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시간 상태 공유를 위한 비대면 스터디 애플리케이션

        임유경(Yukyung Lim),김소연(Soyeon Kim),박윤우(Yoonwoo Park),김재희(Jaehee Kim),임지훈(Jihoon Lim),서연주(Yeonju Seo),임준규(Junkyu Lim),이태현(Taehyun Lee)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코로나19로 인해 업무, 여가 생활 등의 주된 활동 장소가 주거 공간으로 바뀌었다. 특히 학교, 학원, 독서실, 카페와 같은 기존의 학습 공간 또한 주요 학습 환경이 주거 공간으로 변하며 타인의 시선을 통해 적절한 긴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전과 달리 생활 공간과 분리되지 않아 생기는 집중 저해 요소 때문에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듯한 긴장 수준을 제공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을 활용하여 각자의 실시간 학습 상태를 공유하고 학습 몰입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디지털 경험 제공을 위해 머신 러닝을 활용한 실시간 상태 공유 비대면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변화된 환경 속에서의 학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 인터뷰와 에스노그래피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실시간 상태 공유 방식을 발견했고, 이를 바탕으로 주거 공간에서도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비대면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변화된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만족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나의 젊은 조국 -1940년대 한설야의 부권의식과 청년/지도자 서사-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해방기 ``한설야의 김일성 이야기``는 어떤 관점에서 읽힐 필요가 있을까. 이 물음의 초입에서 제시해봄직한 화두는 ``젊음``과 ``부권의식``이다. 이 화두들은 당시 작가가 갖던 청년상, 지도자상, 나아가 국가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던 것이기에, 그의 40년대 글을 독서하는 자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는 ``아비/자식의 이야기``에는 물론이고 한설야 자신의 자화상에도 긴박되어 있는 것이었기에, 해방 이후만이 아니라 해방 이전의 글들을 논의할 때에도 반드시 짚어볼 필요가 있다. 이 문제의식을 질문의 형태로 전화시키면 이러하다. 김일성과 청년들에게 표명했던 한설야 특유의 관심을 우리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김일성 이야기를 성문화하고 청년들을 이야기 속 주인공으로 삼는 과정에서, 그는 이 주체들을 어떻게 형상화 하고자 하였던가. 그리고 이때 그는 어떠한 발화 위치에 자신을 놓았는가. 나아가, 해방 이전과 이후에 걸쳐 지속적으로 쓰여진 ``아비와 아들에 관한 이야기``는 해방 후의 ``김일성과 청년의 이야기``에 어떻게 접속되었는가. 여기에서 표출되는 그의 ``부권의식``은 어떠한 성격을 가지며, 그는 이 당시에 스스로를 ``진정한 아비``로 성장시키기 위한 논리와 동력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었던 것인가.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40년대에 집필 및 출간된 글들을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아, 한설야의 ``해방/전-후``에 걸친 자기/세계 인식의 궤적을 조감하고 이에 관계되었던 그의 심리와 욕망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부연하면, 해방 전후의 작품들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아울러 각 텍스트 간의 상호 관련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김일성의 삶을 문학적 차원에서 재구하는 방식과 그 특이성을 점검하고, 해방 이전의 작품들에서 엿보이는 부권의식의 전화 과정, 특히 해방 이후의 청년/김일성 이야기에 이 부권의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투사되거나 전이되었는지 살피려 한다. From what viewpoint does ``Han Seol-ya`s Kim Il-sung narrative`` in the liberation period need to be read? The suggestible topics at the entrance of this question are ``youth`` and ``paternity consciousness``. These topic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youth, leader and nation in Han Seol-ya`s works. It is the reason that they should be regarded importantly in the place where his writings in the 1940s are read. These were tightly bound not only with ``the narratives of father and son`` but also with Han Seol-ya`s own self-portrait. In this perspective, we should surely look back on this when discussing the writings not only after the liberation but also before the liberation. Such critical mind can be converted in the form of questions as follows. How can we explain the unusual interest that Han Seol-ya expressed in Kim Il-sung and young people? In the course of codifying Kim Il-sung narratives and making young people main characters in the stories, how did he try to give shape to these main agents? And at this time, which position did he locate himself in speaking act? Furthermore, how were ``the narratives of father and son`` written continuousl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connected to ``the narratives about Kim Il-sung and the youth?`` What characteristics that were expressed here did his ``paternity consciousness`` have and where was he able to find the logic and dynamic force to make himself grow into the real father at that time? Based on these critical inquiries, this paper attempts to have a bird`s-eye view of the locus of Han Seol-ya`s self/world perception in the period of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aking the writings that were written and published in the 1940s as main objects of discussion, and assess his mentality and desires connected with this. To enlarge further upon this point, this paper will broadly examine his text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correlations among these texts. And based on this, I attempt to reveal the methods in which Han Seol-ya restructured the life of Kim Il-sung in terms of literature and its uniqueness. Furthermore, I examine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paternity consciousness shown in the texts before the liberation, and particularly the methods in which this paternity consciousness was projected or metastasized to the youth/Kim Il-sung narratives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특집논문 : 일그러진 조국 -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이 글은 해방 이후 한반도의 두 체제가 자기의 국가적 경계를 형성하는 데 ‘일본’과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매개하고 있었는지를 ‘재일조선인간첩사건’을 통해 추적해보고자 한다. 