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페닐 링커에 시아노기 도입을 통한 고효율 열 활성 지연형광 발광체 개발

        이하림,이준엽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본 연구에서는 3종의 열 활성 지연 형광 발광체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주 억셉터 및 도너로서, 다이페닐트리아진과 벤조퓨로카바졸을 사용하였다. 3개의 발광체 사이의 차이는 주 억셉터와 도너 사이에 존재하는 페닐 링커에서 시아노기의 존재 유무 및 치환된 시아노기의 수이다. 이 연구에서 3개의 열 활성 지연 형광 발광체에서 나타나는 광물리학적 특성과 디바이스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아노기가 치환되어있지 않는 발광체는 19.0%의 외부 양자 효율을 보였고 y 색좌표 0.10 미만의 짙은 청색 발광을 나타냈다. 하나의 시아노기를 갖는 발광체는 26.6%의 외부 양자 효율을 보여 주었고, 이는 3개의 발광체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별 뉴스 이용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뉴스 주제 다양성 및 뉴스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와 상대적 경성뉴스 이용 비중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하림,리우위항,임한,왕이,김용환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examines the indirect effects of news use on different digital media platforms in influencing civic engagement via news topic diversity and news engagement.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how this indirect effect differs according to the relative hard news use by different digital media platform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 Press Foundation’s <Media Users in Korea 2021> survey data (N = 4,995).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news use on messenger, SNSs, and online video platforms directly promoted civic engagement, while the direct effect of portal news use on civic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Second, news use on messenger, SNSs, and online video platforms indirectly promoted civic engagement via news topic diversity and news engagement. Nevertheless, for portal news platforms, the serial media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only the indirect path of portal news use influencing civic engagement via news engagement was significant. Third, we found a negativ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lative hard news use in messenger platforms. That is, as the relative use of soft news increases, the stronger the indirect effect of messenger news use on civic engagement via news topic diversity and news engagement. Research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findings. 본 연구는 뉴스 이용이 뉴스 주제 다양성과 뉴스 인게이지먼트를 거쳐 사회참여로 이어지는 간접효과를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간접효과가 상대적 경성뉴스 이용 비중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별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1 언론수용자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신저,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뉴스 이용은 모두 직접적으로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털뉴스 이용이 사회참여로 이어지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메신저,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은 주제 다양성과 뉴스 인게이지먼트를 거쳐 사회참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포털뉴스에서는 주제 다양성과 뉴스 인게이지먼트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뉴스 이용이 뉴스 인게이지먼트를 거쳐 사회참여로 이어지는 영향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메신저 뉴스에서 상대적 경성뉴스 이용 비중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부(-)적으로 나타났다. 즉, 상대적으로 경성뉴스보다 연성뉴스를 많이 이용할수록 뉴스 이용이 뉴스 인게이지먼트를 거쳐 사회참여로 이어지는 간접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뉴스 이용과 사회참여의 관계에 있어 단순히 뉴스이용량에 집중하거나 전통미디어와의 비교 혹은 단일 플랫폼에 대한 분석에 국한된 기존 연구의 지평을 넓혀 뉴스 이용과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주제 다양성과 뉴스 인게이지먼트의 복합적인 역할을 확인하였고, 상대적 경성뉴스 이용 비중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플랫폼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유튜브 1인 창작자 콘텐츠의 내용적 유해성에 대한 분석 연구

        이하림,유홍식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1

        영상 콘텐츠 공급과 소비의 중심이 모바일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면서 MCN(Multi Channel Network)이라는 새로운 영상사업의 성장이 사회적 또는 산업적으로 크게 주목되고 있다. 이와 함께 MCN에 소속된 1인 창작자들이 생산하는 영상콘텐츠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과 우려도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주목하면서 국내 1인 창작자들이 생산해내는 영상 콘텐츠 내용의 유해 유형과 정도를 분석하였다. 3개 장르(게임, 엔터테인먼트, 오락)의 27개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방송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38.3개의 유해적 내용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욕설과 저속한 표현과 같은 문제적 언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게임 콘텐츠에서는 문제적 언어와 폭력적 내용, 토크 콘텐츠에서는 문제 언어와 선정적 내용, 엔터테인먼트 장르에서는 기타 유해 행위, 문제언어와 함께 선정적 내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자수나 영상 조회수가 높은 1인 창작자 콘텐츠에서 유해적인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시에 성인 인증 로그인 등의 장치는 없었으며, 15% 정도만이 시작 부분에 유해성 경고문을 제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1인 창작자 콘텐츠의 주 소비층 중 하나인 청소년들의 보호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1인 창작자들이 만들어내고 있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내용적 심의와 규제 방안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pecific attributes of MCN contents by analyzing the degree of hazardous factors. Considering the visual similarities between MCN and TV contents, the study method has been desig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harmful side effects of television cont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MCN industry is generating large amount of explicit contents: About 40 times per content. Especially, swearing and vulgar words were the most frequent problems, which adolescents should be strongly protected from. Also, different genr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Talk genre contents contained higher frequency of sexuality whereas game genre contents showed more violence.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harmful components, the higher number of one-person creator followers it has. Lastly, only 15% of the samples displayed warning signs regarding R-rating and there was no technical restrictions such as log-in system or adult verification process to protect adolescents from any adverse contents.

      • KCI등재

        Lance-Adams Syndrome

        이하림,이주강 대한재활의학회 2011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5 No.6

        Lance-Adams syndrome (LAS) is a rare complication of successfu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is often accompanied by action myoclonus. LAS is seen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 cardiorespiratory arrest, later regained consciousness, and then developed myoclonus days or weeks after the event. Less than 150 cases of LAS have been reported in the worldwide medical literature. Here, we present a 32-year-old man who suff ered from myoclonus after hypoxic brain damage due to hanging himself. This case was diagnosed as Lance-Adams syndrome according to a history of hypoxic brain damage, the clinical features, and the neuroimages such as brain SPECT. Making an early diagnosis and properly managing LAS is positively related to improving the patient’s functional outcome. If patients have posthypoxic myoclonus after successfu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e should consider the diagnosis of LAS and initiate a proper rehabilitation program.

      • KCI등재

        성인 장애자녀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이하림,안정신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인 장애자녀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자기돌봄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크기가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성인 장애자녀를 둔 부모 중 주 돌봄 제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7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SPSS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장애자녀 부모의 자기돌봄은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둘째, 성인 장애자녀 부모의 공식적 사회적 지지는 돌봄 스트레스와 자기돌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고, 돌봄 스트레스가 자기돌봄을 매개하여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식적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 장애자녀 부모의 비공식적 사회적 지지는 돌봄 스트레스, 자기돌봄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성인 장애자녀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지 않기 위해서 돌봄 스트레스를 낮추어야 하고, 돌봄 스트레스를 낮추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부모의 개인자원인 자기돌봄과 사회자원인 공식적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giver stress on life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elf-care. Additionally, it seeks to explore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mediated effect of self-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Method: The study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surveys targeting primary caregivers among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utilized a total of 372 respondents in the final datase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3.5 programs. Results: First, self-care among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ormal social support received by these parent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stress and self-care. In this moderated mediation model, caregiver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elf-care, and this moderated mediation by formal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formal social support among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ion or moderated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 stress, self-care,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reducing caregiver stress to maintain or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ituations where reducing caregiver stress is challenging,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parents’ personal resources such as self-care, and increasing their formal social support as essential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