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MP-2를 함유한 2상 알지네이트 담체를 이용한 골수줄기세포의 골분화

        임현주,김학태,오은정,김태정,김한도,최진현,정호윤,Lim, Hyun-Ju,Kim, Hak-Tae,Oh, Eun-Jung,Kim, Tae-Jung,Ghim, Han-Do,Choi, Jin-Hyun,Chung, Ho-Yun 대한성형외과학회 201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7 No.3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vel BMP-2 delivery system for continuous osteogenic differentiation and to induce osteogenesis of stem cells using a bi-phase alginate carrier in vitro. Methods: Alginate nanoparticle loaded BMP-2 was prepared by the reverse emulsification-diffusion technique. Physical properties and release profiles of alginate carriers were measured by Instron and ELISA kit, respectively. Cell viability and alkaline phosphate activity of hBMSCs differentiation was also evaluated by MTS and Metra BAP assays, respectively. Results: Optimal concentration for bi-phase alginate carrier was determined as 2 wt% by evaluating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nd differentiation of BMSCs for bone regeneration. The 2% bi-phase alginate carrier had the lowest initial and final release ratio. In addition, the 2% bi-phase alginate carrier had a little higher ALP activity than the homogeneous carrier. An improved controlled release profile was obtained by combining alginate hydrogel with lyophilized particles. Conclusion: Bi-phase alginate carrier has many advantages such as biocompatibility and controlled release capability.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as a scaffold and carrier in bone tissue engineering.

      • KCI등재

        경제관련 변인 및 자녀의 기본생활습관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 ( Hyun Ju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관련 변인 및 자녀의 기본생활습관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의 2차년도(2009)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영아 1,904명과 그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모형으로 통계처리하였는데 모델의 적합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경제관련 변인과 자녀의 기본생활습관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경제관련 변인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긍정적이었으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에는 부정적이었다. 자녀의 기본생활습관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긍정적이었으며, 매개변인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통한 효과는 부정적이었다. 즉, 경제관련 변인, 자녀의 기본생활습관은 어머니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참여, 모유수유의 변인들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economic related variables, the children`s developmental profiles-daily routines, and mother` self-esteem on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derived from research statistics on 1,904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he 2nd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09. For the present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a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very good. Findings reveal that the economic related variables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al profiles-daily routines subsequently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stress with the meditation of mothers` self-esteem. The direct effect of the economic related variables on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 and this was negative with the mediating factor of the mothers` self-esteem. The direct effect of the children`s developmental profiles-daily routines on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 and this was negative with the meditation of the mothers` self-esteem.

