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제안

        임재항,강순민,공영태,남정희,Lim, Jai-Hang,Kang, Soon-Min,Kong, Young-Tae,Nam, Jeong-Hee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에서는 1차 설문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및 준비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화학 영역을 중심으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및 준비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많은 비율의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 시의 교사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교사의 역할 또한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차 설문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2차 설문 및 인터뷰에서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전달되는 효율적인 방법, 교육과정 개정 참여시 교사의 역할 및 참여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man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re aware and ready to implement new science curriculum as well as its revis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achers had been asked to fill in a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overall understanding and readiness was low a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new curriculum was a burden to a large number of teachers. Some teachers even expressed a negative opinion. Furthermore, it turned out that teachers didn't have an important role in revising the curriculum as a only small number of teachers participated. So, the secon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provided in order to ask for various opinions as to how new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communicated to schools and when school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the revision of curriculum, along with their role and participation methods.

      • KCI등재

        과학 맥락에서 학생간 논의과정의 발달

        강순민,임재항,공영태,남정희,최병순,Kang, Soon-Min,Lim, Jai-Hang,Kong, Young-Tae,Nam, Joung-Hee,Choi, Byoung-Soon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CASE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맥락에서의 논의 과제 해결 시 논의과정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논의과정은 ''설명과 논의과정''과 ''대화적 논의과정''으로 구분되었으며, 다양한 논의과정 요소들을 활용하였다. 학생들 논의과정의 절반 이상은 주장과 근거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생각을 단편적으로 상대방에게 제시하는 수준의 논의 기술에 머물러 있었다. 또한 ''설명적 논의과정'' 요소의 활용보다는 ''대화적 논의과정'' 요소의 사용 비율이 낮았다. CASE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학생들의 ''대화적 논의과정''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으며, 집단구성에서 대칭집단이 비대칭집단 보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컸으나 그 변화가 불안정하였다. 인지 수준에 따른 논의 참여 정도는 형식적 조작기 학생의 참여 비율이 전체적으로 높았으나 후기 과제로 갈수록 과도기 학생들의 ''대화적 논의과정''에의 참여비율이 높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rgum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y participated in argument tasks with CASE(Cognitive acceleration through science education) programs. Students argumentation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xplanatory argumentation' and 'dialogic argumentation'. Several argumentation components were used in their argumentation. Among argumentation components, claim and ground took place more than half of argumentation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dialogic argumentation' was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explanatory argumentation'. The percentage of 'dialogic argumentation' was getting higher during CASE intervention. CASE programs had more effect on symmetric group than asymmetric group, however it was unstable. In general, participation ratio in argumentation of the formal operational student was high and the ratio in argumentation of the transitional student was getting higher.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 비교연구

        공영태,임재항,문성배,남정희,Kong, Young-Tae,Lim, Jai-Hang,Moon, Sung-Bae,Nam, Jeong-Hee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을 구성체제, 목표, 내용, 교수${\cdot}$학습방법 및 평가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화학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구분하였다. 또한 선택취지를 살린 교육과정 편성과 안내 기능의 충실, 탄력적인 학습지도의 운영, 개인에 따른 지도의 충실, 학습내용의 엄선과 기초기본의 충실, 교육과정도입에 있어서 완충기간의 설정 등과 같이 한국의 교육과정연구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se the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from the viewpoint of the structure,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plan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we found some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The suggestive ideas which is useful for study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were deduced, such as more expansion of selective subjects and enhancing the guidance, more flexible teaching methods, enhancing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plans suitable to each student's condition, careful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enhancing the base and foundation, and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남정희 ( Jeong Hee Nam ),이순덕 ( Sun Duck Lee ),임재항 ( Jai Hang Lim ),문성배 ( Seong Bae Mo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이들이 멘토링을 통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경력이 3년 이하인 초임중등과학교사 3명을 멘티교사로 선정하고, 교과교육분야에서 전문성이 있는 대학원에서 석사?박사과정에 있는 12년 이상의 경력교사를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기술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실행 전후 저널 작성, 수업 실행, 멘티?멘토의 1대1 멘토링 협의회, 멘토교사의 수업관찰 등으로 구성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임교사들에게 5회 적용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수업 녹화 동영상과 녹화 동영상 전사본을 상호작용 시작의 주체, 교사 질문의 형태, 학생 응답의 형태, 교사 피드백의 형태로 범주화된 수업 분석틀에 따라 상호작용 요소와 상호작용 유형으로 나누어 멘토링 실시전인 1차시와 멘토링을 4회 실시한 후인 5차시를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교사에 의해 주도되며 교사 질문의 형태는 단순확인 질문이, 학생 응답의 형태는 단답응답이, 교사 피드백의 형태는 즉각피드백이 주를 이루어 학생들의 사고유발이 촉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 역시 교사의 질문(Initiation)에 대한 학생의 응답(Response)에 교사가 즉각피드백(feedback)을 사용하는 단순 IRF형이 주를 이루어 학생들의 사고작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회 협력적 멘토링이 실시된 후에 초임중등교사들의 수업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요소는 학생에 의해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교사 질문의 형태는 사고질문이 증가하였다. 학생 응답의 형태는 설명이나 질문 응답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학생의 응답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은 지연피드백의 사용 비중이 높아져 학생들이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은 교사의 질문(I)에 대한 학생의 응답(R)과 교사 피드백(F)의 반복 횟수가 다양한 복합적인 I(RF)n형으로 변화하였다. 4회 협력적 멘토링 과정을 거치면서 초임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기술이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에서 학생들의 사고작용을 촉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발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a beginner secondary science teachers` class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ree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as mentors and three beginner science teachers as mente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ntors have been teaching science secondary school for more than 13 years with specialty in science education, and mentees have been teaching less than three years in secondary schools. They were matched one-to-one on grounded characteristics that were revealed from pre-interview.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lesson plans of mentees` classes, videotaped lessons of mentees, consultation meetings between mentors and mentees, and interviews with mentees as well as mentors. The consultation meetings and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hen transcribed with the videotaped lessons. To examine the change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e lesson observed after four sessions of mentoring was compared to the lesson before mentoring on the basi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terpretative approach. The analytical framework addresses the four asp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ch include beginner of interaction (initiation), the types of the question, the student response and the feedback. After four sessions of collaborative mentoring,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s were initiated by students more often. Teachers` questions increasingly turned into thought-provoking queries that required higher-order thinking. The students responded in the form of statements instead of asking question more frequently. Also, teachers provided more delayed feedback than immediate feedback. These changes of interaction patterns showed that students took a leading role in classroom interaction and they were encouraged to think. From this result, we argue that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developed the ability to make students think and to support them in coming to an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rough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 KCI등재

