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도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국소형 자가면역성 췌장염

        장영주,양기영,김상범,박선후,안영,양재현,이종환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

        Autoimmune pancreatitis (AIP) is a rare pancreatic disorder of autoimmune etiology. It has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such as pancreatic parenchymal swelling and irregular narrowing of the main pancreatic duct due to plasma cell infiltration. It occurs mostly in Far East Asia. Although it generally involves whole pancreatic parenchyma, some cases demonstrate focal involvement of the pancreas or adjacent organs, which are often mistaken for cancer. We report a case of AIP that was confused with cholangiocarcinoma of the distal common bile duct (CBD). The patient experienced sudden development of jaundice with vague abdominal discomfort.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well-enhanced lesion,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howed high standard uptake value at the distal CBD, indicating malignant disease. However, pathological examination by surgical excision indicated focal-type AIP. This is believed to be the first case of focal-type AIP mimicking cholangiocarcinoma. (Korean J Med 2011;80:S121-S125) 자가면역 췌장염은 전형적으로 췌장의 미만성 종대, 전반적인 주췌관의 협착 등의 소견을 보이며 담관의 협착 등의 소견을 보이지만 최근 들어 다양한 양상의 비전형적인 자가면역 췌장염의 보고가 늘고 있다. 자가면역 췌장염의 원위부 총담관의 침범은 흔히 관찰되며 가끔 담관암으로 오인되기도 하며 수술 후 진단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자가면역 췌장염의 국소적인 담관침범으로 담도암과의 감별이 어려웠던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멘토링-여성에게 더욱 필요한 멘토링 남성중심사회에서 스스로 성공가치 높인다

        장영주 대한간호협회 2004 대한간호 Vol.43 No.1

        남성주의 사회에서 여성들이 기회를 갖기란 쉽지 않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유독 여성에게는 여류라는 이름을 붙인다. 일종의 차별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차별적 요소를 극복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멘토링이 거론되고 있다.<중략>

      • KCI등재

        현수교의 중앙경간과 새그비에 따른 경관선호도와 이미지특성 분석

        장영주,손승녀,금기정,오흥운 한국도로학회 201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1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a plan for creating a landscape environment by grasping a landscap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iddle span and sag ratio which is a consideration factor when designing the suspension bridge representing long-span bridges and image property of the bridge while applying SD method to a relation between landscape preference and image factor, and a connection of design element with image factor. An analysis on landscape preference about the bridge landscape showed from what the longer the length of middle span, the extent of sag ratio of preference decreased, the longer the middle span low sag ratio was preferred and the higher the landscape preference became. In landscape preference and image factor, the attribute of sag ratio with high landscape preference was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bility”“, plasticity”, and “aesthetic”but an influence of“ plasticity”was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design element and image factor, the factor of middle span and sag ratio was more related to the factor of“ stability”and the lower the sag ratio and the longer the middle span, the higher the“ stability”was rated. This result showed the image property of “plasticity”was insignificant among the one of preference in landscape and to highlight the one of “plasticity”a complementary experiment was done with a change in balance and symmetry elements not in proportional element of middle span and sag ratio. The result showed the image property of “plasticity”was more highlighted in the suspension bridge of 3-tower and different bilateral symmetry at sag, and when designing the landscape of suspension bridge later on, the elements of balance and symmetry as well as the proportional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design.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안정성”“조형성”“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안정성”이 높게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건물의 상시진동계측과 인력가진계측을 통한 동적특성 비교

        장영주,조봉호,김홍진,Jang, Young-Ju,Cho, Bong-Ho,Kim, Hong-Ji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4 No.3

        본 논문에서는 저층건물을 대상으로 상시진동계측과 인력가진계측을 수행하고 동적특성을 산정하여 계측방법에 따른 고유진동수, 감쇠비, 모드형상 식별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가진기 실험이 어려운 구조물에 대한 동적특성 산정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계측결과 인력가진계측을 통해 구한 감쇠비가 상시진동계측을 통해 구한 감쇠비에 비해 큰 값을 산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측방법과 상관없이 모드형상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방형 건물의 경우 장방향의 강성이 커서 단방향으로 1차모드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내부 칸막이벽이 조적조인 경우 조적에 의한 강성기여분이 상당히 커서 장방향으로 1차모드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e transient vibration test and synchronized human excitation is performed for low-rise concrete buildings and their identified natural frequency, damping ratio, and mode shape are compared. Form the identified dynamic parameters, it was found that the damping ratio obtained through the synchronized human excitation test is greater than those obtained from the transient vibration test. However, the mode shapes of the first mode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the test method. Further, the stiffness of the interior brick partition considerably affect the stiffness of the entire building such that the first natural mode of rectangular shaped building occu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ther than transvers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