      • KCI등재

        기질(사회성) 및 가정환경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 ( Hyun Ju Lim ),최선녀 ( Seon Nyeo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질(사회성), 가정환경,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49∼55개월 유아 1,703명과 그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사회성의 기질, 가정환경,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각각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기질(사회성)과 환경적 다양성과 자극 정도를 알 수 있는 가정 환경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children’s temperament(sociality),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peer interactions on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703 children, and from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5st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12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very goo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emperament(sociality) affected on children’s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affected on the children’s creativity. Also, peer interactions variables affected on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ren’s creativity. But, the play inter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영아의 기질과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임현주 ( Hyun Ju Lim ),이대균 ( Dae Kyun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다. 이에 더하여 영아의 기질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 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09) 2차년도 자료가 사용되었는데 2008년에 태어난 영아와 어머니 총 1,904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는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와 영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적 중다회귀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 변인은 기질에서 활동성, 영아의 발달에 있어서는 의사소통과 개인·사회성이었다. 기질 중 활동성은 남아의 점수가 높았으며, 영아의 발달에서 의사소통과 개인·사회성은 여아의 점수가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아의 발달 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영아의 성별, 기질(활동성), 양육방식(온정성), 기질(정서성)의 순서로 영아의 발달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영아의 기질이 영아에 발달에 미치는 과정 에서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매개적 역할을 함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yle on infant`s development. Furth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develop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904 infants who were born in 2008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2st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ethod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fant` gender are found in infant`s of temperament,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sociality. Secon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infant` gender, temperament(activity), mother`s parenting style(warmth), temperament (emotionality), birth order on infant`s development. Thir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on infant`s develop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yle.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불안감,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 ( Lim Hyun-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불안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 변인 간 나타나는 영향력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유아의 긍정적 학습준비도 발달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에 참여한 유아와 어머니 1,620명이다. 연구를 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불안감, 양육행동(온정적, 한계설정), 유아의 학습준비도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를 살폈으며, 변인 간 Pearson 적률상관분석하였다. 또한, 변인 간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는데 모델의 적합도가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온정적 양육행동과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긍정적이었다. 양육불안감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부적영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온정적 양육행동과 한계설정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양육효능감, 온정적 양육행동, 한계설정양육행동은 유아의 학습준비도 발달에 긍정적 강화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others’ parental competence, parental anxiety, and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620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the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4. Cronbach’s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for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variables. The structural model was employed to process statistics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data variables, and the result showed outstanding suitability of the model. As result, mothers’ parental compet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Indirect effect of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and mothers’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as mediators also showed positive impact. Additionally, mothers’ parental anxiety had an adverse effect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However, with mothers’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as mediators, the effect was positive. Lastly,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and mothers’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had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us, mothers’ parental competence,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and mothers’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can act as positive variables of the children’s school readiness.

      • KCI등재

        방문구강보건사업 대상 노인의 현존 자연치아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현주 ( Hyun Ju Lim ),이은경 ( Eun Kyoung Lee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3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3 No.4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in elderly people visiting dental care services and the factors affecting dental visi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people. Methods : Subjects were 172 elderly people recruited from 217 senior citizens visiting public oral health care services in 16 districts in Busan. They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 Elderly people had less remaining natural teeth (p<0.001). The remaining natural teeth (15.07±8.75) of the health insurance beneficiary were majority than those of the medicaid (8.78±8.45)(p<0.001). The respondents with better oral health condition had more remaining natural teeth (r=0.317, p<0.001), and those who were more worried about oral health had less remaining natural teeth (r=-0.599, p<0.001). Aging accelerates loss of natural teeth (p<0.001) of 3.203. Approximately 2.188 remaining teeth will be preserved by oral health care improvement (p=0.009). Conclusions : Frequent dental clinic visit will prevent natural teeth loss in the elderly people. Toothbrushing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oral health care in the elderly people. Awareness towards oral health care is the motivation to preserve natural teeth in the elderly peop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자아개념 군집에 따른 유아의 발달 차이에 관한 연구

        임현주 ( Lim Hyun-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 자아개념은 어떠한 형태를 지니는지 군집분석하고 나누어진 자아개념 상위·하위 집단에 따라 유아의 발달(언어발달, 인지발달, 또래관계, 문제행동)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연구대상은 60∼66개월 월령의 유아 1,438명과 어머니이다. 데이터는 기술통계, 군집분석, t-검증으로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아개념이 원만한 집단일수록 유아의 언어발달과 인지발달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었다. 유아의 또래관계에서는 유아의 자아개념이 원만하면 또래상호작용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자아개념 하위집단의 유아는 놀이단절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문제행동은 자아개념 하위집단의 유아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유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해 원만한 자아개념의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hild`s language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peer relationship, problem behavior by self-concept development variables cluster analysis. The data of 1,438 child 60∼66 months and their mothers were extracted from the 6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2013).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lustering statistics. The child`s self-concept upper group was excellent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Moreover besides, the child`s self-concept upper group was excellent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child`s self-concept upper group was excellent the child`s peer interactions, child`s self-concept lower group was excellent the child`s play disconnection. Problem behaviors were more prevalent among child`s self-concept lower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a smooth self concept for the child`s positiv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