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청소년에서 하악공 및 하악소설의 위치에 대한 CBCT 분석

        이지혜,최남기,김병기,김선미,Lee, Jihye,Choi, Namki,Kim, Byunggee,Kim, S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이용해 소아에서 연령에 따른 하악공과 하악소설의 위치 및 하악소설의 형태를 평가하고,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고려할 수 있는 자입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 또는 매복치 평가를 위해 CBCT를 촬영한 만 6 - 16세의 영상을 수집하였다. 연령에 따라 만 6 - 7세, 10 - 11세, 15 - 16세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군당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여 총 180명의 하악지 좌우가 분석되었다. 좌우 측의 하악소설로부터 하악지의 전연, 후연, 상연, 하연까지의 최단거리를 계측하고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최단거리,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수직거리를 각각 측정하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를 기준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하악지의 전후방 및 수직적 기준점으로부터 하악소설의 위치는 연령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거리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 및 하악공의 거리는 연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는 삼각형 형태가 가장 많았고 결절형, 절두형, 동화형 순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수평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하악지의 전연으로부터 연령에 따라 각각 17 mm, 18 mm, 19 mm로 증가된 지점이 권장되며, 수직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연령에 따라 교합평면 상방 2 - 3 mm, 5 - 6 mm, 9 - 10 mm로 자입점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loc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dibular lingul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ndibular CBCT images of children aged 6 - 16 years were collected. A total of 180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6 - 7, 10 - 11 and 15 - 16 years, with 30 male and female patients per group. Either side of the ramus was analyzed. The shortest distances from the anterior, posterior, superior and inferior border of the ramus to the mandibular lingula were measure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was also measured.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was measured. The shapes of the mandibular lingula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distances of the mandibular lingula from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reference points of the ramus increased in all directions with age. The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also increased with ag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lingula and the mandibular foramen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moved upwards with age. The most common shape of the mandibular lingula was triangular, followed by nodular, truncated and assimilat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hape according to age. It is recommended that the horizontal insertion point of the anesthesia from the anterior border of the ramus increased to 17 mm, 18 mm, and 19 mm according to the age group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vertical insertion point increased by 2 - 3 mm, 5 - 6 mm and 9 - 10 mm above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the age groups.

      • KCI등재

        MODIS 전천후 기상자료 기반의 생물리학적 벼 수량 모형 개발

        이지혜,서범석,강신규,Lee, Jihye,Seo, Bumsuk,Kang, Sinkyu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벼 등 식량작물 작황 추정의 경제, 산업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생물리 모형과 원격탐사 기반의 위성자료를 활용한 작황 추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성 기반의 전천후 기상 입력자료(i.e. 기온, 대기 수증기압 포차, 일사량)와 빛 이용효율 모형을 이용한 생물리적 작물 성장 알고리즘을 벼에 적용하여 벼의 수확량을 수확 시기 보다 이르게(9월 중순 경)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03년부터 2014년까지 12년간 경상권을 제외한 국내의 군 단위 행정구역별 벼 수확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현미 생산량 통계와 비교, 평가하였다. 벼 건중량, 수확지수 그리고 수확량 추정 결과는 각각 지도로 작성하여 공간적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전국 평균 추정 건중량은 평균오차(ME)가 0.56%, 평균절대오차(MAE)가 5.73%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도별 군 단위 건중량은 ME가 0.10%에서 2.00%, MAE가 2.10에서 11.62%의 범위를 보였다. 추정된 건중량은 강원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과대 모의하고, 충청 이남의 도심과 서해 인근지역에서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중량과 유관한 통계청 자료(i.e. 볏짚 생산량)와는 상반된 변동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입력자료의 해상도(1 km)로 인한 픽셀 내 토지피복 이질성으로 인한 오차로 사료된다. 또한 생육기간 이후 수확시기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을 향후 연구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importance of rice as a global staple food, sever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rice yield estimation by combining remote sensing data with carbon cycle modell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imate rice yield in Korea using such an integrative model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in combination with a biophysical crop growth model. Specifically, daily meteorological inputs derived from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radar satellite products were used to run a light use efficiency based crop growth model, which is based on the 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algorithm. The modelled biomass was converted to rice yield using a harvest index model. We estimated rice yield from 2003 to 2014 at the county level and evaluated the modelled yield using the official rice yield and rice straw biomass statistics of Statistics Korea (KOSTAT). The estimated rice biomass, yield, and harvest index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s were investigated. Annual mean rice yield at the national level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yield statistics with the yield statistics, a mean error (ME) of +0.56% and a mean absolute error (MAE) of 5.73%. The estimated county level yield resulted in small ME (+0.10~+2.00%) and MAE (2.10~11.62%),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unty-level yield statistics, the rice yield was over estimated in the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and under estimated in the urban and coastal counties in the south of Chungcheong province. Compared to the rice straw statistics, the estimated rice biomass showed similar error patterns with the yield estimates. The subpixel heterogeneity of the 1 km MODIS FPAR(Fraction of absor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may have attributed to these errors. In addition, the growth and harvest index models can be further developed to take account of annually varying growth conditions and growth timings.

