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제 난이도에 따른 주의초점 방향 채택이 골프 피치 샷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이효경,이지혜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피치 샷 수행 시 과제 난이도에 따라 외적 또는 내적 주의초점 채택이 수행 및 학 습의 차이를 발생시키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해 참가자들은 외적 또는 내적 주의초점 그룹에 무 선 배정되어 표적을 향해 피치샷을 수행하였다. 참가자들은 표적에서 10m(저난도)와 20m(고난도) 떨어진 곳에서 공을 쳤고, 공이 떨어진 위치에 따라 0-5점의 점수가 주어졌다. [결과] 그 결과, 습득 단계에서는 과제 난이도에 대해서만 유의한 주효과가 발견된 반면, 파지 단계에서는 주의초점과 과제 난이도 요인 모두 유의한 주효과가 있 었다. 이는 수행에 있어서 과제 난이도만 영향을 미친 반면 학습에는 주의초점 방향 채택과 과제 난이도 모두 영 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주의초점 방향과 과제 난이도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관찰되지 않았 기 때문에 과제 난이도에 따라 주의초점 방향이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히 주장할 수는 없다. 그러나 파 지 단계에서 외적 주의초점 채택 그룹이 저난도 조건일 때와 고난도 조건일 때의 점수 차이 없이 내적 주의초점 채택 그룹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음은 고난도 조건에서 외적 주의초점 효과가 크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 external and internal attention focus according to task difficulty when performing a golf pitch shot. [Meth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ternal or internal attention focus group and performed a pitch shot toward a target from 10m (low difficulty) and 20m (high difficulty). The experimenter scored a pitch shot accuracy with 0 to 5 point scale. [Result]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 of task difficulty in the acquisition phase, but both main effects of attention focus direction and task difficul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tention test. The results indicate task difficulty has effect on both acquisition and learning while attention focus direction influenced learning only. [Conclusion] The attention focus direction and task difficulty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and therefore, it is not clear whether task difficulty varied the effect of attention focus direction. However, the retention test result shows the external attention focus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internal attention focus group regardless of the task difficulty. Together, this finding suggests that external attention focus has greater effect on the performance in high difficulty condition.

      • KCI등재

        메타버스에서 공간의 의미에 대한 교육적 탐색: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이효경,오송민,유영만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2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7 No.2

        COVID-19 Pandemic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various online platforms for non-face-to-face learning into the educational field. Among them, the online platform that became the most hot topic in 2021 is learning through metaverse. Metaverse refers to a virtual space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that provides a sense of reality similar to that of the real world. However, among the definitions of metaverse, it is understood that the meaning of the metaverse current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is usually the learner's agent, or avatar, experiences learning in a space called metaverse using its bod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 and the avatar, the avatar and the virtual space, and the virtual space and the learner is a reciprocal relationship that directly affects the learning effect. This study explains the reality of metaverse learning on a philosophical basis of the concept of the body and perception, space, and relationship with the other of the phenomenologist Merleau-Ponty.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why metaverse increases learner immersion and motivation in metaverse's 'space' and to examine how avatar, learner, and space interact closely with each other. As a result, learners and avatars, learners and spatial concepts in the metaverse were schematically presented. Based on this, we also re-explore the essence of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metaverse's sense of reality. This suggests that in the future,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learning space should be important for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in online learning design or new online platform design, and that learning space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supplemented by blended space design so that realistic experiences can coexist. 코로나 팬데믹은 비대면 학습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중2021년에 가장 화두가 된 온라인 플랫폼은 메타버스를 통한 학습이다.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유사한 실재감을 제공하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메타버스에 대한 정의들 중 현재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메타버스의 의미는 통상적으로 학습자의 에이전트(agent), 즉 아바타(avatar)가 자신의 신체를 이용해 메타버스라는공간에서 학습을 경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학습자와 아바타, 아바타와 가상공간, 가상공간과 학습자의 관계는 학습효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호혜적 관계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공간의 의미에 대한 교육적 탐색을 현상학자 메를로-퐁티의 몸과 지각, 공간, 타자와의 관계의 개념을 철학적 근거로 메타버스 학습의 실재감을 설명한다. 또한 메타버스가 학습자의 몰입과 동기를 높이는 이유를 메타버스의 ‘공간’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고 공간이 학습자에게 주는 영향을 아바타와 학습자, 아바타와 공간이 어떻게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자와 아바타, 학습자와 공간 개념을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근거로 메타버스가 주는 실재감의 한계 역시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전시킬 온라인 학습 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본질을 재탐색한다. 이는 향후 온라인 학습 설계나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 설계에 있어서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학습 공간의 의미와 경험이 중요하게 전제되어야 함과 더불어 학습 공간은 현실적 체험이 공존하는 신체적 장소와 매개될 수있도록 블렌디드 공간 설계(blended space design)로 보완 및 보충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금융의 디지털화에 따른 규제 대응방안 -최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효경 은행법학회 2022 은행법연구 Vol.15 No.1

