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 탐구

        이철주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practical oriented character and of its elements. First, it is examined the various character concept familiar to us. These are generally defined the concept of character based on one's good nature, personality, character, etc and are included an element of character to the key competence required for a successful lif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can be defined as a minimum concept that everyone can agree on the concept of practical oriented character to character. The concept of practical oriented character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practice as possible, it can be formed harmonious personality of an individual and preferably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it is the ability of the minimum required to form the character of the individual and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 Although the practical oriented character ultimately can move toward the virtue, it is primarily aimed at cultivating basic ability for anyone necessary before that. Also, it is presented the elements of practical oriented character such as honesty, caring, responsibility, temperance, respect and courage. 본 논문은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과 그것의 요소들을 탐구한 것이다. 우선 우리에게 익숙한 다양한 인성 개념들을 검토해 보았다. 이것들은 대체로 사람의 성품, 성격(personality), 인격(character) 등을 토대로 인성 개념을 정의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삶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인성의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을 기반으로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을 인성에 대해 누구나 합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은 한 개인의 원만한 성격 형성과 타인과의 관계를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이것은 개인의 인격을 형성하고 대인관계 능력을 길러주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능력이다. 이러한 실천지향의 인성이 궁극적으로 덕을 지향할 수 있겠지만, 그 이전에 인간이면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함양을 일차적인 목표로 삼는다. 또한 실천지향의 인성 요소로 정직, 배려, 책임, 절제, 존중, 용기를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raft of Measurement in Plato’s Protagoras

        이철주 한국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6 No.1

        This study explores the craft of measurement us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Socrates faced.First, it examineshow Socrates' craft of measurement was revealed in Plato's Protagoras.Then, in relation the power of appearance,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craft of measurement were explored in two aspects.One is exploring how the power of appearance worked in terms of proximity, which was the same as it differ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how the craft of measurement disables the power of appearance. The oth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appearance and craft of measurement in terms of desire and passion based on how the power of appearance generally relates to the psychological function of people’s desires and passions of the people.This process shows howthe craft of measurement plays a decisive role in recognizing, inferring, and judging moral problems.It also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desires and to their control and strengthening

      • KCI등재

        풍화암에서 실시된 터널굴착으로 인한 단독말뚝 및 군말뚝의 거동

        이철주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탄소성 유한차분해석을 통해 기존재하는 단독말뚝, 3x3 및 5x5 군말뚝의 바로 아래 풍화암 지반에서 실시된 터널시공으로 인한 말뚝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터널굴착으로 인한 말뚝의 거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반/말뚝의 침하 및 전단응력전이(shear stress transfer) 메커니즘을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터널굴착으로 유발된 지반의 침하와 말뚝-지반 사이 경계면에서의 상대변위 발생으로 인해 말뚝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및 축력의 분포가 매우 크게 변화하였다. 계산된 결과에 의하면 터널굴착으로 인해 말뚝의 두부로부터 말뚝길이의 약 80%에 해당되는 위치까지는 상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하였고, 그 하부에서는 하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말뚝의 축력이 터널의 굴착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순수한 터널의 시공으로 인하여 말뚝에는 인장력이 발생하였는데 이로 인해 말뚝에는 최대 0.36Pa의 인장력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Pa는 터널굴착이전에 말뚝두부에 작용하는 설계하중이다. 말뚝의 거동은 경계면에서의 전단강도 발현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말뚝의 경우 일반적으로 말뚝의 숫자가 증가할수록 터널의 시공에 의해 말뚝의 침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는 반대로 말뚝의 축력변화는 군효과(shielding effect)로 인해 단독말뚝의 경우에 비해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터널굴착으로 인한 말뚝침하의 증가로 인한 겉보기지지력(apparent pile capacity)감소는 단독말뚝에 비해 군말뚝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effects of tunnelling in weak weathered rock on the behaviour of a pre-existing single pile and pile group (3x3 and 5x5 pile groups) above a tunnel have been studied by carrying out three-dimensional (3D) elasto-plastic numerical analyses. Numerical modelling of such effects considers the response of the single pile and pile group in terms of tunnelling-induced ground and pile settlement as well as changes of the shear transfer mechanism at the pile-soil interface due to tunnelling. Due to changes in the relative shear displacement between the pile and the soil at the pile-soil interface with tunnel advancement, the sheat stresses and axial pile force distributions along the pile change drastically. Based on the computed results, upward shear stresses are induced up to about Z/L=0.775 from the pile top, while downward shear stresses are mobilised below Z/L=0.775,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axial pile force distribution with depth equivalent to a net increase in the tensile force on the pile. A maximum tensile force of about of about 0.36Pa developed on the single pile solely due to tunnelling, where Pa is the service axial pile loading prior to tunnelling. The degree of interface shear strength mobilisation at the pile-soil interface was found to be a key factor governing pile-soil-tunnelling interaction. Overall it has been foun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piles, the greater is the effect of tunnelling on the piles in terms of pile settlement, while changes of the axial pile forces for the piles in the groups are smaller than for a single pile due to the shielding effect. The reduction of apparent allowable pile capacity due to tunnelling-Induced pile head settlement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for piles inside the groups.