이는 두 체제의 적대적 공조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간첩’으로 정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면서, 남한정부가 탈식민과 냉전의 시간을 전유해가던 역사의 길목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칠 수밖에 없던 일본과 북한이라는 내밀한 ‘자기-타자’를 외부화시키던 방식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재일조선인 청년들이 모국 유학을 위해 현해탄을 건너오기 시작한 것은 60년대 중반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나서부터였다. 그리고 1971년에 이르러 이들 유학생은 불미스러운 사건의 주인공이 되어 한국의 공론장에 등장했다. 서승 · 서준식 형제가 연루되었던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을 시작으로 한국사회에는 유사사건이 쉼 없이 터져 나왔으며, 이 시기의 사건들은 50 · 60년대에 비해 빈도수, 규모, 사회적 파장 등 여러 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재일조선인’과 ‘간첩’ 사이의 하이픈을 구성하는 권력의 작업이 본격화되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한반도의 두 체제에 있어 ‘일본’이라는 대상(장소)이 다변적 의미를 가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즉, 박정희 정권하에서 내셔널리즘과 반공주의라는 복수의 해석 코드에 의해 ‘북한’-‘간첩’-‘재일조선인’-‘일본’이라는 항들이 연계되고 재배치되는 과정은 보다 면밀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냉전’(반공)이라는 필터가 한편으로는 ‘최상의 적’인 ‘북한’과 연계되어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소위 ‘심리적 적국’인 ‘일본’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점은 다른 동포들과는 차별화되는 재일조선인의 상황을 복기하게 만든다. 북한과 일본이라는 두 항에 매개됨으로써 재일조선인의 상황은 한층 더 복잡해졌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냉전의 시간’과 ‘탈식민의 시간’의 중첩으로 인해 빚어지던, 한 가족의 신체에 켜켜이 쌓여가던 ‘불가상성(不可想性)의 시간’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이 갖는 정치적 · 문화적 의미를 논고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맥락을 구성했다. 그중 첫 번째는 ‘두 개의 한국’에 의해 ‘재일조선인’이 국가적 관심의 대상으로 발견되는 과정을 맥락화하는 일이다. 해방 이후부터 사건이 발생하는 197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재일조선인에 관한 인식의 변화 추이와 이러한 변화를 추동한 중요 요인으로서의 체제경쟁에 대한 통시적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간첩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재일조선인 및 한일관계 연구를 보충하는 한편, 새롭고 유의미한 논의의 지점을 개시함으로써 기왕의 연구사적 시각을 한층 폭넓게 확장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어, 두 번째는 60년대 중반 이후 발생하기 시작하는 일련의 대규모 간첩단 사건들과의 관련 속에서 해당 사건의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은 한반도의 두 국가에 있어 ‘간첩의 위상학’이 더 논의되어야 할 주제임을 알려준다. 이 사건을 다른 간첩단 사건들과 겹쳐 읽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국민’과 ‘간첩’이라는 두 주체범주의 확장과 변이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이고, 아울러 재일조선인이 ‘잠재적 간첩’으로 인식되었던 맥락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넓은 역사적 지평에서 보자면,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냉전이데올로기에 의해 재편된 한반도와 그 이외의 지역들 간의 경계, 아울러 한반도 내부의 두 체제 사이의 경계를 모두 건드리고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해방과 분단이라는 두 개의 축을 보다 정치한 맥락에 위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의 2절과 3절은 이 두 가지 맥락을 구축하기 위해 쓰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4절에서는 해당 사건의 당사자였던 서승 · 서준식과 그의 가족을 통해 ‘재일조선인 간첩의 탄생’이 중층적 역사의 시간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지를 짚어보았다.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검역국가의 병리성, 즉 분단의 질병으로서의 ‘자기면역병’이 냉전의 유산인 동시에 풍토병적 성격을 가졌다는 점을 일깨워줄것이다. 그야말로, 냉전은 저 멀리 시베리아 반도와 아메리카에서 흘러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발밑에서’ 피어오르고 있었음을 말이다. 또한 이 사건은 우리로 하여금 탈식민과 냉전이라는 두 개의 전선이 교차되는 자리에 서 있던 주체들과 그들을 “짓누르고 있던 운명”, 그리고 그들이 “이 운명의 형태”를 응시하던 방법들에 관해 숙고하도록 이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two regimes of the Korean Peninsula made use of the Japanese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Zainichi Koreans") in order to form their discursive boundari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y focusing on the spy incidents of the Zainichi Kor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y incident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words such as North Korea, a spy, a Zainichi Korean, and Japan are connected and rearranged through the analysis code of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This is a research on the process by which the Zainichi Koreans were identified with spies due to the hostile rivalry of the two regimes, and how South Korea externalized Japan and North Korea that it could not help but encounter monopolization during the time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old War (anti-communism) is connected with the supreme enemy (North Korea), and also inseparably related to the so-called psychological enemy (Japan). This reminds us of the situation wherein the Zainichi Korean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Koreans who resided oversea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Cold