      • KCI등재

        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협업능력에 미치는효과

        이지혜,한미라,Lee, Jihye,Han, Mira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oper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Similar experimental study of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online class. A total of 47 nursing students who were junior grade from one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aired t test using the SPSS/Window 21.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mprovement after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was significa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3.832, p<.001), academic self-efficacy(t=4.258, p<.001), and cooperation ability(t=3.853, p<.001). These findings imply the value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to enhan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same group including control group and blended learning method using action learning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 KCI등재

        V2V 환경에서 적응적 채널 추정 기법에 대한 성능 분석

        이지혜(Jihye Lee),문상미(Sangmi Moon),권순호(Soonho Kwon),추명훈(Myeonghun Chu),배사라(Sara Bae),김한종(Hanjong Kim),김철성(Cheolsung Kim),김대진(Daejin Kim),황인태(Intae Hwang)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8

        차량통신은 도로 위 차량들 간의 효율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미래 차량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차량 안전, 인포테인먼트 그리고 자율 주행까지도 다룰 수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 차량 통신에 대한 표준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량 통신은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낮은 지연과 높은 신뢰성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차량의 빠른 이동성으로 인해 V2V(Vehicle-to-Vehicle) 환경은 채널 왜곡이 매우 심하며, 높은 신뢰성의 차량 통신을 위해서 채널 추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LTE 기반 V2V 환경에서 채널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LTE 기반 업링크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은 파일럿 심볼인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이용한다. 기존 채널 추정 기법으로는 LS(Least Square), DDCE(Decision Directed Channel Estimation), STA(Spectral Temporal Averaging), 그리고 Smoothing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채널 추정 기법들과 달리 파일럿 심볼에서 QS(Quadratic Smoothing)를 이용해 보다도 정확한 채널을 추정하며, 데이터 심볼에서 적응적으로 채널을 추정하는 ASCE(Adaptive Smoothing Channel Estimation)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ASCE 기법이 NMSE(Normalized Mean Square Error)와 BER(Bit Error Rate)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성능이 향상 된 것을 볼 수 있다. Vehicle communication can facilitate efficient coordination among vehicles on the road and enable future vehicular applications such as vehicle safety enhancement, infotainment, or even autonomous driving.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any studies focus on long term evolution (LTE)-based vehicle communication. Because vehicle speed is high enough to cause severe channel distortion in vehicle-to-vehicle (V2V) environments. We can utilize channel estimation methods to approach a reliabl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Conventional channel estimation schemes can be categorized as least-squares (LS), decision-directed channel estimation (DDCE), spectral temporal averaging (STA), and smoothing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mart channel estimation scheme in LTE-based V2V environments. The channel estimation scheme, based on an LTE uplink system, uses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as the pilot symbol. Unlike conventional channel estimation schemes, we propose an adaptive smoothing channel estimation scheme (ASCE) using quadratic smoothing (QS) of the pilot symbols, which estimates a channel with greater accuracy and adaptively estimates channels in data symbols. In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ASCE scheme shows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in terms of the normalized mean square error (NMSE) and bit error rate (BER) relative to conventional schemes.

