창의적 능력에 대한 믿음 및 정체성이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성취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결정요인임을 시사하며, 이를 위해 창의적 학습환경 조성, 외적 보상 및 효과적인 피드백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reative mindset on task performance through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 identity in dance majors using three core concepts of creativity research (to test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 identity) and to evaluate whether these structural relationships differ by dance experience level (to test the invariance of structural coeffic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3 students (44 males and 379 females) majoring in dance at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angwon Province. Their average dance experience was 7.38±3.81 years, and their average age was 21.04±2.63 years.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The hypotheses were tested as follows: First,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 identity of dance majors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task performance. Second, the fixed mindset that creative ability does not change with learning and effort does not influence task performance through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 identity.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mindset, creative self-efficacy, creative personal identity, and task performance are the same for all students regardless of dance experienc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indset of believing that creative abilities can be developed through learning and practice, as well as beliefs and identities about creative abilities, are determinants that can promote achievement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are discussed in terms of creating a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providing extrinsic rewards and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