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수복조재와 최종수복재에 따른 대구치 부분치수절단술의 비교

        이지미,이난영,이상호,지명관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ccess rates of two pulp capping materials, BiodentineTM and RetroMTA®, used for partial pulpotomy in permanent molars after carious exposures and to compare the final restorative outcome of using composite resin to that of using a stainless steel crown. We studie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dental caries of permanent molars and underwent partial pulpotomy.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each treatment.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outcomes of two groups. For pulp capping agents, the success rate of using RetroMTA® was lower than that of using BiodentineTM(p < 0.05). Final restoration with composite resin was less successful than restoration with an stainless steel crown(p < 0.05). In combination of pulp capping agents and final restoration material, RetroMTA®- composite resin shows the lowest success rate(p < 0.05). 이 연구의 목적은 우식에 의해 치수가 노출된 영구대구치에서 BiodentineTM(BD)과 RetroMTA®(RMTA)의 치수복조재 및 stainless steel crown(SSC)와 composite resin(CR)의 최종수복재를 적용하여 치료한 부분치수절단술 증례들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비교 평가를통해 각 치수복조재 및 최종수복재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영구대구치의 상아질의 우식으로 진단되어 부분치수절단술을 받은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과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증례를선정하여 임상적 평가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치료의 성공률을 평가하였으며 각 성공률에 대해 Fisher’s exact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치수복조재에 대한 평가에서 BD이 RMTA에 비해 더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치수복조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최종수복재를 평가하였을 때 SSC으로 수복했을 때 CR으로 수복한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치수복조재로 RMTA를 사용하고 최종수복재로 CR을 사용한 경우에 가장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p < 0.05).

      • KCI등재

        Comparison of the shear bond strengths and shrinkage stresses of various domestic composite resins

        이지미,박수영,이상호,지명관,이난영 조선대학교 치의학연구원 2019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43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rinkage stresses and shear bond strengths of various domestic composite resins by comparing them using Filtek Z-250TM (3M ESPE, USA). In this study, nine domestic composite resins from various manufacturers, Any-ComTM (Mediclus, Korea), Charmfil®Plus (Dentkist, Korea), DenfilTM (Vericom, Korea), ESCom 100® (Spident, Korea), Hanfil® (Han Dae Chemical, Korea), Nexcomp® (Meta® Biomed, Korea), Transcen® (Nexobio, Korea), Xsfil® (B&E Korea, Korea), and Zircos- Com® (Bioden, Korea), were set as experimental groups and Filtek Z-250TM was set as the control. Of the studied domestic resins, Filtek Z-250TM exhibited the lowest shrinkage stress (p<0.05). ESCom 100®, Charmfil® Plus, and Hanfil® showed shear bond strengths comparable with that of Filtek Z-250TM, whereas the other domestic composite resins exhibited lower shear bond strengths (p<0.05).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한 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이지미,김현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4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when individuals mak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daptation. Examin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which is an extension of family life and a foundation for future social adaptat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guidance of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ego-resiliency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We focused the differential effects by age and gender, which were not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77 students from elementary 6th grader and high school freshman in Seoul and Kyungki areas. The research purpose was to find the effects of gender, age,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ego-resiliency on the school adjustment. The age effect was significant but the gender effect was weak.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and high ego-resiliency level raise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dividual factor, which is ego-resilienc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mother-child communication, on the school adjustment. We suggested the differential guidance because this study showed that the ego- resiliency had differential effects depending on the sub-dimension of the school adjustment. 청소년기는 개인이 심리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새로운 적응을 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그 중에서 가정생활의 반영이자 이후 사회적응에 토대가 되는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을 살펴보는 것은 청소년 지도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국내의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들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및 고등학교 1학년 377명을 대상으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성별, 학년, 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성별보다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개방형 의사소통을 하고 자아탄력성이 높으면 학교적응수준이 높았다. 학교적응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적 요인인 모-자녀 간 의사소통보다 청소년의 개인 요인인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보다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학교적응을 5개의 세부영역에 따라 자아탄력성이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학교적응의 영역별로 차별적 지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참여위원회의 효과적 참여증진방안에 관한 면담조사 연구

        이지미 ( Lee Ji Mi ),권일남 ( Kwon Il Na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목적: 청소년 정책의 패러다임이 청소년 중심의 정책으로 변화됨에 따라, 청소년 참여의 효과적인 증진 방안을 모색하여 관련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분석틀을 통해 분석대상 자료를 선정하여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그 내용을 파악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청소년참여위원회 담당자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효과적인 청소년 참여증진을 위한 방안과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결과: 자료 분석결과 위원회 사업목적에 따른 주요활동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자체와의 소통이 어렵고, 참여수준이나 의견수렴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 참여증진을 위한 방안으로는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ㆍ심화 교육지원, 제안한 정책과제의 실효성 획득이 필요하다. 결론: 청소년참여위원회의 목적 지향성을 확보하는 한편,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보다 더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제안한 정책과제의 후속 사항을 지속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지자체ㆍ학교와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Purpose: As the paradigm of youth policy changes to a youth-oriented policy, the goal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and prepare related basic data. Methodology: After selecting the data to b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frame and analyzing the contents, we will interview 10 people in charge of the actual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based on the results and draw up measures and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promotion of youth participation. Findings: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it wa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local governments an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or collection of opinions was low, although it was possible to differentiate major activit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committee's project. Measure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need to support continuous and deepening education, not temporarily, and to ob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olicy task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curriculums by securing the purpose orientation of the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the follow-up of the proposed policy tasks and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 미디어아트로 문제해결 : 열화상카메라 속 걷는 사람들

