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용존산소 농도에서의 산소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돌연변이주 M-10 생장거동

        이항우,Lee, Hang-Woo 한국미생물학회 1999 미생물학회지 Vol.35 No.4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DO)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and it's mutant M-10 was studied the growth kinetics and the possibility of waste treatment for reducing the amount of excess sludge. Different DO concentrations on the growth of wild type Pseudomonas aeruginosa affected to cellular yields, decreasing with increasing DO concentrations. Under these conditions, the maximum 14 folds decrease of cellular yield was achieved at 90 ppm DO levels by screened, being able to reduce their cellular yields under low DO concentration. The optimum mutation conditions were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NTG mutagen at 30${\circ}C$ for 1 hr.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mutant M-10 showed the same as the wild type growth kinetics. However, cellular yield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55% compared with those of wild type under DO concentrations increased. We, therefore, expect the application of the mutants to waste treatment for reducing excess sludge. 본 연구를 통하여 활성슬러지중의 주요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를 이용한 생장 특성과 세포 생장에 있어서의 고DO 농도의 영향에 대한 특성을 이용, 페수처리계의 응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균은 DO 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세포 수율은 14배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 수율의 감소는 압력의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니라 DO 농도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낮은 DO 농도에서도 세포 수율의 감소효과를 가질 수 있는 변이주를 변이원 NTG 농도 100 ${\mu}$g/㎖, 30${\circ}C$, 1시간 처리하여 얻은 다음 D-cycloserine에 의한 농축배양을 통해 목적 변이주를 얻었다. 이 목적 변이주에 대한 세포 수율은 DO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수율은 DO 농도 36 ppm에서 야생주에 비교할 때, 약 55%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종래의 폭기방식을 채용할 경우에도 슬러지량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개인정보 보호와 공유자원 관리

        이항우(Hang-woo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커뮤니티 포털 산업의 발전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점점 더 제기되고 있는 사이버공간 속 개인정보의 성격변화와 그 보호방안에 대한 고찰의 일환으로 씌어진 논문이다. 이 논문은 우선 개인정보를 인권, 사적이고 개인적인 재산권 혹은 상품, 그리고 공유재로 파악하는 관점을 비교한다. 다음으로, 공유자원 체계의 관리방안과 공유재와 연관된 재산권 유형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개인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인정보 침해유형으로 간주하는 사항들을 공유자원 체계의 관리방안과 공유재와 연관된 재산권 행사범위와의 관련성 속에서 논의한다. 이 논문은 오늘날 다양한 추적ㆍ감시 기술이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개인정보가 점차 경제적 재화 혹은 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여, 우리는 더 이상 개인정보를 순전히 개인의 재산으로 간주하고 프라이버시를 순수하게 사적인 권리로만 파악할 수 없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정보는 공유재로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개인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인정보 침해유형으로 지정한 사례들을 인터넷 커뮤니티 포털을 비롯한 회원에 바탕을 둔 기업들이 축적한 회원정보에 대한 재산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를 명시한 것으로 이해한다. 위의 법률이 개인정보라는 공유재와 인터넷이라는 공유자원 체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공유자원 디자인 원리를 공유재와 관련된 재산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법률로 더욱 엄밀하게 설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밝힌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nat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design principles in cyberspace. In so doing, it, first, compares personal information as a private and individual property or goods with one as a common goods. Second,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rinciples of common-pool resources and property rights most relevant for the use of common-pool resources. Third, it discusses the types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Encouragement of the Use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Secur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ct of 2001 in a close connection to the design principles of common-pool resource systems and the property rights relevant for the use of common-pool resources. As more and more surveillance technologies are adopted into various fields of our everyday social life, our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are more and more becoming vulneralbe to eyes of multiple surveillant agencies including Internet community portals. Yet peoples' interests in protecting their personal information are paradoxically loosing momentum. Given that, we may need to employ, instead of consider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pure private and individual property, a viewpoint that regards personal information as a common goods. To some extent, the law mentioned above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prescribe the scope and the limit of property rights that member-based industries such as Internet community portals may us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they collected in their sites. Although the Act of 2001 legally supports the effort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s a common goods and the Internet as a common-pools resource system from seriously violated and destroyed, there have still been reported many cases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regarding it as a pure personal and private property at the owner's disposal.

