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flammatory Bowel Disease 환자에 있어서 유가공식품 섭취

        임병우,조여원,Im, Byeong-U,Jo, Yeo-Won 한국식품연구원 2001 食品技術 Vol.14 No.4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환자의 유가공품 내성에 대한 병력과 의사나 영양학자로부터 받은 지침은 IBD환자들의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주안점이 된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불편 없이 매일 우유를 마실 수 있지만 부가적인 고찰에서는 개인적 요소와 크게 관련이 있는 특정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유가공품에 민감한 IBD 환자들의 진단으로 lactose의 내성과 흡수 장애, long- chain 지방산, 우유에 대한 알러지, 유가공품에 대한 심리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인식 등이 있다. 유당 흡수장애의 발생빈도는 결장이나 ulcerative colitis (UC)를 포함하는 Crohndisease (CD)환자에서보다 소장의CD환자에서 더 높다. 유당 흡수장애의 후천적인 발생빈도는 유전적 요소에 기인하는 인종적 요인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게다가 소장의 CD에서 유당 흡수장애는 lactase 효소보다도 세균성 이상증식이나 소장에서 통과하는 시간(small bowel transit time) 과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의사들이 IBD환자에게 내리는 지침에 있어서의 의견은 매우 다양하며, 진단이 내려지면 유가공품을 회피하라는 극단적인 충고가 있는 반면에IBD의 조절에 있어서 유가공품의 섭취를 줄이라는 제안을 내리는 경우도 있다. IBD환자들은 대중적인 식이요법 책의 저자들이나 의사들로부터 임의적인 제안과 환자들의 부정적 인식 때문에 우유 불내증이나 유당 흡수장애의 발병율의 근거가 거의 없는데도 필요이상으로 유가공품을 피한다. 따라서, 충분한 과학적.임상적 정보의 축적은 IBD환자들에게 유가공품의 섭취에 대한 지침을 설정하는 데에 유용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 전통적 근간과 정책개발을 중심으로

        임병우,김수욱,이승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전통적 근간과 정책개발에 대하여 탐구하고 정책개발에 영향을 준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슈 중의 하나는 ‘지역사회보호‘라는 용어에 대한 다양한 적용과 해석이다.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보호는 가족보호 서비스의 대안으로 제공되어지는 지역사회중심의 복지 서비스 제공 메카니즘을 의미한다. 한국의 유구한 역사에서 한국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전통적인 근간은 불교와 유교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영향으로 형성되었다. 1980년대 이래로 노인의 보호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정책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81년 노인복지법과 1982년 노인헌장의 제정은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 정책 개발의 시금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생활보호 대상 노인을 중심으로 기초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지역사회보호정책이 수립되었다. 최초의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서비스의 제공은 1987년 자원봉사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정봉사원 파견 서비스였다. 1990년에 접어들면서 한국은 신보수주의 복지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지역사회보호 정책은 혼합경제 케어 서비스의 개발을 강조하고 노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국가의 최소의 개입을 강조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지난 20여년 동안 한국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 서비스의 개발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지 못하였으며, 단순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에서 머무르고 있다. 또한 기초생활보장 범위 안에 속한 노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지역사회보호서비스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전 노인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패러디의 시뮬라크르 해석을 통한 디자인의 역할 연구