      • KCI등재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핵심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의 위상과 지향점 탐구

        이철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8

        In the 2015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is defined as a core subject of character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the basis for this. Therefore, it is examin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aracter education. And it is examined thoroughly the discussion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grounds for asserting that moral subjects are core subject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basic character’ and ‘practicality’. First, the basic character corresponds to four core values of moral subjects: sincerity, consideration, justice, and responsibility.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s defined in “Promotion Law of Character Education”(PLCE). Meanwhile, character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subject integration and value integration.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practice in life. By ensuring practicalit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field of integration. Specifically, it should start from the life world of the student and meet with the student's experience. And it can help to convince students that their efforts and practice can lead to positive outcomes.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도덕과는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로 규정되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이에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전반적인 특징과 도덕과 교육과정 속에서 드러난 인성과 인성교육에 관한 논의를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덕과가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임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기본인성’과 ‘실천성’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먼저, 기본인성은 도덕과의 네 가지 핵심가치인 성실・배려・정의・책임에 해당된다. 이것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한편, 인성교육은 교과통합적이고 가치통합적인 특성을 보이며 생활에서의 실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실천성을 확보함으로써 통합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생활세계에서 출발하고, 학생의 경험과 만남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의 노력과 실천이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 KCI등재

        산업기술 분야 국가연구개발 과제의 고용성과 영향요인 분석과 예측: 과제의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이철주,마형렬 한국기술혁신학회 2022 기술혁신학회지 Vol.25 No.1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국가연구개발의 경우도 고 용 창출 효과의 제고가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본 연구는 산업기술 분야 국가연구개발 과제의 기술적 특성, 주관 기관의 규모, 협력 유형 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토빗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활용하여 고용 발생 여부를 예측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출연금 지원액이 클수록,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이 주관기관인 경우, 서비스 연 구개발 과제인 경우 고용 창출 효과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반대로 공정혁신을 위한 과제인 경우와 지원 기간이 길 어질수록 고용 창출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IT분야 과제 여부 또는 원천기술 연구개발 과 제 여부는 고용 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국가연구개발 과제의 다양한 기술적 특징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고용 창출 효과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국가연구개발 사업 또는 과제를 기획, 평가 및 관리 하는 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Mak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better: the possibility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change

        이철주,김서용 한국행정학회 2014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9 No.2

        Our research focused on whether and how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changes. Even if it is a natural phenomenon for civil servants to experience PSM change after they enter the public sector, there are few studies of it. In this study, first, we examinewhether or not PSM can be changed. Second, we study how thre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namely role model/identification, personal experience/action and work contents, influence PSM change. Third, we compare the causal determinants between PSM changes and P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