        Digital transformation (DX) and deregulation have been a growing topic over the past years for accelerating the transition in the financial industry. Accordingly, financial regulations should cope with those situations, and existing regulation and supervision for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be advanced for regulating new financial sectors such as fintech companies. For this purpose, Japan and other countries are trying to find better solutions to improve the regulation and supervision of financial operators according to financial functions such as grants in funding and payment. In this context, multiple initiatives have been undertaken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payment remittance for stable coins, digital currency, and CBDC, and digitalization of financial sectors such as securities (security and tokens), crypto-asset, DeFi and NFT (Non-fungible Token, Non-replaceable Token) have been developing day by day. While these new financial innova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convenience, providing new added values, and solving social issues, they are also concerned about various risks and harmful effects as significant policy tasks around the world. Decentralized finance is bringing a very new challenge to the world of financial regulation. The ultimate goals of financial regulation aim to boost financial stability, protection of investors and consumers, and prevention of financial crimes.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ial stability, crisis and collapse of financial services due to governance that financial authorities cannot grasp, such as loans or program transactions that cannot recover risk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investors and consumers, customer asset outflows due to cyber attacks, internal irregularities, are assumed. In this case, it actually occurs in many cases and the risk is high in realit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ng financial crimes, cryptographic assets or decentralized financial systems are used for money laundering.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suggestions for appropriate regulation and supervision to advance innovation starting with decentralized finance and suggestions for Korean regulations by reviewing recent discussions from Japa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X)과 규제완화로 금융업의 상황도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것에 따라 금융규제도 변화해야하며 금융기관에 대한 전통적인 규제·감독과 핀테크기업 등 새로운 금융사업자에 대한 규제·감독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결제나 자금공여와 같은 금융기능에 따른 금융사업자의 규제·감독의 개선을 일본을 비롯한 각국에서 모색하고 있다. 국제적인 결제송금 분야에서는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화폐, CBDC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이 밖에도 결제·송금 이외의 증권(보안·토큰)이나 암호 자산, DeFi나 NFT(비대체성 토큰) 등 금융섹터의 디지털화는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금융 이노베이션은 편리성 향상과 새로운 부가가치 제공, 사회과제 해결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리스크와 폐해를 억제할 수 있을지가 세계 각지에서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고 있다. 분산형 금융은 금융규제의 세계에서 매우 새로운 과제를 가져오고 있다. 금융규제의 중요 목표는 금융의 안정성, 투자자·소비자의 보호, 금융범죄의 방지에 있다. 금융안정의 관점에서 금융당국이 파악할 수 없는 지배구조에 의한 금융서비스의 위기와 파탄, 예를 들면 리스크를 만회할 수 없는 대출이나 프로그램거래 등을 상정할 수 있으며, 투자자와 소비자와 관점에서는 사이버공격, 내부 정보를 이용한 고객자산 유출, 사기적 사건 등이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는 실제로 많은 사건으로 발생되며 현실적으로 리스크가 크며, 금융범죄 방지 관점에서 암호자산이나 분산형 금융 시스템이 실제로 자금세탁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분산형 금융을 기점으로 금융혁신을 촉진해 나가기 위해서 적절한 규제와 감독에 대한 논의를 최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 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로 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관련 법제 현황 및 개선방향

