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롭테크(Proptech)와 가치평가: 랜드북 AI 가치평가를 사례로

        임혜연 한국감정평가학회 2020 감정평가학논집 Vol.19 No.1

        This study examines AI valu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of proptech with the case of Spacewalk, a Korean proptech startup that possesses AI valuation technology. Landbook service developed by Spacewalk estimates feasibility of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AI technology(Deep Reinforcement Technology). Landbook AI valuation is meaningful because it lowers the cost of analyzing real estate information in terms of efficiency and solves information asymmetry, thereby lowering the barrier to entry into the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development in terms of equity.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프롭테크 분야의 AI 가치평가 기술을 고찰하기 위하 여 AI 가치평가 엔진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국내 기업인 스페이스워크의 랜 드북 서비스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먼저 국내 부동산 분야에서 AI 가치평가가 필요 한 이유를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고, 랜드북 AI 가치평가를 구성하는 빅데이터 및 인 공지능 기술(심층강화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소규모 개발의 사업성을 평가하는 랜드북 서비스와 해당 기술을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AI 가치평가는 효율성 측면에서 부동산 정보를 분석하 는데 투입되는 비용을 낮추고, 형평성 측면에서는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여 부동 산 거래와 개발 분야의 진입장벽을 낮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 기반의 잠재적 붕괴위험 노후건축물 도출 방법 및 서울특별시 적용 연구

        임혜연,박철영,조성현,이강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d method for analyzing old buildings with risk of collapse using public big data. Previousstudies on the risk of building collapse focused on internal factors such as building age and structural vulnerability. However, this studysuggests a method to derive potentially collapsible buildings considering not only internal factors of buildings but also external factors suchas nearby new construction data. Based on the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develops a system to visualize vulnerable buildings that requiresafety diagnosis and proposed a future utilization plan.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붕괴위험이 있는 노후건축물을 도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건물 붕괴 위험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건물 내구연한이나 구조적 취약성과 같은 내적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건물의 내적요인 뿐만 아니라, 인근 신축공사 데이터와 같은 외적요인까지 고려하여 잠재적으로 붕괴위험이 있는 건축물을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붕괴위험이 있는 건축물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시스템화하고 시각화하여 우선적으로 안전진단이 필요한 노후건축물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 고속 움직임 추정 모듈 설계를 위한 개선된 블록 정합 알고리즘 개발

        임혜연,강대성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8 硏究報告 Vol.30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region sum of pels of block to improve the motion estimation part in H.264/AVC. H.264/ AVC, image compression standard, shows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ssion efficiency by using various up to date techniques. But this standard needs much computation because of high complexity. Two main features of H.264/AVC standard ate the high coding efficiency and network friendliness. In spite of these outstanding features, it is not easy to implement H.264/ AVC CODEC as a real-time system due to its high requirement of memory bandwidth and intensive computation. Although the variable block size motion compensation using multiple reference frames is one of the key coding tools to bring about its main performance gain, it demands substantial computational complexity due to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calculation among vector.

      • KCI등재

        Reduction of Chronic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by Surgical Traction: Two Cases Report

        임혜연,박상준,정태영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7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42 No.2

        Chronic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is defined as an acute dislocation that cannotbe reduced or that recurs for more than one month. The management of dislocation dependson patient status and the duration of dislocation and ranges from conservative reduction to asurgical approach. In the present cases, a 64-yea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fortreatment of chronic dislocation for 6 weeks. The dislocation might be occurred by endotrachealintubation. A 70-year-old female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with repeat right condyledislocation after reduction of dislocation at a local clinic. When she visited for later treatmentof new dentures, her condyle had been dislocated again for several weeks. In both cases,we tried to treat the dislocation with several manipulations, which were unsuccessful. Finally,chronic dislocation was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 trac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outrelapse. Surgical traction is a simple, effective option with the lowest morbidity of surgicalprocedures for chronic dislocation when conservative reduction is unsuccessful.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신규주택 공급량 및 노후주택 대체효과 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

        임혜연 ( Lim Hae Yeon ),이정란 ( Lee Jeong-ra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不動産學硏究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의 신규주택 공급 및 주택 노후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비수단으로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잠재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전역의 도로, 토지, 건축물 데이터를 결합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법적 요건, 사업성 요건, 사업추진가능성 요건을 누적적으로 충족하는 사업가능대상지 총 5,304 개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업가능대상지를 통해 공급가능한 최대 신규주택 공급량으로 총 405,570세대가 산정되었으며, 이는 서울시 노후주택 650,005호의 62.4% 수준이다. 더 나아가 저층 주거지를 구성하는 비아파트 주택 유형만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노후주택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신규주택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다룰 수 없었던 가로주택정비사 업이 가진 주택공급 잠재력을 검증함으로써,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서울의 주택 노후화 문제 해소 및 노후 · 불량한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대안적 정비모델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otential of Urban Block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s a maintenance tool to solve the problem of new housing supply and deterioration of housing in Seoul by using big data. To the analysis, big data combining road, land, and building data from all over Seoul was established, and a total of 5,304 potential development sites that cumulatively satisfy legal requirements, feasibility requirements, and development potentiality were derived. A total of 405,570 households were estimated as the maximum amount of new housing that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erived potential development sites, which is 62.4% of the 650,005 aged housing units in Seoul. Furthermore, when focusing only on non-apartment ho니sing types that constitute low-rise residential area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a sufficient new housing supply is feasible to replace aged housing in most districts of Seoul. This study utilized big data to verify the housing supply potential of Urban Block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hich could not be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Thes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Urban Block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has sufficient potential as an alternative maintenance model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housing in Seoul an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and poor low-rise residential area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임혜연 ( Hye Yeon Lim ) 한국유통법학회 2016 유통법연구 Vol.3 No.2