      • KCI등재

        정동 경제의 가치 논리와 빅데이터 폴리네이션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이 연구는 인지 자본주의 노동, 가치, 착취 개념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고, 정동의 가치논리가 빅데이터 폴리네이션을 통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탐구한다. 정동 경제에서 노동은 생산, 소비, 여가와 일상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가치는 노동가치설의 본질주의적 관점보다는 재화에 대한 공통 의견이나 평판의 형성과 같은 사회적 구성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착취는 강제되고 소외된 노동의 임금과의 불균등 교환이라는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공통적으로 생산된 가치에 대한 사적 포획 혹은 ‘자유노동(free labor)’ 생산물에 대한 자본의 전유라는 차원에서 규명된다. 인지 자본주의의 가장 최신 비물질재인 빅데이터의 폴리네이션은 ‘21세기 천연자원’, ‘인과성을 대체하는 상관성의 과학’, ‘정부, 기업, 개인 모두에게 유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갈라파고스화 경계를 위한 규제 완화’ 등과 같은 담론 기제를 통해 그것에 대한 정동을 끌어 모으고 사회적 수용성을 높인다. 네트워크 속 인구들의 집단지성과 부불 노동에 대한 착취 문제는 사용자 창출 데이터의 완전한 상품화라는 시장주의적 접근보다는 ‘기본소득’ 제도의 도입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alient conceptual features of labor, value, and exploitation in today’s cognitive capitalism, and then explores how the affective logic of value is expressed in the pollination of big data. Labor in cognitive capitalism comprises production, consumption, and various forms of recreational activities. Value is defined in terms of social construction of common opinion and reputation among people, rather than fundamentalist labor theory. Exploitation is also considered in terms of the private capture or appropriation of the socially and commonly produced value or free labor. The pollination of big data, the most recent form of immaterial, obtains the social receptiveness via such discursive devices as ‘21st natural resource’, ‘science of correlation replacing that of cause-and-effect’, ‘the supply of customized service for government, corporation, and individuals’, ‘deregulation of industry for the prevention of Galapagosization’, The issue of exploi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or unpaid labor among population of network should try to find a solution not from the market-driven perspective of total commercialization of personal data but from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 KCI등재

        신자유주의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와 정당성 문제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7

        이 논문은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의 진화 과정을 민영화, 기업 친화주의, 다수이해당사자주의, 엘리트 집행력 중심주의, 투명성과 책무성 담론 등과 같은 문제들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신자유주의 규범과 가치가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 어떻게 관철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인터넷의 상업 잠재력에 주목한 자본의 요구에서 초래된 인터넷 도메인 명칭 시스템의 민영화는 자유로운 경쟁과 선택을 최대한 보장하는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전개되었다. 인터넷 명칭 시스템 관리가 전 세계 네트워크의 상호의존성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주장은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 정당화의 주요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엘리트에 의한 효율적 집행력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원리는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의 대표성 문제에서 특히 취약한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는 투명성과 책무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지만, 대다수 일반 이용자 집단의 의사를 실질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작업이 주요 의제로 설정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어디까지나 정당성 문제에 대한 신자유 주의적 대처 전략에 다름 아니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글로벌 거버넌스에는 특히 사적 권위의 발전이 두드러진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대개 경제 엘리트의 막강한 권력을 염두에 둔 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시민사회단체를 초국적 자본과 동등한 하나의 비정부 부문으로 간주하고 국가 개입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율 규제와 다수이해당사자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너무나 순진한 태도일지도 모른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oliberal development of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represented by privatization, business-friendly, multi-stakeholderism, and elitism in conjunction with theories of neoliberalism, globalization, global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regime theory. The privatization of Internet domain name system was facilitated by capital’s awareness of commercial potential of the Internet and based upon market mechanism fully guaranteeing free competition and choice. It constitutes key element of legitimacy of neoliberal governance that the management of Internet name system supports interdependence of networks in the world. However, the neoliberal emphasis on the principles of effectiveness and elites’ executive power reveals vulnerability of representation in global Internet governance. Currents efforts to enhance it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might be considered nothing more than a neoliberal coping strategy to the criticism of its democratic legitimacy. The reason is that it does not constitute a major legitimacy-related agenda of ICANN to construct a representation mechanism in which the voice of general Internet users of the world could be heard. If the development of private authority is a prominent phenomenon of global governance, it is the very overwhelming power of economic elites that makes it possible. Here, it would be too naive to argue tha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constitute another part of non-governmental agencies along with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to advocate self-regulation and multistakerholderism free from state regulation.