War, became big quarantine authorities for the prevention of disease transmission in an extensive, and yet secretive, way. The reason why the two regimes devoted themselves to a heightened state of alert and the supervision of migrating people was the fact that the migration control was at the heart of supervision and construction regarding the preventive system for a quarantine state. In South Korea, communism was the most dangerous infectious disease and, in this respect,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Anti-communist Law functioned as the strongest quarantine act. Furthermore, North Korea was the most important quarantine target for South Korea. However, North Wind (a North Korean Variable) did not only blow directly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t it also infiltrate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watched country among the outside place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Japan. This place held an important position of propaganda activity that was carried out b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contact zone, where it constantly mediat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where both parties conglutinated. This geopolitical and symbolic significance of Japan stems from the occurrence of the Cold War worldwide, and the fact that the outside world had been monopolized by the Korean Peninsula situation. Moreover, this new location has been reinforced by a series of spy incidents, which occurred in the Korean society during the 1970s. The spy incidents showed that the Cold War did not come from the distant Siberia and America, but instead, it started out from its own land. The autoimmune disease is the legacy of the Cold War; however, it also has characteristics of an endemic disease. A new immune system was reconstructed through the recode of self and non-self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fter the division period, however, the recode of self and non-self was disabled.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mplied that the sociopolitical immun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started to collapse. This context reminded us that the nationalization of the people, who were able to come and go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at time, could not be discussed without mentioning the word ``spies``. For this reason, the topology of a spy should be discussed further with regard to the Cold War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questions pertaining to the reason why a spy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reorganizing the topography of the Cold War, and the reason why the Zainichi Koreans should be thought of as potential spies. The spy incidents are important in starting a productive discussion and forming a significant contex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other words, this subject analyzes the self-injurious behavior,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and this time of deliberation would enlighten us that the division tragedy actually pertains to the scarred faces of the people who were accused of being spies, and not the Korean Peninsula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파리시 도시계획 제ㆍ개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역사문화경관 개념 확대와 도시계획적 관리수단의 변화

        임유경(Lim, Yoo-Kyoung),안건혁(Ahn, Kun-Hyuck),박소현(Park, So-H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6

        이 연구에서는 프랑스 파리시의 도시계획 변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시 역사문화경관의 개념 변화와 이를 보존ㆍ관리하는 도시계획적 수단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향후 도시 역사문화경관의 효율적인 보존ㆍ관리 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파리시 도시계획 변화 과정에서 도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개념은 공간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에서 점차 확대되었으며, 지역 정체성 형성의 근거, 지역민의 삶의 터전, 도시 진화과정의 한 단면으로 인식되고 있다. 확대된 의미에서의 도시 역사문화경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랑스 도시계획변화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과 정체성 형성의 근거가 되는 도시조직과 건축유형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 제도적 수단이 다양화ㆍ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일상생활환경으로서의 도시 역사문화경관을 보존하기 위해서 대상 선정 과정에서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보다 유연한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셋째, 도시 역사문화경관을 도시 진화과정의 한 단면으로 인식하여 동결적 ‘보존’이 아닌 지속적인 ‘관리’ 방안을 강구해 왔으며, 역사적 가치 뿐 아니라 현실의 요구와 미래 발전방향을 동시에 고려한,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evolution of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aris in relation to the shifting concepts of urban historic-cultural landscape. Development of the conservation system of Paris,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1960s, gives us some clues for establishing conservation planning principles. The