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해외원조 NGO의 협력네트워크와 조직성과: 자원 확보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이창길,김정숙 한국행정학회 2014 韓國行政學報 Vol.48 No.1

        본 연구는 해외원조 비정부조직(NGO)을 대상으로 자원확보의 다양성을 결정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자원확보의 다양성은 불확실성이 높은 조직환경 하에서 NGO가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중요한 요건이다. 자원확보는 다른 조직들과의 ‘정보교환’이나 ‘신뢰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가정하에 정부기관과 다른 NGO를 구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총 80개의 해외원조 NGO와 48개의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다 많은 NGO로부터의 자원확보를 위해서는 다른 NGO들과 정보교환이나 신뢰관계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다 많은 정부기관으로부터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른 NGO들이나 정부기관들과의 신뢰구축보다 정보교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자원확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NGO들과는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동시에 보다 많은 정부기관들과는 정보교환이 중요하다는 점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원조 NGO들의 자원확보 전략 수립은 물론 정부의 해외원조 자원배분에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 민간부문 성과관리기법의 공공부문 도입에 있어 변화와 적용에 관한 연구

        이창길 한국국정관리학회 2006 한국국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1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민간부문의 성과관리기법의 변화와 문제점을 제시하고, 적합한 성과관리기법의 적용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기법으로 도입되고 있는 BSC 시스템을 중심으로 도입에 따른 이슈들과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부문의 성과관리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효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근본적인 취지는 정책 및 사업 추진의 내부의 효율성과 대국민 정책 수혜도와 관계있는 효과성 증진을 도모하는데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성과관리기법의 적용의 경우, 민간부문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략과 목표, 지표 등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를 각 평가에 대응하여 통합적ㆍ연계적 운용하며 공공부문에 성과관리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것이며, 궁극적으로 전략적인 성과관리를 위해 투입되는 정부 인력과 예산의 낭비를 최소화함으로써 행정의 비용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시의 위기관리 변화와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도시특성 변화가 도시재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창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도시지역에서 도시정부가 재난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와, 우리가 생각하는 도시의 일반적인 변화 요인이 실제로 도시의 재난관리 및 재난의 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목적은 도시정부의 위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미래의 전략방향 제시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은 7개 광역자치단체 69개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은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도시정부에서 추진하여야 할 위기관리전략의 방향은 첫째, 인구규모가 큰 도시는 시민의 건강위험관리를 위한 전략 구축, 둘째, 도시의 주거 밀집지역, 상공업지역 등 시가화 된 지역에는 자연재해 예방전략 수립, 셋째, 도시의 교통문제는 건강과 환경 등과 연계한 통합적인 관리체계 구축, 넷째, 고령화된 도시지역에서는 노인대상 생활안전관리와 노인경제인구의 위기관리 인력으로의 활용 정책 등을 상위 우선순위전략에 포함, 다섯째, 저소득층 등 경제적 취약계층의 비중이 높은 도시지역에서는 자연재난 피해감소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여섯째, 도시지역에서는 재난관리의 피해 및 규모가 가중적으로 증가되므로, 인력의 배치에 있어서 지역적인 안배가 아닌 차별적인 조정전략 실행, 일곱째, 도시정부의 예산투입은 1차적 자연재해 피해예방에서 시작하여 타 부분의 기반으로서의 역할 강화, 여덟째, 도시의 삶과 위기관리가 맥락을 같이 하여 발전하는 문화적 변화전략 수립, 마지막으로, 도시 위기관리 관련 교육은 시민 및 수요자 중심적 사고로 접근 등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성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평가의 개선방안