        이효경 한국경제법학회 2019 경제법연구 Vol.18 No.3

        The overall business innovation through digitalization is crucial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o lead the innovative growth. The digitalization helps business practices of SMEs to advance from a subcontracting manufacturing system in the industrial age to a customized service provider in the digital era. For SMEs, it is hard to obtain all capabilities and business resources on their own whic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such as cutting-edge technology, logistics, technique and capital, accordingly sharing and combination is the key for achieving the competitiveness. And the growing interdependence with the outside entities in providing product, services and information data bears a higher probability of a rapid and wide spread of specific company’s hazard or accident through supply chain or network. Digital Transformation unfolds at rapid pace. In this situation, SMEs with business resources limit coupled with the information protection divide between the big businesses need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protection capability and the proactive response form the government. Under existing legislation which lacks clear basis for SMEs support, organized cyber safety net boosting project support has limit. Therefore laying the legal grounds for effective information protection is necessary. To this end, this article is for reviewing the discussion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SMEs information protection support legislation. 중소기업이 혁신성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화를 통한 경영 전반의 혁신이 필수적이다. 디지털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사업방식은 산업화 시대 하청 생산에서 디지털 시대 특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도약할 수 있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첨단기술, 물류, 기술, 자본 등의 경영자원을 독자적으로 모든 역량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워지게 되며 공유와 결합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상품과 서비스, 정보데이터의 제공을 통한 외부조직과의 상호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특정기업의 장애나 사고가 공급망(supply chain)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의 흐름이 빠르게 전개되는 가운데 경영자원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의 정보보호 격차도 크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보호 역량강화의 기반을 마련하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에 관한 명확한 근거가 없는 현행법제하에서 체계화된 중소기업 사이버안전망 강화 사업 지원에 한계가 있고, 중소기업의 정보보호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중소기업을 둘러싼 정보보호 지원 관련 법제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경계(驚悸) 정충(怔忡)에 관한 고찰

        이효경,김태헌,류영수,강형원,Lee, Hyo-Gyung,Kim, Tae-Heon,Lyu, Yeoung-Su,Kang, Hyung-Won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9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0 No.1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help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 patients through the study on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in "Donguibogam" Methods : Author searched the contents of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in "Donguibogam" and classfied them by concept, pathogenesis and treatment. Results : 1. Concepts of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are to leap up, be nervous and fear something.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are same kinds of disease but they are only distinguished as their seriousness. 2. There are four main causes of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such as phlegm and fluid retention(痰飮), insufficiency of the heart(心虛), being blocked of qi(氣鬱) and Hwa(火). Additionally the diseases are caused by astonishment(驚) excessive thought(思慮過度), insufficiency of the liver(肝虛), excessive perspiration and dirarrhea (汗,下過多) insufficiency of qi(氣鬱) 3. the number of herbal medicines which treat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are 68. In result of analyzing them, the number of herbal medicines to treat phlegm(痰) are 22 and the number of herbal medicines to treat deficiency of the heart blood(血心虛) are 18. 4. The number of herbs which treat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are 25. They stabilize Hon-Baek(魂魄), spirit(精神) and mind(心神), supplement the heart blood, and treat Damhwa(淡火) and Hwa(火). Poria(茯神) take a rule of leading to the causes of Keongke(驚悸) and Cheongchung(怔忡).

