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ectro-oxidation reaction of kraft lignin with various types of anodes for the production of vanillin

        임민정,유인수,황경란,이승재,나병기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바닐린은 식품 산업에서 가장 인기 있는 향료이며, 향료뿐만 아니라 제약산업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유기 중합체 중 하나로서, 펄프 및 제지산업에 존재하는 크라프트 리그닌을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을 통해 바닐린 등의 고부가가치 화합물을 얻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산화반응을 위한 금속 전극의 종류에 따른 리그닌 산화의 영향과 바닐린 생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해질용액으로는 3M NaOH을 사용하였다. 양극의 전극으로 Ti, Sus, Ni, Cu, Carbon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전류밀도는 0.11mA/㎠으로 고정하여 전류세기를 설정하였다. 85 °C의 반응온도에서 2시간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바닐린의 농도는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바닐린 이외에도 사이링알데하이드, 바닐린산, 시링산, 구아이아콜 등이 검출 되었으며, Ti 전극의 사용에서 바닐린 수율이 3.9%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패션 테크니컬디자이너 실무교육 강화를 위한 스캐폴딩

        임민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aimed to propose scaffolding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echnical design to narrow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field of the fashion industry and connect the education to practical affairs effectivel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echnical design were selected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and error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business performance,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chnical designers in the industr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were divided based on the business process performed by technical designers to propose the scaffolding necessary for each stage.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 of the technical design was composed of fit development and spec. proposal, technical package, fit schedule and fitting, sample evaluation and approval, request for pattern modification, and terminology of grading practice. The stage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scaffolding for technical design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s of fit and spec. were divided into the method of measuring clothes, selecting and measuring samples, modifying spec., and checking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demonstration, modeling, Q&A, and feedback. Second, the technical package was composed of the technical flat sketch, detail sketch, information about materials and unit prices, and a spec. sheet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description and demonstration, modeling, problem recognition, enhancement and feedback, and Q&A. Third, fit schedule and fitting were divided into the stages of fitting preparation, fit problem observation, pattern modification, and fit comment preparation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problem recognition, question, demonstration and description, and feedback. Fourth, the evaluation and approval of samples were divided into the conditions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m and checking the conditions for them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problem recognition and feedback. Fifth, the request for pattern modification was divided into sample observation, modification method, pattern modification and verification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case presentation, inference, description, and feedback. Sixth, grading was divided into size level, deviation by part, and size checking to propose the scaffolding of case presentation and inference. Lastly, as for the use of terminology, repetitive scaffolding was proposed so that the workers could be trained through situated learning and technical package drawing in each stage of business performance. In technical design,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actual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ical design is more important than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production of clothes for connecting to practical affairs and providing a sense of realism even the job of producing clothes in practice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for effective learning, scaffolding should be provided, which presents cases, recognizes problems, draws inferences, and provides feedback. 이 연구는 교육과 패션산업 실무현장의 차이를 좁히고 효과적으로 실무와 연계하기 위한 테크니컬디자인 교육 방법으로써 스캐폴딩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테크니컬 디자인 교육내용은 산업체 테크니컬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업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및 오류를 조사하여 선정하였다. 테크니컬디자이너가 수행하는 업무 과정을 기반으로 교수·학습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테크니컬 디자인을 위한 교육은 핏 개발과 스펙 제안, 테크니컬 패키지, 핏 스케줄과 피팅, 샘플 평가와 승인, 패턴 수정 의뢰, 그레이딩 실무 전문 용어로 구성하였다. 테크니컬디자인 업무 수행 단계와 스캐폴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핏과 스펙 제안은 의복 측정 방법, 샘플 선정 및 측정, 스펙수정, 확인 단계로 구분하여 시연, 모델링, 질의응답, 피드백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둘째, 테크니컬 패키지는 테크니컬 플랫 스케치, 디테일 스케치, 소재 및 단가정보, 스펙시트로 구성하였으며 설명과 시범, 모델링, 문제 인식, 강화와 피드백, 질의응답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셋째, 핏 스케줄과 피팅은 피팅 준비, 핏에 대한 문제관찰, 패턴 수정, 핏 코멘트 작성 단계로 구분하여 문제 인식, 질문, 시범과 설명, 피드백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샘플 평가와 승인은 샘플 평가 요건과 기준, 샘플 상태 확인으로 구분하고 문제 인식과 피드백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패턴 수정 의뢰는 샘플 관찰, 수정 방법, 패턴 수정, 검증의 단계로 구분하여 사례 제시, 추론, 설명, 피드백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여섯째, 그레이딩은 사이즈 단계, 부위별 편차, 사이즈 확인으로 구분하여 사례 제시와 추론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 용어의 사용은 각 업무 수행 단계에서 상황학습과 테크니컬 패키지 작성을 통하여 숙련될 수 있도록 반복의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테크니컬 디자인은 패션산업 실무에서 의류 생산을 위한 직무라 할지라도 실무 연계와 현장감을 제공을 위해 의류 제작 중심의 교육보다는 테크니컬디자인의 실제 업무 수행 중심의 교육이 중요하며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사례 제시와 문제 인식과 추론, 결과에 대한 피드백 스캐폴딩이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패션 제품의 수명 연장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 여성 정장을 중심으로 -