        논의가 강조된 일반화학실험이 예비교사의 글쓰기 능력 및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남정희 ( Jeong Hee Nam ),고미례 ( Mi Rye Koh ),박덕찬 ( Deok Chan Bak ),임재항 ( Jai Hang Lim ),이동원 ( Dong Won Lee ),최애란 ( Ae Ra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hemistry concepts understanding and writing. Five topics about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ctivities were developed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Summary Writing Test, and Chemistry Concepts Test were developed as tool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approach. Both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ctivities and traditional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23 students), and traditional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or the comparative group (16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chemistry concepts understanding and summary writ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than comparative group in chemistry concepts understanding and summary writing. In the analysis of the sub-component of Summary Writ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Big Idea.``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gain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in ``argumentation,``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and ``rhetoric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programs were effective in achieving chemistry concepts understanding and writing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 KCI등재

        STS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에 관한 평가도구 개발

        임재항,강순민,공영태,최병순,남정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STS에 대해서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도구인 HS-VOSTS(Korean students' views on STS)를 개발하는 것이다. HS-VOSIS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과 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4가지 범주의 10가지 하위 범주와 관련하여 23개의 논제를 포함하는 STS 범주 체계를 설정하였다. STS 범주 체계는 정의ㆍ과학의 외적 사회학ㆍ과학의 내적 사회학ㆍ인식론의 네 가지의 커다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91f 범주 체계를 기초로 4단계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각 논제에 대한 짝진술문을 기초로 학생진술 문항지를 작성하여 772명의 고등학생들(16.3세)에게 투입하였다. 2단계에서는 짝진술문 중 하나를 제거하여 문항의 진술문으로 하고, 분류된 공통견해를 답지로 하여 1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고등학생 28명(16.5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 분석을 통해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고등학생 306명에게 적용하여 낮은 반응비율을 보인 답지들을 제거하여 최종 검사도구를 완성하였다. HS-VOSTS는 학생들의 STS에 대한 신념 및 견해를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그 결과는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육정책 입안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S-VOSTS(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which is an instrument that monitors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TS. For this study, 23 multiple-choice items were developed on four categories. First, a categorial scheme was constructed. The categorial scheme was based on many instruments that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n STS, literature review, and STS learning goal that many researchers had asserted. Second, the multiple-choice items wer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was carried out through four steps. In the first step, some pairs of statement on each subordinate category were formed. Next, the student statement questionaries which were based on the pairs of statement were responded by 772 students. In the second step, the response written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to common viewpoints and the first multiple-choice items were constructed. In the third step,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28 high school students was implemented and the second multiple-choice items were constructed. In the fourth step, the final version of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response on the second multiple-choice items. HS-VOSTS is an useful instrument for monitoring students' beliefs and viewpoints on STS topics. The results of the students' responses to HS-VOSTS items reflect the students' own thoughts directly. These results will give som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velopers, the authors of text books and the educational policy makers as well as the teachers.

      • KCI등재

        화학반응의 본성에 대한 중·고·대학생들의 이해

        남정희,임재항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대학생들의 화학반응의 본성에 대한 개념 이해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개발한 검사자를 이용하여 중·고·대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각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조사하였고, 이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더욱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중·고·대학생들의 화학반응에 대한 접근 경향과 각 요인들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나타났다. 저학년의 학생일수록 겉으로 보이는 현상에 집중하는 경향이 높았고 반응계를 잘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의 구분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결과적으로 이러한 이해의 경향들이 화학반응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gression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hemical reaction according to their learning experience. The 235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8th and 9th), two high schools(10th and 12th), and a university(1st and 4t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pen-ended written test and interviews. The open-ended written test was administrated to all students and some representativ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s were semi-structured and the questions were based on the written test items. The data were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gression in understanding of chemical reaction and the differences in students' understanding.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had little understanding of key aspects needed to understand chemical reaction,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chemical reaction. There were few students who had a deep understanding of key aspects to make up a satisfaction explanation of chemical reaction, although university students have learned all aspects of chemical re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