        임병우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4 No.-

        디지털 산업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시각문화에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과거 모더니즘에서 중시되었던 시각예술의 원본성에 대한 권위는 포스트모던에 의해 해체되었고, 디지털의 시대로 전환되면서 원본과 복제라는 이분법적 구분마저 의미를 상실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시대에는 이미지의 주체와 객체가 융합되어 문화 생산에 직접 참여한다. 이들에 의해 나타나게 된 것이 바로 디지털시대의 패러디이다. 이러한 패러디는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가상세계에서 현실의 권력조차도 지배할 수 있는 초현실적 미디어로 자리를 잡았으며 실재보다 더한 실재로 나타나게 되었다. 장 보드리야르(J. Baudrillard)는 이를 '시뮬라시옹(1981)'의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오늘날 지배적인 시뮬라크르(simulracre)의 현상에 대해 인식의 틀을 제시했다. 오늘날 패러디는 과거와 다름 없이 원작을 차용하는 방식으로 표현하지만 그 의미는 새로운 것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기호와 언어체계에 기반하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각문화의 전문가들은 이미지의 새로운 질서에 대해 인식하고 과거부터 지금까지 기술변화가 있을 때마다 선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처럼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시각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시각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은 디지털 시대에 나타난 시각문화의 질서 변화, 즉 주체와 객체의 융합에 따른 의미있는 역할에 대해 심각한 고민을 해야한다. 이것은 곧 오늘날 모호해진 시각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를 할 것이기 때문이다. A new paradigm in the digital industry requires a new change in the visual culture as well. The authority to the originality of a visual art which was made much of in the past modernism was dissolved by the post-modernism, and as it converted into the digital times, even a dichotomous division between original and copy began to lose its significance. In the digital times the subject and object of an image merge and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culture. What has emerged by means of those is just a digital parody. The digital parody settled itself as surrealistic media which could dominate even the power of reality in the huge cyber world of internet and emerged as actuality rather than reality. Jean Baudrillard explained it with his theory of 'Simulacres et Simulation(1981)' and suggested the frame of recognition about the phenomenon of simulacres prevailing nowadays. These days, the digital parody is expressed in the way of the borrowing of the original like in the past but its meaning appears as a new one, for it is the text based on the signs and the language system. Therefore, the specialists of the visual culture will have to realize a new order of the image and play a leading ro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paradigm as they have performed an initiative role each time there has occurred a technical change from the past up to this time. Especially,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argeting the communication of visual information have to think over a significant role seriously in the oder changes of the visual culture emerging in the digital age, that is, the fusion of subject and object. It is just because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task of identity as to the special area which has become ambiguous in the reality today.

      • KCI등재

        유기농 화장품 구매 요인과 포장디자인 색채에 관한 연구

        임병우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7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을 선호하는 화장품 소비자들이 천연 유기농 화장품에 관심을 갖는 것에 주목하고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포장디자인에서 색채 전략에 초점을 맞춰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화장품의 포장디자인은 제품의 특성뿐만 아니라 감성을 담는 매우 중요한 매체로서, 특히 천연 유기농 화장품과 같이 재료가 중시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정서적,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색채 연구는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외 천연 유기농 화장품 브랜드 5개를 선정하여 브랜드의 포장디자인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인 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천연 유기농 화장품 구매 시 가격보다는 매장분위기와 판촉사원의 설명이 영향을 주며 유해 성분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완화해 줄 것이라는 기대에 대한 응답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천연 유기농 화장품에 적합한 컬러로는 그린을 가장 많이 떠올리는 것으로 높은 비율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천연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색채 마케팅 전략의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포장디자인 후속연구에도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On this study, the author have noted that consumers who prefer organic cosmetics show their interests in natural organic cosmetics, and then have analyzed package design color strategies of natural and organic cosmetics. Cosmetics packages are very important media that holds the emotional aspects of product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product design. In particular, natural organic cosmetics, which materials are very important, need to draw consumers’ trust and confidence throughout emotion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 To carry out this study, the author selected f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smetics brands, and then analyzed the color applied to their package design and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through surveys. As a result, it gives Store atmosphere including VMD or manners and verbal descriptions of promotion staff gave the greatest impact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to buy natural organic cosmetics rather than price of products. In addition, consumers showed higher response on the expectation of product’s function of alleviating skin problems caused by harmful ingredients. The study also found that consumers think green is the most suitable color for natural organic cosmetics packag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a good research evidence for a color marketing strategy of natural organic cosmetics package design in the future, and to be reference for follow-up color and design studies.

      • KCI등재후보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에 근무하는 사례관리자의 역할수행 경험에 관한 연구

        임병우,오현주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에 근무하는 사례관리자(전담요원)의 역할유형 파악 및 유형분류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사례관리자로서의 경험을 탐색하기에 유용한 Strauss & Corbin의 근거이론이 적용되었다. 자료수집은 지자체에 근무하는 사례관리자들(12명)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개방코딩 결과 33개의 개념과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 사례관리자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개인, 팀, 네트웍 차원의 어려움이 문제의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으로 조직 및 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과 수퍼바이져(상사)들의 사례관리에 대한 관심 및 지식의 부족이 대두되었다. 중재적 조건으로 원활한 사례관리 수행을 위하여 슈퍼바이져의 슈퍼비전과 적절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조직내, 팀내, 네트웍간에 역할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택코딩에 의한 유형은 단독역할정립 촉진형과 단독역할정립 좌절형, 그리고 조직역할정립 촉진형과 조직역할정립 좌절형으로 파악 및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함의는 희망복지지원단에서 경험하는 사례관리자의 역할 정립과정을 살펴봄으로서 민간에서 채용된 전문가인 사례관리자들이 공공조직에서 근무해 오던 사례관리 수퍼바이져(상사)들의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 인식과 자신들의 역할인식 정도와 책임감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인 준거틀을 마련할 수 있는 유형들을 제시한 것이다. 실천적 함의는 희망복지지원단의 수퍼바이져들에 대한 슈퍼비전 능력과 사례관리 실천 지식/기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퍼비전과 실천 지식/기술의 교육을 위하여 교육 메뉴얼 또는 교육 커리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Stellaria dichotoma