        임민정,박문희 복식문화학회 2022 服飾文化硏究 Vol.30 No.6

        The environment has increasingly attracted attention and fashion brands need to use new growth models by developing eco-friendly products, along with the drastic climate change. This study drew design guidelines from the factors of clothing disposal and reuse to propose ways to extend the longevity of clothing. It sets the design goals for the longevity extension of clothing as flexibility, originality, durability, and adjustability and drew a specific design guideline. The design methods used to achieve su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that is flexible in terms of physical changes needs to increase its activity and to be changeable, by applying pleats, rubber bands and elastic materials to the parts with many physical changes and mov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brand identity, create design that is flexible in terms of fashion and design very rare and attractive products, for the goal of original design beyond fash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quality of clothing and improve the durability which can be decreased by washing and wear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design that can produce various styles, preserve the state of clothing and maintain its hygienic conditions by using removable detailed designs, shape-transformation designs and the designs which can be adjusted to climate changes and states, for the goal of adjustable design with better functionality. The findings provide ideas for fashion expert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xtending the longevity of clothing products and to develop eco-friendly designs and strategies.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 및 요구

        임민정,백지혜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perceptions and needs in terms of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collect the data, 45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and four teacher educato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were intrigued by moral imagination, expecting i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quality and potential for improvement. The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considered moral imagination to be included within thei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while the teacher educators connected it with professional ethics. Both requir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foster moral imagination because it can benefit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mong the elements of moral imagination, emotion and caring for self were highly demanded, and a short or medium term, course-integrated program was preferred; specifically the teacher educators emphasized using learning methods which were aligned with reflective thinking and daily experiences. This study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foster moral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사양성대학에 재직하는 4명의 교수와 개인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 모두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관심과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 및 훈련에 의한 향상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들은 영유아 인성 및 도덕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의필요성과 참여의사를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도덕적 상상력의 교육내용 가운데 정서 및 자아에 대한배려 요구가 공통적으로 높았고, 기존 교과목과 통합하여 중단기로 운영하는 방안을 선호하였다. 특히 교사교육자들은 실생활과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천을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의 사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도덕적 상상력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육의 형평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임민정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형평성에 관련된 유아기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형평성 제고를 위한 공정한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연구방법: 유아교육에서의 교육격차, 사교육, 교육복지의 쟁점들을 제시하고, 형평성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격차는 기회, 과정, 결과에서의 차이를 의미하는 평등주의적 개념이며, 누리과정을 통한 기회균등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의 격차가 발생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특별활동은 영유아 사교육의 부분을 담당하고 계층별 양극화된 요구 차이를 지니고 있었다. 셋째, 교육복지 정책은 취약계층 지원을 통해 불평등을 경감하는 차등의 원칙을 반영하였다. 논의 및 결론: 형평성 쟁점들과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동향을 바탕으로 공정한 유아교육을 위한 개선 방향이 논의되었다. 결론적으로 형평성은 지속가능하고 평등한 미래발전을 위해 유아교육의 지향점으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quity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arch of critical implications for creating equ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educational gaps in early childhood, private tutoring for young children, and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Also,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garding the equity issues were examined. Results: First, the term of educational gap refers to as an egalitarian concept that implies a difference in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access, process, and outcomes among young learners. Although the national Nuri-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all young children aged 3-5, certain quality gaps still exist across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econd, preschool and childcare afterschool programs have served as a means for private tutoring and ten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family needs based on social class. Third, the governmental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reflect the principle of difference which emphasizes alleviating inequality through offering societal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 reviewed issues, the study discusses the ways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equity, concluding that equity needs to be highlighted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s educational goals for a just society that is sustainable in the future.

      • KCI등재

        「웨이킹 라이프」Waking Life의 존재탐색 : 니체의 ‘영원회귀’ 개념을 중심으로

        임민정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용봉인문논총 Vol.41 No.-

        본 연구는 선댄스 키드의 실험정신을 계승하는 리처드 링클레이터(Richard Linklater)의 2001년작, 장편 애니메이션 .웨이킹 라이프. Waking Life를 통해 니체가 촉구하는 삶에 대한 긍정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 영화는 초현실적인 이미지와 독특한 움직임, 의식의 흐름을 따르는 몽환적인 스토리 전개라는 참신한 실험 정신을 보여주고, 독창적인 로토스코핑(Rotoscoping) 기법을 통한 실사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작품으로 평가되어 왔다. 자신의 꿈과 현실, 삶과 죽음을 구별하지 못하는 주인공은 사람들과의 끊임없는 만남과 대화를 통해서 잃어버린 자기 리얼리티를 찾아 표류한다. 목적을 상실한 채 낯선 세계로 향하는 주인공의 모습은 근대 이후 절대적인 목적이나 어떤 준거점도 없이 자신의 실존에 회의를 갖는 현대인의 모습을 대변한다. 감독은 주인공과의 대화를 빌어 우리에게 “영원이라는 지금 순간에 서 살 것인지, 영원이라는 순간을 거부하고 죽은 삶을 살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요구한다. 이것은 니체의 영원회귀와 중첩이 되면서, 종국에는 단 하나의 순간과 하나의 삶만이 끊임없이 이어지므로 실존하는 이 순간을 긍정할 것인가를 묻고 있는, 실존에 대한 긍정의 요청으로 읽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