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물형상화 방식을 통해본 <昌蘭好緣錄>의 통속성

        이지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4 한국문화 Vol.34 No.-

        Many novels that were written in the late Chosun have some vulgarity as a popular novel. This thesis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Changranhoyunrok> among them because this novel shows prominent vulgarity comparing others. In this novel, main characters were shaped not as model personages but as ordinary personages. They have some trouble as normal people do and get out of the dominant moral obsession of confucianism. Love between men and women is emphasized and even sexual intercourse is described in detail. Characters in this novel use vulgar and straight words to express their emotion. These are quite different from typical novels that have heroic characters, and these features show stronger vulgarity of this novel. The vulgarity weaken issues that is brought up through the trouble of characters although it can get reality that is impossible in ideological novels. It is clear when this novel is compared with <Okwonjaehagiyun(玉鴛再合奇緣)> that has the same motive but has different intention. The analysis above is a means to examine the vulgarity of long novels that were written and gotten popularity after late 17th century. Therefore it should be continuously searched to reveal the vulgarity of various novels.

      • KCI등재
      • KCI등재

        체계적 부모교육 훈련(STEP)과 긍정적 부모교육 프로그램(Triple-P)의 교육원리 및 프로그램 비교 연구

        이지하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부모・자녀간의 갈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부모-자녀 관계향상 프로그램 및 부모역할 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부모교육이론을 종합하여 처음으로 체계화한 STEP과 가장 최근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인 Triple-P의 교육원리와 목표 및 교육내용과 방법 등을 비교・분석하여, 그것이 현행 우리나라 부모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TEP은 좋은 의사소통의 기술과 민주적인 양육방식들을 훈련하는 데 효과적인데 비해 Triple-P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각 가족의 문제와 상황 및 욕구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교육적 효용성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도 Triple-P와 같이 지역별 특성, 가정의 사회 경제적 수준, 연령에 따른 다양한 대상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Triple-P는 아동을 지도・감독하는 책임을 가진 자로서 이에 합당한 권위를 전제로 하는데, 이는 한국의 전통적 가족가치관에서 보다 적합한 것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and parent role traini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mpares Triple-P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STEP that systematized existing parent education theory, It examines the implications for current Korean parent education. Research Results First, STEP is effective in training good communication skills and democratic nurture schemes, whereas Triple-P provides a tailored service based on each family’s problems, situations and needs by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Was foun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rograms such as Triple P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level of family, Third, the Triple P is responsible for guiding and supervising the child, presupposing appropriate authority, therefore this should be complemented by a follow-up study of whether it can be more appropriate in the traditional family values ​​of Korea.

      • KCI등재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

        이지하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8 No.-

        본고는 고전소설 자료 중 계모형 가정소설의 범주에 속하는 <김인향전>을 주 텍스트로 하여 그 인물형상화 방식과 작품의 지향성이 맺고 있는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김인향전>은 <장화홍련전>과 비슷한 소재를 다룬다는 점 때문에 그 아류작 정도로 치부되었으나 인물의 구성이나 문제의식 등에서 차별성을 드러내는 독자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인물의 형상화에 있어서 <장화홍련전>과는 여러 가지 차이를 드러낸다. 인물군을 확대하여 이야기의 합리적 전개를 도모하고 있고, 인물의 성격을 다각도로 살피고 입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설화적 인물 형상을 탈피하여 현실성을 획득하였다. 또한 인물의 행위를 구체적으로 개연성 있게 그려냄으로써 사실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소설의 흥미도를 높이고 있다. 인물형상화에서 이루어낸 이와 같은 성취는 19세기 이후의 현실을 반영하면서 기법적인 측면에서의 발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인물형상화를 통해 보여준 합리적 지향과 현실성의 추구와는 상반되어 보이는 비합리적 요소들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한 현실성을 드러내던 전반부에 비해 문제의 해결 과정을 다루는 후반부에 이르면 현실성을 결여한 이상적 인물과 환상적 내용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는 현실에서 제기된 문제를 기존의 지배 윤리에 입각하여 관념적 차원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의식적 지향에 말미암은 것이라고 파악된다. 요컨대 <김인향전>은 개연성 있는 소설형상화를 지향함으로써 인물형상화에서의 사실성과 구체성을 도모하고 있으면서도 의식적 측면에서의 보수적 지향으로 인해 비현실적이고 비합리적인 요소들을 끌어들임으로써 이중적 모습을 보인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and the inclination of theme in <Kiminhyanggeon(김인향전)> which belongs to stepmother type family novels. Comparing with <Janghwahongryungeon(장화홍련전)>, this novel has many differences as follows, especially o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First, characters are increased. This contributes to make the story seem to be more reasonable. Second, character sketch is more stereoscopic and complicated. It means characters in this novel get out of fable style and get reality. Third, this novel described detailed acts of characters. Because of this, it can acquire probability. However this novel has many irrational factors run counter to rationality of the Figuration of Character. This discordance resulted from conservative inclination that tried to solve the pratical problems with ideology of Confucianism. To sum up, <Kiminhyanggeon(김인향전)> has a duality of accepting new and advanced techniques in the figuration of character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conservatism in the side of theme.