        의약품은 국민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재화일 뿐만 아니라, 공적 자금인 국민건강보험재정으로 그 비용이 지급되기 때문에 의약품은 연구 및 개발 단계는 물론 제조/수입 및 판매에 이르는 유통과정 전반에 약사법 등에 따라 엄격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고, 요양급여대상 의약품의 경우 요양급여 상한금액이 복지부장관의 고시로 정해지고 실거래가 상환제가 적용된다. 이러한 의약품 규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의약품 유통에 있어서 의약품 제조자/수입자는 도매업자의 제반 광고, 판촉 및 유통활동을 통제할 필요가 있고,도매업자가 요양기관과의 거래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제조자/수입자의 영향력이 상당 부분 미칠 수밖에 없다. 의약품 유통의 주요 법적인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도 위와 같은 규제적 특성 및 제약산업의 본질적 특성 등이 고려되어 합리적인 해석과 적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먼저, 제약사들이 의약품 판촉목적으로 의료기관 또는 의료전문가등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규율하는 약사법/의료법상 쌍벌제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의약품 판매의 경쟁 수단의 제한성 및 마케팅, 광고, 판촉활동의 제한성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활동의 위법성을 주관적인 판촉목적을 중심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환자들의 이익을 중진하고 국내 의료계, 의학계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활동인지를 고려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제약회사들의 제반 학술 · 연구 활동과 그에 대한 지원 및 환자를 위한 진료 보조 활동 등에 대해서는 규제완화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특히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 및 `재판매가격 유지행위`를 규율함에 있어서도, 의약품 제조자/수입자의 도매상에 대한 통제의 합리적인 필요성 및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의 적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의약품에 대한 제조물책임을 판단함에 있어서도 해당 의약품의 연구 및 그 제조/수입, 유통 및 표시, 광고 등에 있어서 약사법령이 요구하는 제반 규정과 기준 등을 준수하였는지가 제조물 책임 인정의 주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Pharmaceutical products are the goods which influence directly to health of the people, and the price therefor are reimburs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und which is public fund. Therefore, the whole distribution courses for pharmaceutical products including R&D, importing and manufacturing, and sale of them is regulated strictly by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the "PAA"),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ices for Pharmaceutical products list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re decided as the Public Notice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dealing with main legal issu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Pharmaceutical products,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 of regulation and nature of Pharmaceutical industry should be considered and 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levant law is required. First, I believe that in application of `dual punishment provisions` of the PAA/Medical Affairs Act, I believe that the regulations over any academic or research activities which may objectively improve medical standard and increase benefits of patients should be relaxed based on understanding that the methods for competition, marketing, advertisement and promotion activities for Pharmaceutical products are limited. In application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which prohibits unfair trade practices, especially `Abuse of superior status in the Transaction` and `Resale Price Maintenance` to pharmaceutical industry, reasonable needs for importers/manufacturers to control over their wholesalers or distributors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should be considered. In deciding the product liability for Pharmaceutical products, I believe that it can be the main standard whether research, manufacture/import, distribution, and indication/advertisement for the relevant pharmaceutical products has complied with all the conditions and standards required by the PAA and its subordinate regulations.

      •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의 코너점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동 객체 검출

        임혜연(Hye-Youn Lim),강대성(Dae-Seong K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11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에서 코너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동 객체를 검출 및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코너점 알고리즘 중 SIFT 알고리즘은 좋은 성능을 가지지만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IFT의 속도를 개선하여 고속으로 코너점을 검출하는 SURF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객체 겹침일 때도 지속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으로 깊이 지도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추적 알고리즘은 간단한 구현이 가능한 meanshift 알고리즘을 토대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고속으로 검출된 코너점들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탐색 윈도우도 변화하도록 제안하였다. 즉, 조명이나 객체의 크기 변화에도 강인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정확성에서 객체 추적이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a moving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corner points algorithm based on a stereo camera.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algorithm has good processing, but slow processing time. Therefore, speeded up robust feature (SURF) algorithm which is improved to SIFT algorithm is applied to our method. Images based on a stereo camera used to the proposed method for continuous tracking during object occlusion and meanshift algorithm used tracking algorithm is able to simple implementation. We present robust object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illumination and variable object size with generated adaptive search window using fast corner points detection of SURF algorithm. Comparative results from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improved performances in terms of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