      • KCI등재

        “잘못한 것이 없으면 숨길 것도 없다”?

        이항우(Lee Hang-Woo)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자신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이 언제, 어떻게, 얼마나 수집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를 해당 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탈중심화되고 일상화된 그리고 자발성에 근거한 전자감시 체제에 의한 개인정보 침해를 예방하기 위해 성립된 정보인권 관념이다. 그러나 그것이 개인정보의 인권적 가치와 상품적 가치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실효성은 항상 점검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을 통한 자본의 감시권력 강화를 염두에 둘 때, 개인정보가 지닌 가치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논리는 자칫 더 이상 인권의 측면을 고집하지 말고 그것의 상품 가치를 널리 실현하자는 주장을 강화하는 것으로 귀결되기 쉽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개인정보라는 상품을 인권으로 끌어내기보다는 개인정보라는 인권을 상품으로 끌어낸 과정의 산물로 이해될 여지가 더 많은 관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정보인권을 보장해줄 것이라는 단순한 낙관적 전망을 넘어서서. 상품과 인권의 (불)균형이 실제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따져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률의 실제 집행과정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처리하여 보고한 총 300개에 이르는 구체적인 분쟁조정 사례를 분석하여 개인정보 자기결정의 원리가 과연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률」을 통해 적용되고 있는 우리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ㆍ양도와 관련한 정보 수집자와 정보 주체 사이의 힘의 불균형을 해소시켜주는 데 적지 않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을 밝힌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자본의 감시 체제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는 효과는 미미한 반면,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법률과 기구가 있다는 믿음이 오히려 점점 더 많은 감시 및 통제 기술의 광범위한 사회적 적용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s a concept of an informational human rights that is established to prevent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by today s highly sophisticated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In spite of much expectation on its positive effects on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s still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personal value(i. e., human right) and economic value(i. e., commodity) should be balanced and, in that regard, it becomes the object of which effectiveness must always be checked and evaluated.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principle of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its legal expression, the law on the facilitation of the use of informational networks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empirical field around the use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doing so, i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rends of vio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year 2002 to year 2006. A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tent of a total of 300 cases regarding the violation of the law.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argues that the way our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s applied shows too much limitation to successfully redress the power inequality between information collectors and informational subjects around the collection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so far as the principle of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s very loosely practiced as now, it would not be far-fetched to say that it is nothing more than a toothless paper tiger.

      • KCI등재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하향적 집합행동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3