      • KCI등재

        Understanding of RF Impedance Matching System Using VI-Probe

        이지하,박현근,이정수,홍상진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20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9 No.3

        The demand for stable plasma has been on the rise because of the increased delivery power amount in the chamber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fast and accurate plasma impedance matching become a crucial performance measure for radio frequency (RF) power system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n this paper, the overall impedance matching was understood, and voltage and current values were extracted with voltage - current (VI) probe to measure plasma impedance in real-time. Actual matching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calibration coefficient for V and I measurem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I probe, and we demonstrated the tendency of RF impedance matching according to changes in load impedance. This preliminary empirical research can contribute to fast RF matching as well as advanced equipment control for the next level of detailed investigation on embedded system based-RF matching controller.

      • KCI등재

        Q-보정을 이용한 디지털 픽킹 필터 설계

        이지하,이규하,박영철,안동순,윤대희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3

        본 논문에서는 표준 대역통과 필터와 무증폭 바이패스 이득의 조합을 이용한 구조에 근거하여 전문가용 디지털 오디오에 적합한 정교한 주파수응답을 갖고, 실시간 시스템에서 적은 계산량과 메모리로 구현이 용이한 2차 디지털 픽킹 필터의 설계방식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설계된 디지털 픽킹 필터는 이득요인에 따라 필터의 대역폭이 왜곡되는 단점을 Q-보정을 통해 제거하였으며, 컨포말 변환에 의한 설계보다 수학적으로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며, 적은 계산량 및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A new type of second-order digital peaking filters for professional-quality digital audio system is proposed whose frequency response can be elaborately controlled throughout the composite structure of a standard band-pass filter and a 0-dB bypass gain. The proposed method for designing the peaking filter uses the Q-compensation technique to prevent the Q-distortion caused by the variation of the gain factor and is reduced into a compact form which is proper to the real-time implementation. Methods are examined for computing its coefficients, which are exact and very straightforward to compute with small amount of the system resources.

      • KCI등재

        코로나시대 스마트헬스케어의 적용가능성과 과제: 정신건강 사회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이지하,이현진,홍승혜,박영,Lee, Jieha,Lee, Hyunjin,Hong, Seunghye,Park, You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논문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반한 스마트헬스케어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스마트헬스케어와 관련한 개념 및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국내외 스마트헬스케어 사례의 고찰을 통하여 코로나19 시대 정신건강 사회복지 영역에서 스마트헬스케어의 적용 전략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한국 정신건강사회복지 영역에서 기존에 시도되어왔던 국립정신건강센터와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의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둘째, 코로나19 환경의 독일, 중국, 미국, 호주의 실제 스마트헬스케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적용 사례를 고찰하여 공공 및 민간 차원의 다양한 대응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정신건강사회복지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과제를 검토하며 마무리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된 해외 사례들을 토대로 한국 사회에 실천·정책, 연구영역의 스마트헬스케어가 적극적으로 논의된다면 세계적인 수준의 정신건강사회복지 서비스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usability of smart healthcar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briefly introduces concepts and the current status related to smart healthcare, and discusses strategies and future tasks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welfare in the COVID-19 era.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smart healthcare programs of the National Mental Health Center and the 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Second, we introduce various smart healthcare programs used in Germany, China, the U.S., and Australia, review the actual examples, and examine both public and private responsiveness. Finally, we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smart healthcare in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 system in South Korea and examine future tasks and implications. This paper woul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world-class mental health social work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