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양광발전을 위한 6-pulse-shift 전류형 인버터에 관한 연구

        임정민,이상훈,박성준,문채주,장영학,이만형 전력전자학회 2006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11 No.3

        This paper suggests a 6-pulse-shift converter structure with PWM current-source inverter based on buck-boost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switching frequency of inverter fo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the device can be operated as interface system between solar module system and power system grid without energy storage cell. The circuit has six current-source buck-boost converter which operate chopper part and has one full bridge inverter which make a decision the polarity of AC output. Therefore, the proposed PWM power inverter has advantages such as the reduction of witching loss and realization of unity power factor oper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discussed and the input-output characteristics for the implemented prototype inverter using TMS320F2812 are verified experimentally in this paper. 본 논문에서는 효율을 개선하고 인버터 스위칭 주파수를 줄이기 위하여 벅-부스트 형식을 기반의 PWM 전류형 인버터를 내장한 6-pulse-shift 컨버터 구조를 제안한다. 이는 에너지 저장장치 없이 태양광 시스템과 전력계통 사이를 연계하는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안된 회로는 초퍼로 동작하는 6개의 전류형 벅-부스트 컨버터와 교류출력의 극성을 결정하는 한 개의 전파 브리지 인버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안된 인버터는 스위칭 손실을 줄이고 단위 역률운전을 구현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이론적인 배경을 논하고 TMS320F2812를 사용하여 구현된 인버터 시작품에 대한 입출력 특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정민,김종경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resilience on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of hospital nurse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200 nurses working in two general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4 to 29, 2019 and a total sample size of 197 participants was us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using SPSS/WIN 21.0. The score were as follows: 4.54 for nursing work spirituality, 3.34 resilience, 3.20 compassion satisfaction, 2.66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2.79 burnout. The factors affecting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nursing work spirituality and resili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7%. The factors affect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resili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3%.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were resilience,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thi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51%.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to alleviate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일 광역시 300병상 이상의 2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4일부터 3월 29일까지 진행되었고, 최종 1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일터영성의 평균 점수는 4.54, 회복탄력성은 3.34,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은 3.20,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2.66, 소진은 2.79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일터영성,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7%이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이었으며, 설명력은 13%이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 간호일터영성, 직업만족도였고 설명력은 51%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을 완화하고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아에서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보인 스피츠모반 1예