        임병우,Soung-Hee Choi,Eun-Kyung Kim,Seung-Jae Lee,Jae-Young Je,전유진,김보경,박승화,문상호,전병태,Kwang-Ho Lee,박태규,박표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1 No.4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Stellaria dichotoma were evaluated using seven carbohydrases (Promozyme®, Celluclast®, Maltogenase®, Viscozyme®, Termamyl, Dextrozyme®, and AMG 300L®) and five proteases (Protamex®, Flavourzyme®, Neutrase®, pancreatic trypsin, and Alcalase®) (all from Novo Co., Novozyme Nordisk, Bagsvaerd, Denmark) fo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an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ancreatic trypsin and Celluclast extracts from S. dichotoma were the highest among various protease and carbohydrate extracts, and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were 10.45 and 13.80 μg/mL, respectively. The Flavourzyme and Promozyme extracts of S. dichotoma showed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mong the tested protease and carbohydrase extracts, with IC50 values of 1.51 and 1.23 μg/mL, respectively. The S. dichotoma enzymatic extracts also exhibite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ability of the enzymatic extracts to inhibit the oxidative damage of DNA was assessed in vitro by measuring the conversion of supercoiled pBR322 plasmid DNA to the open circular form. It was found that the enzymatic extracts could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protect against hydroxyl radical-induced DNA dam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zymatic extracts of S. dichotoma posses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자인 졸업 작품전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임병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1학기 수업을 디자인 졸업작품 프로젝트 수업으로 운영하고 나타난 효과 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1학기 전공 교과인 <광고미디어워크숍>을 디자인 졸업작품 프로젝트 수업 방식으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결과 산출물로 SNS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미디어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인 광고 형식 또는 새로운 형식의 커뮤니케이션 영상을 완성하여 학기 말에 발표하도록 문제를 제시하고 수업계획에 맞춰 운영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학습에 대한 다양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테크 놀로지 활용 문제해결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어 대학의 디자인 졸업작품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 대 상은 수도권 S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었고, 총 2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업은 대부분 3 인 이상으로 구성된 총 11개의 팀으로 운영되었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한 학기를 모두 마친 학습 자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 참여와 결과에 대한 만족도 평가지였다. 성찰일지에서는 키워드와 의미 분석을 통해 협업에 대한 이해, 교과 관련된 지식 습득과 적용, 신기술 수용 태도 변화, 공감적 이해, 문제해결력 향상, 실 제적 경험, 반성과 자아성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기평가와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수업이 디자인 졸업작품 창작에서 요구되는 문제에 대한 공감적 이해, 지식 습득과 기술 적용 등의 다양한 학습효과를 통해 실제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디자 인 졸업작품 수업의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erate the first semester class of the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at a university as a design graduation project clas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shown. For the research, <Advertising Media Workshop>, a major subject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was designed as a design graduation project class, and the class results were general advertising formats or new format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 communication video was completed, problems were presented to b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it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class plan. Project classes are learner-centered classes and are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on learning. In particular, they can be expected to positively solve problems using technology, so they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work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ourth-year industrial design students at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29 people participa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most classes were run in a total of 11 teams consisting of three or more peopl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reflection logs, self-evaluation forms, and satisfaction evaluation forms regarding participation and results submitted by learners who completed a full semester of project classes. In the reflection journal, the effects of understanding collaboration,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subject-related knowledge, change in attitude toward accepting new technology, empathetic understanding,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practical experienc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keywords and meanings.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showed evaluation results at an overall high lev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ject classes lead to practical problem solving through various learning effects such as empathic understanding of problems required in the creation of design graduation works, knowledge acquisi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design graduation work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