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대학교 병원 A강당 (순환계, 호흡계 기타생리) : 일반연재 ; 담도 질환에서의 ERCP

        임보연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Objective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은 췌장 및 담도 질환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ERCP에 근거를 둔 치료수기 즉 유드 괄약근 절개술과 담석 적출술 또는 담관 배액관의 삽입 등을 특히 고령 환자에서 양성 혹은 패쇄성 황달의 치료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MethodsERCP는 크게 두 가지의 술기가 조합된 검사법으로 첫째는 십이지장경 (duodenoscope)을 식도, 위를 거쳐서 십이지장 제 2부까지 유치시키고 당관과 췌관에 십관을 시키는 내시경적 술기이고 둘째는 삽관된 담관 또는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X- ray사진을 찍고 이를 판독하는 투시 조영술이다. 십이지장경은 일반적인 내시경과 달리 내시경 선단에서 전방용→ 관철하는 직시경이 아니며 십이지장 벽면을 잘관찰할 수 있도록 측시경을 사용한다. 측시경을 이용하여야 십이지장 유두부를 정면으로 관찰하면서 담과 및 췌관에 삽관이 가능하다. 유두부가 내시경 화면상 정면으로 나타나면 유두부 중에서도 담관과 췌관의 개구부 위치를 머릿속으로 그려본 다음 검사의 목적에 따라서 담관 또는 췌관에 선택적 삽관을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담관의 삽관은 유두부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11시~12시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췌관의 삽관은 1시~2시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환자마다 췌담관 합류 방식에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삽관 위치가 다를 수 있다. Results 췌담도 질환은 최근 들어서 서구화 되는 식생활로 인해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췌담도의 질환은 크게 ERCP 시술이나 외과적인 수술 두 가지의 방법으로 치료를 들 수 있다. 과거에는 ERCP의 부작용과 단점즉, 시술 후 천공이나 급성 췌장염의 발병 그리고 ERCP로는 접근할 수 없는 부위가 있어 수술적인 접근이 필요했던 것들을 요 근래에는 시행하는 자의 숙련된 기술에 의해 점점 줄어들어 ERCP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ERCP의 효율성을 높이 사고 있다.

      • KCI등재

        대순사상의 여성 해원에 대한 연구 : 20세기초 여성 문인 최송설당을 중심으로

        임보연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2 No.-

        This study is a novel attempt at a fusion of female-authored Chinese poetry and Daesoon Thought. Notably, this has style of fusion has never been attempted i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or in studies on Daesoon Thought. This study will also clarify the the key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解冤 haewon) in Daesoon Jinrihoe through comparison with classical works. Choi Song-seoldang’s poetry that was compo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temporaneous the emergence of Daesoon Thought, is analyzed here via the concepts of ‘tranquility (平 pyeong)’ and ‘harmony (和 hwa)’ under the framework of grievance-resolution for women. An effort is made to find a point of progression towards familial harmony (家和 gahwa) and Mutual Beneficence (相生 sangsaeng). Resentment (恨 han)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 was expressed in her works such as Wang So-gun’s Resentment (昭君怨 sogunwon), Self-Report (自述 Jasul), and An Original Rhyme of Song Seol-dang (松雪堂原韻 Song Seol-dang Won-un). Works such as Wishes on the First Day of New Year (元朝祝 wonjochuk) and A Spontaneous Poem (偶吟 Ueum) expressed the contents of wishing for familial peace. In the process of trying to resolve the grievances (冤 won) of her family, Song Seol-dang faced limitations, and felt resentment (恨 han) for her inability to become a man. She strived her whole life to embody ‘tranquility’ and ‘harmony’ as both are crucial components of achieving familial harmony. This thesis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erms of academic expansion via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ideas. In terms of Daesoon Though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concepts and literature within a context of fusion because this goes beyond research that focuses only on theory or ideology. It is also meaningful to confirm aspects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e life and culture of the still traditional early modern era and to reveal how it still has the present-day significance that transcends time. 이 연구는 그동안 고전문학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한시와 대순사상의 융합 연구이자, 대순사상 분야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한시와 대순사상의 융합 연구이다. 대순진리회에서 중요한 해원 사상을 고전 작품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시도였다. 대순사상의 출현과도 시대적 맥락을 같이 하는 20세기 초의 최송설당(崔松雪堂)의 한시 작품을, 여성 해원이라는 틀 위에서 ‘평(平)’과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가화(家和)와 상생(相生)으로 나아가는 지점을 찾고자 했다. <왕소군의 원망(昭君怨)>, <자술(自述)>, <송설당원운(松雪堂原韻)> 등과 같은 작품에서 여자로서의 한(恨)이 표현되었다. <정월 초하루(元朝祝)>, <우음(偶吟)> 등과 같은 작품에서는 가족의 평안을 바라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었다. 송설당은 가정의 ‘원(寃)’을 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남자가 되지 못한 ‘한(恨)’을 느끼며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였지만, 가화(家和)를 이루기 위해 ‘평(平)’과 ‘화(和)’를 중요하게 여기며 평생을 노력해온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문학과 사상의 융합이라는 학문적 확장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순사상의 측면에서도 사상 자체에만 몰두한 연구에서 나아가 사상과 문학을 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통시대의 삶과 문화 속에서도 대순사상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이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여전히 현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시화집 『양파담원』의 구성과 의미