        최근 사회운동이 점점 더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한 저항행동이 됨에 따라, 그것의 특징을 다양성, 탈중심성, 정보성, 자율성과 같은 네트워크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네트워크 사회운동론’이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질적 행위자들 사이의 약하고도 느슨한 결합에 토대를 둔 네트워크 사회운동은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사회변동을 이끌어낼 만큼 충분히 강력한 자원이 될 수 없다는 비관적 전망도 적지 않다. 이 논문은 집합행동의 ‘중심적, 통일적, 하향적 작동’과 ‘탈중심적, 분산적, 상향적 양상’의 맥락에서 2008년 촛불시위의 성격을 분석하고 그것이 디지털 시대 사회운동론에 갖는 이론적 함의를 분석한다. 인터넷 포털 ‘다음’ 아고라 토론방, 동아일보/한겨레신문/경향신문 사설과 칼럼, ‘광우병쇠고기 국민대책회의’ 발표문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촛불시위가 보여준 탈중심적이고 분산적인 네트워크 운동 양상은 보수 대중매체의 ‘배후론’ 담론에 의해 증폭된 측면이 있다는 점, 시위 현장과 인터넷 토론방에서 빈발하였던 ‘프락치’와 ‘알바’ 논란은 네트워크 운동의 외부 공격과 내부 분쟁에 대한 취약성을 드러냈다는 점, 그리고 ‘폭력/비폭력’ 문제에 관한 ‘광우병쇠 고기국민대책회의’의 위로부터의 프레이밍은 집합행동의 정치적 실천적 상상력을 제약하는 측면이 있었다는 점을 밝힌다. 전문적이고도 강력한 위로부터의 작업이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네트워크 사회운동에도 여전히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하는 요소라는 것이 촛불시위가 디지털 시대 사회운동론에 갖는 함의다. New digital media have been playing more and more crucial role in recent social movements. Accordingly, many commentators introduce a theory of network social movements that emphasizes, rather than traditional principles of social movements such as unity, centrality, formality, strong leadership, network principles of multiplicity, decentrality, informationality, and self-governance. However, there also exists skepticism on the ability that loosely-knitted network social movements can mobilize strong movement resource enough to bring about structural and systemic social changes. By analysing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candle-lights movement of 2008 in the context of the dynamism of ‘decentralized, dispersed, and bottom-up process’ and ‘centralized, unified, and top-down process’, what is the implication of candle-lights movement to theory of social movements in digital age. In so doing, this paper conducte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data including postings of Internet portal site ‘Daum’, columns and editorials concerning the movement from Dong-A, Hankeyre, and Keynghyang, and statements and materials published by ‘anti-mad cow coal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the implication of candle-lights movements to today’s social movements theory that professional and influential top-down engagement is still crucial in voluntary and egalitarian network social movements based on loose and weak ties.

      • KCI우수등재

        알고리즘과 빅 데이터 : 코드와 흐름의 잉여가치

        이항우(Lee, Hang Woo)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5

        이 연구는 현대 자본주의 잉여가치 생산의 핵심 요소로 등장한 알고리즘과 빅 데이터의 경제적 성격을 살아 있는 노동의 차원에서 탐구한다. 각각 고정자본과 유동자본으로 분류되는 알고리즘과 빅 데이터는 대부분 기업의 지적재산으로 귀속된다. 그러나 부와 가치의 생산이 점점 더 사회-공장에 의존하는 오늘날의 일반 지성과 정동의 시대에 그것들은 자본의 독점적 소유물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고용 관계를 넘어선 살아 있는 노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코드의 잉여가치를 창출하는 알고리즘은 이미 대중 지성의 산물이며, 그것의 지배적 개발 방식인 오픈-소스 모델은 알고리즘이 자본의 배타적 생산물로 남기 어려운 중요한 근거가 된다. 흐름의 잉여가치를 낳는 빅 데이터는 네트워크 속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산물, 즉 정동이다. 그리고 이러한 빅 데이터의 정동 가치는 비-언어적이고 비-의식적 수준에서 개인(individuals)을 분할체(dividuals)로 전환하는 수많은 데이터 파생 상품들을 통해 상품화되고 화폐화된다. 알고리즘과 빅 데이터에 대한 자본의 독점적 재산권은 정동 인클로저를 가속하는 핵심 장치이지만, 코드와 흐름의 잉여가치는 더 이상 자본 투입과 이윤 산출 사이의 전통적인 선형적 관계를 따르지 않는다.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nature of algorithm and big data as newly emerging key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surplus value in contemporary capitalism. Usually defined as constant and variable capital respectively, they are subject to the ownership of the capital. However, today’s era of the general intellect and the affect where the creation of wealth and value increasingly depends upon the so-called ‘society-factory’, algorithm and big data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living labor rather than capital’s exclusive property. Algorithm’s surplus value of code is already a product of mass intellectuality and its dominant development model of open-source shows the impossibility of algorithm to remain in capital’s hands. Big data’s surplus value of flow is the a product of interaction and affect among numerous human/non-human agencies in digital networks. The affective value of big data is commodified and commercialized via various data derivatives transforming individuals into dividuals in non-linguistic and non-cognitive ways. Although capital’s monopoly of algorithm and big data is a crucial device for the maintenance of the enclosure of the affect, the surplus value of code and flow does not any longer follow the lineal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of capital.