      • KCI등재

        고객 유형 맞춤 캠핑용 하우징 서비스디자인 개발 연구

        이지혜 ( Lee Jihye ),권기제 ( Kwon Kije ),조진희 ( Jo Jinhee ),박성흠 ( Park Sung-hum ),유동균 ( Yu Dong Kyun ),이가희 ( Lee Ga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한국디자인진흥원 R&D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캠핑 산업에 있어서 주로 캠핑카로 인식되는 캠핑용 하우징 제품에 대한 고객의 실제적 니즈와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서비스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캠퍼들은 캠핑준비 및 캠핑과정에 수반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캠핑카를 구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캠핑용하우징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주요니즈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인 내부 공간 구성에 대한 수요가 파악되었다. 고객들에게는 라이프스타일과 성향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제품을 필요로 한다. 둘째, 개성 표현을 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수요가 파악되었다. 다시 말해 고객들은 개인의 성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구매하길 바란다. 따라서 외관 디자인 및 내부 인테리어 소재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옵션 제공과 용도별 라인업 제품이 필요하다. 셋째, 구매과정 및 사후 관리에 있어서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진행한 사용자 설문조사 결과, A/S 과정이 번거롭고, 기술 개발에 치중되어 있는 중소기업은 많은 부분 고객응대서비스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다수 나타났다. 즉, 보다 고객 친화적인 서비스 제공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고객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될 수 있는 통합 서비스가 제공 되어야 제품 사용 시 중도 이탈 없이 지속적인 고객층 확보가용이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핵심 시나리오 5건과 서비스 플로우를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캠핑카 관련 서비스 개발, 혹은 고객 성향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제품개발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part of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s R&D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strategy of service design through the customer's practical needs and lifestyle for camping housing products, which are mainly recognized as camping cars in the recent rapidly growing camping industry. This studies have shown that most campers purchase camping cars to relieve the hassles accompanied by camping preparation processes. The main needs of consumers like this for such camping housing products and service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and for efficient internal space composition was identified. Customers need products that can freely organize the space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and inclination. Second, the demand for customization that can express individuality was identified. In other words, customers want to purchase products that suit their individual tendencies and lifesty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tions and line-up products for each purpose, so that exterior design and interior materials can be picked. Third, the hassles of the purchasing process and follow-up management must be resolved. As a result of the user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man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cused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s & cumbersome in their after-sales service process have been replied in the majority that many parts of them need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ervice. In other words, a more customer-friendly service provision strategy is need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tinuously secure a customer base without leaving in the middle of using the product only when the integrated services that can minimize customer hassle are provided. This study finally designed and proposed five key scenarios and service flow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is expected to be utilized usefully in the future when developing camping car-related services or developing products that take into account customer tendencies and lifestyles.