        임보연,권기성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5 No.-

        This paper is aimed at the general secretary of Shi-hwa in the late Joseon Dynasty, 『YangPa-damwon』, and examines the overall aspect of the work and the significance of its history. 『Yangpa-damwon』 was compiled by Im-ryum in 1824, and showed strong determination to succeed Hong Man-jong’s 『Shihwa-Chonglim』. The fact that the list of actual works is based mostly on the 『Shihwa-Chonglim』’s book, and that the legend section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Shihwa-Chonglim』’s book. However, Im-ryum wanted to update its composition with eight books, and to be more perfect by adding an additional copy of his work, known as 『Seomchun-Manrok』, to supplement various materials in the insufficient parts. It can be seen that the data added actively included not only poetry but also anecdotes and stories, while the vast data of 『Sohwa-Shipyeong』 or 『Cheongbi-rok』 were included without any changes in the wording. In particular, he intended to make up for his lack by actively drawing stories of poems and materials from the Goryeo Dynasty,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Yangpa-damwon』. Such attempts by Im-ryum are understood in the fashion of the compilation of the poetry books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on the one hand they have three meanings: First, Im-ryum was the family of the Poongcheon Im’s family, which was the basis for the Man-rok writing, which was written by his grandfather and grandfather, and continu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writing. Second, it is not just a warrior but a supplement to and modify the Sihwa General Assembl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ird, I have inherited Hong Man-jong’s intention to emphasize that our writers are not inferior to Chinese poets, while trying to establish a self-reliant critical consciousness, such as 『Shihwa-Chonglim』. 본 논문은 조선후기 시화총서인 『양파담원』을 대상으로, 해당 작품의 전반적인 양상과 시화사적 의의를 살핀 것이다. 『양파담원』은 임렴이 1824년편찬한 것으로, 홍만종의 『시화총림』을 잇고자 하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실제 작품의 목록을 『시화총림』에 대부분 근간을 두고 있으며, 범례 부분 역시 『시화총림』의 것을 거의 비슷하게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있다. 다만 임렴은 8책으로 구성을 새롭게 하고, 미흡한 부분에는 여러 자료들을 보완하는 한 편 자신의 저작으로 알려진 『섬천만필』까지 추가로 덧대면서 좀 더 완벽을 기하고자 했다. 추가된 자료는 시화 뿐 아니라 일화나 야담까지 적극 수록하였고, 방대한 자료인 『소화시평』이나 『청비록』의 경우자구의 변화 없이 그대로 수록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자신이 편찬한 『섬천만필』의 경우 『양파담원』에 수록되지 않은 고려시기의 시화나, 개인 문집소재 이야기를 적극 끌어오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했다. 이 같은임렴의 시도는 19세기 당대의 시화집 편찬의 유행에서 이해되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임렴은 풍천 임씨 가문으로, 조부와 고조부가 저술했던 만록 글쓰기의 대를 이었으며, 이를 통해 가문 글쓰기의 특징을이어갔다. 둘째, 우리나라의 시화를 집대성한 『시화총림』을 단순히 전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보완하고 수정한 조선후기의 시화총서로서의미를 갖는다. 셋째, 『시화총림』과 같이 주체적인 비평의식을 확립하고자노력했으며, 우리 문인들이 중국의 시인들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하려 했던 홍만종의 뜻을 물려받았다.