      • KCI등재

        네트워크 사회의 집단지성과 권위

        이항우(Lee Hang-W oo)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4

        본 연구는 집단지성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위키피디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집단지성이 전통적인 전문가주의와 어떻게 충돌하며, 집단지성의 성립 조건은 무엇인지를 밝힌다. 위키피디어 집단지성은 전문가와 아마추어 대중이 백과사전 지식의 편찬 작업에 서로 협력할 수 있다는 원칙적 관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형태의 반전문가주의 문화를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위키-실력주의, 전문성의 협소함, 전문가 신드롬, 전문가의 편향성 등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위키피디어 집단지성은 개방성, 다양성, 개별성, 탈중심적 협력, 실시간 조정 등과 같은 네트워크 사회 권위 형성의 새로운 조건을 발전시키고 있다. 네트워크 사회에서 권위는 더 이상 소수의 전문가와 엘리트가 독점하고 중앙 집중적인 방식으로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탈중심 네트워크 속에서 다중의 자유로운 상호작용과 수평적 협력의 원리를 이해하고 관철시키는 것 속에서 비로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Wikipedia,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it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paper examines how collective intelligence is in conflicts with conventional expertism and what constitutes the conditions of collective intelligence. Wikipedian collective intelligence reveals various forms of anti-expertism related with wiki-meritocracy, narrowness of expertise, expert syndrome, and neutrality of experts. Wikipedian collective intelligence also develops new conditions for social authority in network society including openness, diversity, singularity, decentralized collaboration, and real-time coordination. Social authority in a network society can no longer be monopolized by elites and experts and exercised in a centralized way. It could only be formed in realizing the principles of free interaction and horizontal cooperation between multitude in decentralized networks.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사회운동의 개인화, 그리고 집합 정체성 구성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5

        이 연구는 최근 월가점령 운동(occupy wall street)에서 나타난 네트워크 사회운동의 특징을 분석한다. 지난 십 수 년간 지구적 저항운동의 문법이 된 ‘비위계성’, ‘개별성’, ‘다양성’ 등과 같은 원리들이 어피너티 그룹들(affinity groups)의 점령운동에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 탐구한다. 또한 점령운동에서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전통적인 대중매체와 어떤 관계를 보였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개인화된 집합행동으로서의 월가점령 운동에서 참여자들의 집합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11년 9월 23일부터 11월 27일까지 페이스북 그룹 ‘함께 점령(occupy together)’에 올라온 총 377개의 게시글과 그에 대한 댓글을 분석하였다. 월가점령 운동에서 ‘함께 점령’ 페이스북 그룹은 ‘네트워크 사회운동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개별 지도부의 부재 속에서도 운동 지도력은 필요하다는 역설은 네트워크 사회운동 이론이 해결해야만 하는 주요 딜레마라 할 수 있다. 또한, ‘함께 점령’ 페이스북 그룹은 ‘대중매체를 우회하고 포위하는 담론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소통의 두 번째 단계로서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대중매체에서 대중으로’ 와 ‘대중에서 대중매체로’라는 순환 과정에서 탈각된 독립적 여론 형성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함께 점령’ 페이스북 그룹은 ‘상향적 집합 정체성 형성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네트워크 사회운동 이론은 사회운동의 개인화를 강조하고 집합 정체성의 유효성을 의문시하지만, 집합 정체성의 새로운 동학인 상향적 집합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념을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network social movement expressed in ‘Occupy Wallstreet’ demonstrations. Specially, it deals with how some elements of the grammars of global protest have bee shown in the occupy movements of affinity groups. This paper also explores how social media have been adopted in the movements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conventional mass media has been unfolded. In addition, it inquires into how the collective identity has been constructed in the highly personalized collective actions of occupy movement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focusing on a total of 337 postings and their replies posted on ‘Occupy Together’, a Facebook group, from September 23 to November 27, 2011. The group has carried out the role of ‘the hub of occupy movements’. Yet, for network social movement theory, it remains as a dilemma to be solved that the leadership of movements is still crucial in the leaderless movement. In addition, The Facebook group has shown that it would be able to bypass and sieg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It can serve as independent social space which involves neither in the flow form mass media to mass nor in the flow from mass to mass media. Lastly, the Facebook group became discursive space where the bottom-up construction of the collective identity was made. Although the theory of network social movements tends to disregard the significance of collective identity, it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new dynamics of a bottom-up 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