notion of heritage has been broadened ; it embraces concepts ranging from the landmark to the urban area, from the great works of art to the modest works of everyday life, from the relics of historic value to the artifact of the present age. The objectives and the methods of the conservation planning have been transformed through the history ; Firstly, the conservation regulations have been further diversified and fragmented to safeguard the diversity and the identity of each urban entity. Secondly, selection of the historic site and application of the conservation principle tends to depend more on the local opinions. Finally, the aims of consevation are concerned more with the ‘urban management’ than with the strict ‘protection’ of the urban historic-cultural landscape. The broadened aims and the scope of the historic preservation would be better met when it is integrated in the urban planning discipline.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감상활동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분석

        임유경 ( Youkyoung Lim ),김정주 ( Joengju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실태 및 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G광역시 유치원 교사 20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X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음악감상활동이 가장 부족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음악감상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교사의 지도력 향상을 위해 연수기회 확대 및 시설 자료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음악감상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awareness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implemented to desc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insuffici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d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of a music appreciation activity program and a support plan for a music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ha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집논문 : 불가능한 명랑, 그 슬픔의 기원 -1960년대 안수길론

        임유경 ( Yu Kyung L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1960년대를 살아냈던 많은 문학자들은 자기를 관조하는 자기를 작품 에 등장시킴으로써 ``명랑의 불가능성``을 탐사하는 데 기꺼이 자신의 ``미천 한 용기``를 걸었다. 이 탐사가 용기를 필요로 했던 것은 ``명랑할 수 없음``이 곧 ``시대와의 불화``와 급속히 조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용 기는 직설적인 방식을 통해 발휘되기도 했지만, 많은 경우 한 걸음 떨어진 자리에서 발현되었다. 이 ``비켜선 자리``는 작가 자신의 말마따나 ``비겁함`` 으로 인해 비롯된 것이면서, 동시에 처해 있는 현실 속에서 그가 택할 수 있는, 정치적 공간을 개시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적 위치``이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현실로부터 ``비켜 선 자리``에 자신이 서 있다고 생각한, 혹 은 그러하다고 평가받은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 가 하는 물음을, 리얼리스트라는 문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의식 하며 현실과 마주했던 안수길과 그의 작품들을 통해 탐색하고 구체화 해 보고자 했다. 안수길에게로 관심이 가닿았던 것은, 그의 어떤 소설 속 주 인공의 초라하고 비겁하고 꺼림칙해하는 모습과 ``도무지 명랑해지지 않는 다``는 고백이 유독 오래 잔상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의 소설에서 ``명랑의 불가능성``은 단지 ``명랑할 수 없음``만이 아니라 ``명랑을 연출하는 것의 어려움``까지도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자기 안에 내재해 있는 불온한 심리 를 조심스럽게 예감하는 것, 나아가 시대와의 불화가 불가피함을 대면하 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여느 사람들처럼 자신의 삶을 명랑하게 기획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예감을 감당하는 것이기도 했다. 안수길은 1960년대 정치권력의 통치술에 대한 예감을 소설을 통해 표 출하는 데 꽤나 적극적인 작가였다. 그의 소설은 이철범의 표현을 빌리자 면 ``예민한 정치 감각``의 소산이자, 검열의 힘을 근거리에서 체감하며 그 자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작가 자신이 느꼈던 ``불온한 것에 대한 감 각``을 구현한 것이었다. 명랑의 불가능성이 규율 메커니즘에 길들여진 자 신을 다른 자기가 바라보는 순간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라 할 때, ``방관 자``(bystander)로 보일 수도 ``사열관(査閱官)``으로 보일 수도 있는 이 위치 에서 ``불가능한 명랑``을 인위의 힘으로 변형하지 않고 가장(假裝)하지 않 는 일, 그리고 작품의 미열을 보존하는 일, 안수길에게는 이것이 자신이 실현시킬 수 있는 ``시민윤리``의 최대치였다. courage` on exploring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by making an appearance of contemplative self in to their own works. These explorations needed a courage because the impossibility of being cheerful had to facing ``the disagreement with the epoch``. Hence, this courage was revealed often in some distant place of historical reality. It is reliable to regard escapism was appeared by ``cowardice`` in some sense, as the writer himself had confessed, but it is also important to evaluate these dispositions as the best ``methodological position`` to open political space that he could choose in the reality in which he was situated. How should we read the writers who chose to take a distant position from reality or who were evaluated to be so and their works? The basic critical viewpoint of this article is condensed in this question.