      • KCI등재

        소파 오효원의 한시에 나타난 바다 이미지

        임보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7 No.-

        This paper examines the sea image that appeared in Chinese poetry by Oh Hyowon(吳孝媛:1889~?), a female wri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Before analyzing it, contemporary and made an outlook on our previous era. This was an attempt to read the representation of ‘sea’ through the works of female writers, on the reflective attitude that there wer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hinese poetry’ and ‘Sea’, but there was no research on ‘Sea that appeared in Women's poetry’. Searelated poems were written in 24 of Oh Hyo-won's works, and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Broad Sea’, ‘Me Crossing the Sea’, ‘Disconnection and longing’, and ‘Sea as a metaphor’. The vastness of the sea seen directly in <Looking at the Sea(觀 海)>, and <Returning home on the same ship as the government tourism group(與 政府觀光團同舟歸國)> depicts the sea seen while returning from Japan by ship. In <Going to Tokyo to establish Myeongshin Girls' School(爲明新女學校創立立事入東 京)>, <Arriving in Gwangdo Preliminary Newspaper(抵廣島縣贈藝備新聞社)>, and <Crossing the Sea of Busan(渡釜山海)>, she was able to confirm her goals, dreams, and aspirations by crossing the sea. Disconnections and longing were expressed in <Drawing Fathers(思親)> and <Reading Emotions at a Destination(客中述懷)>. In <Writing in Response to Mirok's Mosaic Poems(和味麓毛祥澍)>, the sky was compared to the blue sea. In <Returning to Sanbang on a Summer Day(夏日歸臥山 房)>, mountains and the sea are compared. In addition, <Sighing at the World(歎世)> compared the world to the sea, and <Difficulty of farewell(送人難)> compared the depth of separation to the depth of the sea. What is noteworthy about the representation of the sea in Chinese poetry, a woman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s that it expressed the 'experienced sea' as a poem. Literally expressed the real sea, not the imaginary sea. The poet turned her experience with the sea into a poem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Thus, the images of the sea during the period are presented in the poem.