        임정민,이승헌 대한피부과학회 201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5 No.3

        5개월 남자 환아가 갑자기 두피에 발생한 무증상의 단발성 홍반성 결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 조직검사에서 크기가 크고 세포질이 풍부한 상피모양세포가 둥지(nest)를 이루거나 다발모양(fascicular)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면역화학검사에서 c-kit, CD68, CD1a에 모두 음성이었다. 환자는 약 2개월 후에 내원하였는데, 병변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하여 표면이 불규칙한 2×2 cm 크기의 주황빛을 띠는 종양으로 변모하였다. 이에 수술적으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앞서 시행했던 조직검사와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세포이형성(cellular atypia)은 관찰되지 않았다. 면역화학검사에서 c-kit, CD68, CD1a, HMB45에 모두 음성이었고 Ki67 지수는 5% 미만이었다. 스피츠양(spitzoid) 분화를 보이는 멜라닌세포유래종양은 여러 질환이 스펙트럼을 이루고 있어, 전문가에 따라 그 분류가 조금씩 다르고 조직병리학적 감별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진단에 따라 치료 방향과 예후가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고, 그 중에서도 흑색종 등으로 악성화가 가능한 비정형 스피츠종양(atypical Spitz tumor)과 양성 경과를 보이는 정형 스피츠모반(classic Spitz nevus)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형 스피츠모반은 일반적으로 10세 미만 아동의 두경부 또는 사지에서 호발한다. 임상적으로 단발성의 경계가 명확한 반구형의 구진 또는 결절로 나타나며, 색이 붉은빛을 띠고 크기가 지름 6 mm 미만이다. 조직병리학적으로 크기가 크고 세포질이 풍부한 상피모양,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멜라닌세포가 둥지를 이루거나 다발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sup>1</sup>. 대부분의 경우 복합모반의 형태를 가지며, 세포들이 진피층 아래로 갈수록 세포와 둥지의 크기가 작아지는 성숙 양상을 보인다<sup>2</sup>. 유사분열이 관찰될 수 있으나 그수가 매우 적고, 비정형 유사분열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치료는 국소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1∼2 mm의 경계를 두고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권유되고 있다<sup>3</sup>. 이에 비해 비정형 스피츠종양은 10∼20세 사이의 아동의 등에서 호발하며, 임상적으로 모양이 대칭적이지 않고 표면, 경계, 색이 불규칙적이며 크기가 지름 1 cm 이상이다<sup>1</sup>. 조직병리학적으로도 대칭적이지 않고, 진피층 아래로 갈수록 성숙되는 양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유사분열이 다수 관찰되고 비정형 유사분열, 세포충실성(cellularity)의 증가, 세포 다형태(pleomorphism) 등이 관찰될 수 있다. 치료는 적어도 1 cm 이상의 경계를 두고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권유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이 여부 판정을 위해 보초림프절생검(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을 고려해야 한다<sup>3</sup>. 본 증례는 수 개월 내에 급격한 크기 증가를 보였고, 그크기가 지름 2 cm 이상이었으며, 표면이 불규칙적이고 주황빛을 띠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정형 스피츠모반에 맞지 않는 소견을 보였다. 이와 같이 비전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경우 비정형 스피츠 종양을 의심할 수 있지만, 임상 소견이 조직병리학적 진단과 항상 일치하지 않는 보고도 있다<sup>4</sup>. 또한 한국에서 발생한 스피츠모반 80예의 임상조직소견을 종합한 보고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외국보다 유병률이 낮고 병변의 크기가 큰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의 16.9%에서 급격한 크기 증가가 관찰되었다<sup>5</sup>. 따라서 이러한 경우 임상조직소견 및 임상경과를 종합하여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저자들은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정형 스피츠모반 1예를 경험하였고, 본 증례가 교육적인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스마트폰 기반 실내 측위 기술 동향

        임정민,성태경 한국통신학회 2015 정보와 통신 Vol.32 No.8

        본고에서는 스마트폰과 WiFi 신호를 중심으로 수행된 다수의 실내 측위 연구를 소개한다. 우선, 실내측위 시장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신호 세기(RSS, received signal strength), 도달 시간(TOF, Time of flight), 도래각(AOA, Angle of Arrival) 측위 기술과 그 외 기타 측위 기술에 대하여 정리하여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내 측위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 KCI등재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한 유전체 자료분석방안에 대한 연구

        임정민,성주헌,원성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5

        Linear mixed model has often been utilized for genetic association analysis with family-based samples. The correlation matrix for family-based samples is constructed with kinship coefficient and assumes that parental phenotypes are independent and the amount of correlations between parent and offspring is same as that of correlations between siblings. However, for instance,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heights, which indicates that the assumption for correlation matrix is often violated. The statistical validity and power are affected by the appropriateness of assumed variance covariance matrix, and in this thesis, we provide the linear mixed model with flexible variance covariance matrix.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usually more efficient than existing approaches, and its application to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body mass index illustrates the practical value in real data analysis. 가족 자료를 활용한 연속형 표현형의 전장유전체분석 (genome-wide association analysis)은 주로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하며, 분산공분산행렬은 가족 구성원간의 유전적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들의 표현형의 유사성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표현형의 유사성은 단지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키의 경우 부부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나 유전적 요인만 고려하여 독립으로 가정한다. 선형혼합 모형에서 분산공분산 구조를 잘못 가정하는 경우, 검정통계량의 1종 혹은 2종의 오류를 적절히 관리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분산공분산구조를 가정할 수 있는 선형혼합모형과 이를 기반으로 한 검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모형보다 통계적 검정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의 전장유전체 분석에 적용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원인 유전자를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