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give shape to the aforesaid critical view through examining Ahn Soo-gil, who was constantly aware of his literal identity as a realist who was facing reality and his literary works. I was becoming interested in Ahn Soo-gil because a shabby, faint-hearted, and uncomfortable character of his novel and the confession of ``never becoming cheerful`` left afterimage especially for long. In his novel, ``the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includes not only ``inability to become cheerful`` but also ``difficulty of performing cheerfulness.`` This impossibility meant revealing inherent political rebellion of his own. Furthermore, this certain disagreement applied the inevitable confrontation to his own time so that the dissent of the writer could link to the premonition that he was not able to plan his cheerful life as ordinary people. Ahn Soo-gil was a writer who actively expressed his premonition about the ruling techniques of political power in the 1960s. His novel, in Lee Cheol-beom`s words, was a product of ``acute political sense.`` It also meant to give shape to the ``sense toward rebellious things`` which the writer himself felt who experienced the power of censorship at a close range and was not free from the magnetic field. If it is able to describe that the impossibility of cheerfulness was triggered when the other self looked at himself who was disciplined by regulation mechanism, Ahn soo-gil`s tendency not to disguise ``impossible cheerfulness`` with artificial power and tendency to preserve the mild fever of the works, could be revaluate as the most faithful ``citizen moral`` for the writer, who was situated in the position that could be seen either as ``bystander`` or as ``inspector``

      • KCI등재
      • KCI등재

        김소진 문학의 기원과 분단문학의 문화사적 전환

        임유경 ( Lim Yu-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의 목적은 김소진 문학의 중요한 토대가 된 자전적 경험의 의미와 작가가 가졌던 글쓰기의 욕망을 탐문함으로써 그의 작품들이 자기 소설의 기원을 탐색하는 수행적 글쓰기이자 분단문학의 전환을 보여주는 한 징후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은 김소진의 소설과 산문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가가 아버지를 매개로 자신의 문학적 기원을 형성해나가던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 개인사적 맥락에서 소설 창작행위가 가졌던 의미를 살펴보는 한편, ‘분단문학’이라는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김소진의 작품이 갖는 위상과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김소진의 작품들은 그가 당시 작가로서 대면하고 있던 창작상의 고민과 이를 둘러싸고 있던 문제적 상황들을 보여주는 알레고리로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간 서로 다른 맥락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던 김소진의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990년대에 창작활동을 시작한 김소진은 ‘자전적 경험’(자전적 소설)과 ‘현장 취재’(취재형 소설)에 기반을 둔 작품들을 창작하며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해나간 바 있다. 이때 두 경향은 작가의 특정한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에 착목하여 김소진의 작품을 분석하는 일은 ‘기자’이면서 소설가가 되고자 했고, ‘소설가’로서 기자의 소임에 대해 생각했던 작가 김소진이 어떠한 문학적 지향에 기반을 두고 글쓰기를 지속해나갔는지를 규명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나아가 이는 김소진의 소설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분단문학의 계보 안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김소진의 출현이 문화사적 전환의 한 징후로서 독해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the creative methodology of realism, which have become the important foundation of Kim So-jin’s literature, to demonstrate that his works can be re-read as meta-fic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s on Kim So-jin’s novels and prose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is literary origin through his father,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novel writing in his pers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zes the importance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division literature. Kim So-jin’s works need to be re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shows the problems he faced as a novelist and various related situations. This attemp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Kim So-jin’s works, which were treated individually in different contexts. In other words, Kim So-jin, who started his career in the 1990s, has formed his own unique literary world by creating works based on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utobiographical fiction) and field work (journalistic fiction). In this manner, the two different trend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in that they had a common reflection of the author’s literary interests. Analyzing Kim So-jin’s work on this basis will be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literary orientation of Kim So-jin as a journalist who wanted to become a novelist and also a novelist who thought about journalist’s rol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is attempt illuminates the literary meaning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division literatu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argue that Kim So-jin’s appearance can be read as a symptom of the transition of literary history in the 199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