      • KCI등재

        朝ㆍ淸 여성 시회의 흐름과 19세기 시회의 일면 - <三湖亭詩會>와 <秋紅吟社>에 나타난 결속과 우정을 중심으로 -

        임보연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2

        이 논문은 조선 후기와 청대의 여성 시회 비교 연구를 위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 다. 한시사의 맥락에서 본다면 18세기 이후 시사의 수가 증가하고 성행했는데, 이 러한 흐름 안에서 여성들의 모임도 확인된다.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 여성 문인들 의 살롱이라는 지점으로 도달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먼저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조선 후기와 청대의 여성 시회의 존재 양상을 정리하였다. 여성들의 모임은 전후 시기와 비교해볼 때 19세 기에 활발하게 전개된 모습을 보인다. 여성 시회의 흐름 속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 동이 전개되었던 이 시기에 주목하여, <삼호정시회>와 <추홍음사>을 중심으로 19세기 여성 시회의 일면을 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5명의 구성원으로 형성되었는데, 구성원의 숫자에도 의미가 있 다고 판단하였다. 오행의 의미에 빗대어, 5라는 숫자에 상징성을 부여하면서 자신들의 모임이 자연스러운 발로였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이라 생각된다. 이 시기의 문학사에서 성령설, 천기론이 대두되었던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하는 부분이 라 판단된다. 두 번째는 남아있는 작품을 통해 구성들끼리의 애정과 그리움을 확인할 수 있 었다. 함께 만나고 향유했던 시간들을 즐겁게 여겼고, 구성원들끼리의 애정이 있었 던 만큼 만나지 못할 때에는 그리움이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에게 모임은 여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를 짓고, 시로 소통하는, 문 화적 수단이었다. 두 번째는 여성이라는 한계는 존재했지만 예술에 대한 순수한 지향을 내비치면서, 예술에서는 최고의 경지에 이르는 문학에 대한 자부심을 보여 주고자 했다. 이 논문은 한․중 여성 시회의 흐름을 정리하고 19세기 시회의 일면을 밝히고 자 한 의미는 있겠으나, 앞으로 더 면밀한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공동 문집이 남아있지 않기에 개별 문집에 산재되어있는 작품들 속에서 집단의 목소리의 흔적 을 좇아야 하기 때문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집단과 작품을 다루면서 시회 의 모습을 더욱 뚜렷하게 밝히는 작업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of the comparative study of women’s poetry club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oetry, poetry club sand other women's gatherings increased in numbers and flourished since the 18th century. This study, specifically, highlights the existence of salons for East Asian female writers. Thus, this study first summarizes the existence of women’s poetry clubs in the late Joseon and Qing Dynasties from the 17th to the 20th centuries. Ilay special emphasis on the Samhojeong Poetry Club and Chuhongeumsa in the 19th century, since women’s associations were more active in that period compared to the postwar period.

      • KCI등재

        근대 전환기 한시의 역할 - 『삼천리』를 중심으로

        임보연,정기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5

        식민지 근대문화의 총아로 평가받은 『삼천리』에는 374 수의 한시가 게재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연구는 이를 주목하지 않았다.한국문학 ‘근대 전환’의 의미를 파악하기위해서도,근대 시기 잡지에서 한시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삼천리』 소재 한시를 개관하고 특히 독립운동가,김립,여성 한시에 주목했다. 『삼천리』는 독립운동가의 한시를 집중적으로 게재하며 검열의 흔적을 노출시켜 오히려 시의 의미를 강화했다.김립의 한시를 번역하고 해설하여 대대적으로 게재하면서 웃음과 울분으로 독자들의 울분을 달래고자 했다.마지막으로 여성 한시를 소개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여 소수자들의 감정을 중시하는 면모를 보였다. 이러한 『삼천리』에 게재된 한시의 특성은 ‘근대 전환기’ 한국 시의 중층적 양상을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팔선루집(八仙樓集)』에 나타난 자부(自負)와 연대의식