        이창길 대한지방자치학회 200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평가의 실효성 확보와 나아가 통합된 성과관리체계에서 평가의 역할제고를 위하여 현 시점에서 무엇을 우선적으로 논의하고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였다. 첫째, 지방자치단체 평가는 지방자치단체의 통일되고 표준화된 자체평가 중심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둘째, 평가를 위한 투입 인력, 예산 등의 근거를 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제도화 시켜야 한다. 셋째, 평가주기의 확장을 고려하여 단기간 평가가 아닌 항시적인 평가관리체계를 정착시켜야 한다. 넷째, 산출중심의 계량지표의 확대만이 아닌 정성적 결과를 반영한 정확한 기준을 가진 지표를 개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정성적 평가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평가의 평가결과 공개수준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개선노력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공개수준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결과 공개의 구체성을 높여 자발적인 자기 규제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확산함과 동시에 환류에 드는 비용, 피평가자의 수용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성과관리체계에 관한 연구가 극히 미비하다는 측면에서 선행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oblems of local government evaluation system, and than attempts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changing from separated evaluation systems to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Results are as follow. First, local government evaluation systems have to get a standard self-evaluation system introduced the direction and principals of 'The Basic Government Evaluation Act'. It is supported by the information system like BSC system. But information system also has to have the standard common structure and must have the strategic planning structure. Second, local government must establish the laws or acts relating evaluation resources. Third, the cycle of the evaluation process needs to expand and to manage the performance information all of the year round. Forth, Indicators should be qualitative, quantitative, consistent, realistic and achievable. Al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otential for severe adverse effects on the physical, social, economic or environmental well being of the local government. Fifth, performance information or result of evaluation should more concretely open. It leads the effort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administration. Lastly, Opening of the result can proliferate the culture of self-regulation and reduce the expenditure of feedback and make more higher level of accepting behavior in local government.

      • KCI등재

        도시의 문화정체성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이창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들의 성장전략에서 문화를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도시에서 나타나는 문화위기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시의 문화정체성 위기는 문화에 대한 명확한 가치인식과 활용방식에 대한 부족으로 인하여 도시발전과 도시민의 삶에 위해적인 상황을 초래하는 현상을 총체적으로 의미한다. 연구결과 실제적으로 대도시와 중ㆍ소도시에서 문화적 요인들이 도시성장 요인들과 연계성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도시정부의 가시적 성과에 집착한 문화사업 추진, 규모의 성장만을 추구하는 문화전략 및 시설건립, 선거공약 이행을 위한 무리한 사업추진, 시민의 참여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도시민이 공유하고 확산하는 문화계승과 도시성장과 관련된 가치들의 균형적 추구, 둘째,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성 있는 문화정책 추진, 셋째, 도시의 역사적ㆍ시간적 스토리가 담긴 상징개발, 마지막으로 도시의 공간구조와 조화되고 융화된 문화적 상징과 문화시설 등의 배치 및 도시설계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question, “Why city government uses the cultural factors as a means of abstract and ambiguous city's growth strategy.” Objectives of this study prove the situational awareness regarding cultural crisis, and suggest cultural crisis overcoming alternatives. The city's cultural crisis is the threatening phenomenon affecting civil life by the misconceptions, incorrect use of culture. City governments promote the cultural projects obsessed tangible results, and seek only the growth scale cultural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cultural values must be pursued balanced succession, sharing and spreading by the citizens. Second, cultural policies have to be promoted reflecting long-term perspective. Third, the city's symbols should be reflected the historical and temporal stories of the city and citizen's life. Finally, cultural facilities must be harmonized with urban spatial structur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경험적 조직학습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창길,임상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9

        본 연구는 현재 반복되고 있는 재난은 이론과 실제적인 측면의 경험적 학습이 관리정책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정부의 재난관련 지식정보와 경험이 실제로 위기해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과거 10여년의 주요 학술연구를 종합·분석하고, 대표적 재난의 증감률을 중심으로 경험의 영향을 유추하여 탐색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경험적 조직학습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모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지식을 쌓고 적용하는 이론적 경험과 재난피해의 증감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 실제적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식축적, 실제적 체험에 의한 경험적 조직학습 모두 인상적인 영향을 주거나 인과성을 찾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재난피해 노력이 나타나지 않고, 반복적 문제점이 나타나는 바 조직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학습이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또한 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장중심의 재난관리체계 운영, 재난예산 활용과 예방적 연구활동 역량 강화, 통합운영시스템 구축과 현장관리 전문성 강화, 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관리계획 구축과 운영 등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또한, 시민과 함께하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역량강화에도 조직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address a concern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of the local governments from a series of disasters have not been reflected into their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for the past 10 years and explored a trend of the changes in typical types of disasters such as fire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The data analysis did not support the roles of accumulated knowledge or experiences as a determinant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an importance of operating the on-scene disaster management, facilitating research activities on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improving the on-scene professionalism, developing the disaster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 local contexts, and involving the public into local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and capacity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