      • KCI등재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 되어보기 활동을 통한 전통 과학 지식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이지혜 ( Jihye Lee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우리 전통 과학의 고유한 의미를 유지하며 TSK를 과학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 모색의 방법으로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라는 과학 활동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이 이해한 TSK의 소재는 무엇인지, TSK의 이해에 영향을 준 학습 맥락은 무엇인지, 학생들이 구성한 TSK 가치관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7명의 중학교 1학년 남·여 학생들은 7개월 동안 창덕궁의 전통 과학 소재를 발굴하고 전통 과학 문화 해설 대본을 만들어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해설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업 과정, 해설 대본, 활동지, 조사지, 활동 후 개별 면담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TSK의 소재를 전통 자연관, 전통 과학 기술, 과학을 이용한 삶, 자연 과학 소재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이해했다. 학생들의 전통 과학학습 경험에서의 주요 학습 맥락은 소통으로 현장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소통, 활동 과정에서 동료 혹은 어른들과의 의사소통, 해설사역할로써 동생들과의 소통 등은 학생들의 TSK에 대한 경험적 이해와 맥락적이고 감각적인 과학 지식 형성, 과학의 다양한 형태와 표현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과학의 설득적, 이해적, 전달적 설명 방법에 대한 경험 등에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TSK의 과학성, 인간적이고 소박한 특징,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문화로서 TSK를 지키고 유지할 필요성 등의 가치관을 형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TSK가 과학 교육에서 통합적이고 실제 맥락적인 교육 현장을 제공하고 과학과 과학 방법에 대한 문화적 다양성과 동양 과학적 사고의 특성이해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전통 문화에 대한 TSK와 학교 과학의 동시적 접근은 우리 전통 문화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형성과 주체적 태도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alit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scientific knowledge (TSK), the educational contexts influenced their understanding of TSK, and their sense of value of TSK, through the science activity `Being a commentator on Korean traditional scientific culture` as a way of finding direction to apply TSK to science education while maintaining the inherent meaning of our traditional science. Seventh grade students have discovered TSK contents in Changdeok Palace, prepared their own scripts for seven months, and finally, explained to fifth to sixth grade students. The video recordings of all lessons, scripts of explanation, reports of field activitie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all analyzed. Students understood TSK in four viewpoints: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the tradi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the traditional life using science, and the natural science contents. During their activities, communication with peers or elders both in classroom and in Changdeok Palace, the interaction with place,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commentator helped students understand the scientific aspects of TSK, form contextual and sensible scientific knowledge, and apprehend various scientific explanations of contents. Depending on their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s, the students` experiences produced three types of interpretation: delivery, persuasion, and understanding. Students formed their TSK sense of value as scientific characteristics, the need of new perspective about science, the need to protect and maintain TSK as our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SK can provide integrated and actual contextual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versity of scientific and scientific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scientific thinking. In addition, the simultaneous approach of TSK and school science to traditional culture can contribute to ideal concept formation and subjective attitude toward our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예비교사의 도덕성 구조 모형 검증

        이지혜(Jihye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이론을 주장한 Blasi(1980)와 Rest(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성 구조 모형을 세워 예비교사에게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고, 구체적인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03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3개의 가설모형 중 도덕적 민감성이 도덕 판단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으며, 도덕 판단을 제외한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이 도덕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인 가설모형 3이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로 적합도 지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최종모형의 각 경로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의 도덕적 자아,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도덕적 자아의 영향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도덕적 자아가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성격을 통해서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덕적 판단과 민감성, 동기, 성격 등의 통합된 도덕성을 기르더라도 도덕성이 진정한 인간의 일부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자아와의 통합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by establishing a morality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Integrative Framework theory by Blasi and Rest on morality, and to discover its influencing power in detail.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3 pre-service teachers at a university in Chungbuk, and the study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three hypotheses models se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preliminary studie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ce on each other, and hypothesis model 3, which was that apart from moral judgment, the other three factors o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ral behavior, had a suitability index of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 hence i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ly,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on each of the pathways of the final model, it was shown that the moral sel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all had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and amongst these the moral self had the biggest influencing power. Also, as a result of runn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indirect impact on moral behavior,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ignificant pathways, the one which involved the moral self reaching moral behavior through moral sensitivity and moral personality had the biggest indirect influencing power.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the standards of moral behavior in pre-servic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make evaluations from diverse aspects and approach this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without stressing single variables.