        임보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1

        In this paper, I wanted to hear the voices of gisaeng groups through the book Palsunlujip The recently released collection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clearly shows the time of the gisaeng’s poetry club. "Palsunlujip" is the only material that shows the complete form of women's poetry club. It shows the possibility of new data being discovered in the future and can prove the existence of women's poetry club in detail. Through this collection, we looked at the direction of the ‘Palsunhoe’ and the solidarity of the Palsun. ‘Palsunhoe’ was a group of people who wan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romote friendship by writing poems. With the sponsorship of Misangeosa, the Palsun were able to create and enjoy poetry, and complete it with a collection of essays by continuing their meetings. Through their works in Palsunlujip, they were able to confirm their fellowship and a sense of solidarity, and their willingness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poet. Eight people gathered together to comfort and praise each other, to show their spiritual solidarity and solidarity. They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poets with great literary talent. The Palsun seem to have firmly established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poets in embodying their identity. In realizing their identity, the Palsun seem to have solidified their perception of being poets, who wanted to meet a mate but also to be seen as literary talent. What mattered to them was emotional empathy and exchange, leading to poetry. Their preface, epilogue, and poems show their close friendship. The emotional bonds and intimacy with each other were very high, and it seems that they relied on each other and relied on each other to continue their relationship. Through Palsunhoe, each member was able to firmly show their identity as poets by meeting friends who recognized each other. This gathering was held by eight people who knew nature and promoted socializing and socializing through poetry. It was a cultural space of emotional empathy and communication. 이 논문에서는 『팔선루집』을 통해서, 기생 집단의 목소리를 듣고자 했다. 최근에 공개된 이 자료집은 기녀들의 시회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어서 의미가 매우 크다. 완전한 형태의 여성 시회를 보여주는 자료는 현재까지는 『팔선루집』이 유일하다. 앞으로도 새로운 자료가 발견될 가능성을 보여준 자료이자, 여성 시회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문집을 통해 팔선들의 정체성과 연대의식을 살펴보았다. 팔선회는 작시음영(作詩吟詠)에 뜻을 두고, 시를 지음으로써 소통하고 친목을 도모하고자 결사했던 모임이었다. 미산거사의 후원으로 팔선들은 자신들의 모임을 이어나가면서, 시를 창작하고 향유하고, 그것을 문집으로 완성할 수 있었다. 『팔선루집』에 실린 작품을 통해서 이들의 동료애와 끈끈한 연대 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스로를 시인으로서 인식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8명이 모여서 서로를 다독이고 칭송하는 팔선들 스스로를 위한 모임이자, 팔선들의 정신적 결속과 연대의식을 드러내고자 했다. 팔선들은 정체성을 구현함에 있어서, 시인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해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스스로를 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시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였으며, 짝을 만날 때에도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고 문학을 향유할 줄 아는 인물로 비춰지기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 팔선들에게 중요한 것은 정서적 공감과 교류였으며, 시(詩)를 매개로 이어졌다. 팔선들이 남겨놓은 서문과 발문, 시 작품을 통해 보면 끈끈한 우정이 느껴진다. 서로 정서적 유대나 친밀도가 매우 높았고, 서로 의지하고 기대며 관계를 이어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팔선회의 모임을 통해, 각 구성원들은 서로를 인정해주는 벗을 만나 스스로 시인이라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고히 보여줄 수 있었다. 이 모임은 술 한잔에 자연을 즐길 줄 아는 풍류적 면모를 지닌 팔선들이 시를 통해 사교와 친목을 도모했던, 정서적 공감과 소통의 문화공간이었다.

      • KCI등재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임보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5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 중 자기 성찰 에세이 쓰기 강의 모형을 설계하고,실제수업에 적용 시킨 사례 연구이다.이를 위한 방법으로 ‘단어 선물하기’의 활동의 방법및 수업 사례를 소개했다. ‘단어 선물하기’란,말 그대로 조원들이 서로에게 단어를 선물하는 활동이다.이는자신의 색깔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내가 생각하는 나의 모습 외에 타인의눈에 비친 나의 모습을 생각해볼 수 있다.이 활동을 3단계까지 마치고 나면 학생들은각자 선물 받은 단어 5개가 최종적으로 생긴다.최종 선정된 5개의 단어를 가지고 한편의 ‘나’를 주제로 하는 에세이를 작성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작성한 글에 대한 발표와 첨삭을 진행함으로써 타인의 생각과 소통하는 기회도 갖는다. 그동안 학생들은 자신에 대해 진지한 성찰이나 탐색할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았다.대학에 입학하여,사회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이 나 자신을 세우는 일이다.스스로 자신이 어떠한 사람인지를 분명히 알아야,나로 출발하여,나를 바로 세우고,타자와 소통하고,세계와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designing a self-introspective writing lecture model during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which was applied actual classes. As a way to do this, the method of ‘Giving a word as a gift’ and class cases were introduced. ‘Giving a word as a gift’ is an activity in which team members present words to each other. This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finding one’s own color — that is to say, in addition to what I think of myself, I can think of my reflection in the eyes of others. After completing the activity up to the third stage, students will receive, as a gift, five words each. The process ends by writing an essay on the theme of “I” with the five words finally selected. This also presents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oughts and the attachment of others. In the meantime, students have not been given enough time to seriously introspect or explore themselves.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 myself that I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university and moving into society. In this regard, you need to know clearly what you are so that you can start with “me,” set me right, communicate with others, and communicate with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