      • KCI등재

        디지털 혁신에 대한 벤처투자 촉진 및 활성화

        이효경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4 No.3

        As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is shrinking globally due to the uncertainty in the global financial environment caused by high interest rates and high inflation, governments and domestic support organization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ventures and startups, and the industry and government are working together to respond to the crisis. In Korea, the supply side of venture finance is characterized by a large share of policy funds, and although the share of total private investment is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investment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role of policy funds is still important, and venture capital and angel investments with expertise are not playing their full role, so there is still a large tendency to rely on government support for financing. As digitalization progresses and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continue to emerge,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support compan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such as those in new growth industries.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venture and startup ecosyst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networking conditions such as local connections of domestic startups and exchanges with the local startup ecosystem (venture capitalists, large companies, etc.) and regulatory innovations. In addition, we believe that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revise relevant laws and support measures to revitalize the secondary market by easing IPO requirements, improve the system for activating CVC, and enhance the dynamism of the venture market so that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venture investment ecosystem can be strengthened.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legislative status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expand venture investment, and in particular, we will review the legal issues and improvement tasks for expanding investment in the latest technologi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venture capital and investment attraction.

      • KCI등재

        전체적 주의초점과 외적 주의초점이 골프 수행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효경 한국골프학회 2022 골프연구 Vol.1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attention focus, that is, holistic, external, internal attention focus, affect golf performance and learning. [Meth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holistic, external, internal attention focus group or control group, and performed a pitch shot toward a target from 15m in the acquisition phase and 18m in the retention test. [Result] In the acquisition phase, the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internal focus and control condition, whereas in the retention phase, the holistic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 on the internal focus of attention and control condition, and the external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 on the control condition. [Conclusion] This means that only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whereas holistic and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It was confirmed that holistic attention was valuable as another possible attention strategy that could be used in addition to external focus of atten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초점의 유형, 즉 전체적 주의초점, 외적 주의초점, 내적 주의초점이 정확성을 요하는 골프 수행 및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참가자들은 전체적, 외적, 내적 주의초점 그룹 또는 통제조건 그룹에 무선 배정되어 습득 단계에서는 15m, 파지 및 전이 검사에서는 18m 거리에 있는 지름 50cm의 표적을 향해 피치 샷을 수행하였다. [결과] 습득 단계에서는 외적 주의초점 조건이 내적 초점과 통제조건에 대해서만 유의한 주효과가 발견된 반면, 파지 및 전이 단계에서는 전체적 주의초점 조건이 내적 초점과 통제조건에 대해, 그리고 외적 주의초점 조건이 통제조건에 대해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수행에 있어서는 외적 주의초점만 영향을 미친 반면, 학습에는 전체적 주의초점과 외적 주의초점이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전체적 주의초점은 외적 주의초점에 더해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한 주의초점 전략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독교교육의 미래를 위한 ESD의 대안적 역할 고찰

        이효경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 기업의 ESG 경영을 위해 근본적으로 교육계 전반에 실시되어야 할 교육과정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ESD가 기독교교육의 가치와 태도를 기반으로 하는 공공성을 띤 대안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ESG는 경영학에서, ESD는 세계시민 교육이나 기후 위기에 대한 환경교육에서, 기독교교육은 교회 내 기독교교육에 중점을 두고 각각 연구되었다. ESG와 ESD, 그리고 기독교교육이 서로 관련이 있는 주제와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분야에서 비슷한 가치를 개념화하고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공통된 가치와 주제에 따른 통합적인 시각과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근거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메타 내러티브 리뷰의 연구 방법으로 ESG와 ESD, 기독교교육에서 수행되었던 14개의 논문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ESG와 ESD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ESG 경영을 위해서 근본적인 ESD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ESD의 지속가능한 교육은 기독교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를 근원적으로 내재하고 있기에 기독교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요구는 ESD와의 호혜적 관계를 통해 실천적 대안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s a fundamental curriculum that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out the education system for corporate ESG management, and that ESD can play an alternative public role based on the values and attitudes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ESG has been studi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ESD has been studied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climate change, and Christian education has been studied with a focus on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Although ESG, ESD, and Christian education have related themes and concepts, they have been conceptualized and studied in different fields with similar values, so an integrated view and analysis based on common values and themes is needed. To derive evidence for this, this study used the research method of meta-narrative review to integrate and analyze 14 articles conducted in ESG, ESD, and Christian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ESG and ESD are closely related and that fundamental ESD education is necessary for ESG management. We also found that sustainable education in ESD is fundamentally embedded in the values of Christian education, so the demand for publicity in Christian education can be practically addressed through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ES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