      • KCI등재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 Lee Jihye ),장영숙 ( Jang Young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 201명과 그들의 부모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모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부모의 훈육행동에 대해 솔직하게 응답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유아의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에 대해 신뢰롭게 평정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귀납과 규범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율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아버지의 권력단언과 애정철회 훈육방식은 자율성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머니의 규범지향적 귀납,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귀납, 아버지의 자기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애정철회와 아버지의 권력단언 훈육 방식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는 타인지향적 귀납과 규범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아버지는 권력단언과 애정철회 훈육방식을 지양해야 하며,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는 규범지향적 귀납과 타인지향적 귀납을 많이 사용하고 애정철회 훈육 방식을 지양해야 하며 아버지는 자기지향적 귀납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권력단언의 훈육방식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s` discipline style on their child`s autonomy and ego-resilien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1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H private pre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their parents. Parents responded for the questionnaires of parents` discipline style, their child`s autonomy and ego-resiliency. Parents were asked to answer honestly for their disciplines style and to rate reliably for their child`s autonomy and ego-resilien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3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ther-oriented induction and norm-oriented ind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s autonomy, while the fathers` power assertion and love withdrawal discipline style affected negatively their child`s autonomy. Second, the mothers` norm-oriented induction and other-oriented induction, the fathers` self-oriented ind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s ego resiliency. The fathers` power assertion and the mothers` love withdrawal, however, affected negatively their child`s ego resiliency. These results imply that mothers` use of other-oriented induction and norm-oriented induction discipline style can improve their child`s autonomy and fathers` use of power assertion and love withdrawal discipline style can lower their child`s autonomy, and that mothers` use of other-oriented induction and norm-oriented induction discipline style and fathers` use of self-oriented induction can improve their child`s ego-resiliency and fathers` use of power assertion and mothers` love withdrawal can lower their child`s ego-resiliency.

      • KCI등재

        식용 식물추출물의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이지혜 ( Jihye Lee ),김연아 ( Yeona Kim ),김동청 ( Dong Chung Kim ),채희정 ( Hee Jeong Chae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1

        식용 식물 35종의 생리활성 부위를 대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의 구강 세균(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Staphylococcus epidermidis,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35종의 식물추출물 중 항균 스펙트럼이 가장 넓고 최소저해농도가 낮은 히비스커스 꽃 추출물을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소재로 최종 선발하였다.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산성 조건에서 안정하였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30.5 및 25.7 mg/g으로 나타났고, 유리라디칼 소거활성과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Thirty-five edible plants were tested against oral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Staphylococcus epidermidis, Klebsiella pneumonia). The edible plants were extracted using 70% ethanol as a solvent. Among the thirty-five edible plants, hibiscus (Hibiscus sabdariffa) extract was selected as an effective antibacterial source because it showed the low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of hibiscus extract were very stable at acidic condition and at wide range of temperature 4-75℃.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hibiscus extract were 130.5 and 25.7 mg/g, respectively. Also hibiscus extract showed a high degree of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증강현실 콘텐츠의 맥락 기반 디자인 방법론 연구

        이지혜(Jihy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장소에 기반한 증강현실 서비스의 콘텐츠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의 맥락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디자인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모바일 서비스에 관련한 미디어 콘텐츠는 다이내믹한 환경과 사용자의 맥락을 고려하여 디자인이 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를 위한 맥락 기반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방법론 연구를 위해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사례들을 파악하고 여러 방법론의 통합적 접근방식을 이해하였다. 이 방법에 기반하여, 맥락 기반 디자인 방법론들을 조사하고 이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맥락 기반 디자인 방법론에는 두 가지 상반된 연구방법이 있으며, 두 연구사례들을 분석하고 장점을 통합함으로써 종합적인 맥락 기반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작에 있어 향후 디자인 방법론으로써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This research discusses user’s context based design methodology for location-based AR contents design. A media contents regarding mobile service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user’s context in dynamic environment.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uggest user’s context centered design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ere are two different research methods in conventional context-based design method. This research tries to totalize two methods. In this sen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previous researches which make a new design method. And then, context-based design methods are compared and the pros of them are integrated so as to create a new context-based design method. This new methodology aims to be an effective design method of creating AR conten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