        이지미(Lee Jimi),조세희(Jo Sehui),조채훈(Cho Chaehoon),원종윤(Won Jongyou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해 체온 체크는 필수요소로 다중 시설 이용시에는 열화상 카메라를 지나쳐야 만이 시설 이용이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예방의 목적성을 충족하지만 여러 명이 지나가는 화면 속 뒷사람이 나를 쳐다본다는 불편함, 몸의 실루엣이 드러나 수치심을 유발하는 등의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체온 체크를 하면서도 사생활을 보호하고 수치심을 예방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써 미디어아트를 활용하였다. 열 화상 카메라 앞에서 미디어아트로 표현된 내모습을 발견하고 상호작용하며 유쾌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여성들의 미용성형에 대한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지미 ( Ji-mi Lee ),김주덕 ( Ju-duck Kim ) 한국미용학회 2016 한국미용학회지 Vol.22 No.6

        Concern for beauty is an aesthetic instinct, and beauty is what everybody seeks after. The standard of beauty va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it is a basic human desire to change one`s own image to meet the standard. Nowadays there is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who make a further attempt to play up their own beauty by undergoing cosmetic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stic surgery expriences, satisfaction level and side-effects of the female residents in and around Seoul. This study is in an effort to suggest how to resolve problems caused by indiscreet cosmetic surgery. It is also meant to provide the right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cosmetic surgery in order to raise the right awareness for it. This research surveyed 402 females residing in Seoul and the provinces, who were aged 20 and up.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calcul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χ<sup>2</sup>-test and Analysis of Frequency were used to answer satisfaction level, status of plastic surgery and side-effetcs. In the survey, most of the women answer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s. The women who were in their 30s and over though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hange one`s personality by undergoing cosmetic surgery. The main reason for undergoing cosmetic surgery was because they were unsatisfied with their out appearances. Double eye-lid surgery was the most popular, and nose surgery followed. Many women thought that their image became better after having cosmetic surgery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Some women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side-effects after plastic surgery; mostly bruise and swelling. As the above, the plastic surgery is now very popular in the broad range of generations, and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before making decisions. Therefore the ideal environment that can further the acquisition of the right information, right type of cosmetic surgery and hospital, should be created.

      • KCI등재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인프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해진 지역민들의 요구수용과 높은 토지비용, 공간 조성에 수반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 대안으로 시설 복합화 방식이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는 제한된 토지 사용과 비용 효율화의 필요성을 넘어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 실현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건축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이 불가피한 현대건축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한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활용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활용 특성 도출과 시설 복합화 유형에 따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의 실제상황을 살펴본다. (결과) 지역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 공동체 유지와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인 공간으로 공공공간과 그 특성을 공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사례 분석을 위해 지역성, 개별성, 접근성, 공유성, 다양성, 안전성 등 6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커뮤니티 공간 유형으로는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개별 커뮤니티 공간의 중심기능에 따라 공공행정 기관 중심, 학교 시설 중심, 문화 편의 시설 중심 등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 결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요구수용을 바탕으로 공간의 중심기능을 선정하고 선정된 특정 기능이 중심되어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의 실질적인 이득은 지역 공동체 내부의 만성 민원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화합 도모에 이르기까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지역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각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복합화 유형을 선택하고 그 유형에 따른 공간 조성이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 공간 조성의 본래의 목적인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 복합화 양상 자체가 최근 10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고, 시설 복합화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대한 더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Community spaces for local community members can be classifi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revitalizes the community. In addition, mixed-use facilities have become a general trend a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high land costs, and the cost problems accompanying the creation of a space. The mixed-use community spaces are also a feature tha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facing modern architecture; it is inevitable to accept various programs through architecture beyond restricted land use and the need for cost efficiency to realize divers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members and to establish a local identity.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case studie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by categorizing the mixed-use facility aspect of local community spaces. (Method) It deriv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mixed-use facility aspect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The community spaces for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ey share the characteristics with public spaces. Based on this, si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ity, singularity, accessibility, commonality, diversity, and safety, were derived for the case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spa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entered on public administrative agencies, centered on school facilities, and centered on cultural amenities by the main function of individual community spa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space was selected based on the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mmunity spaces were built focusing on the selected specific function. The tangible benefits of mixed-use community spaces have been shown in various for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rom solving chronic complaint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working on harmony by operating various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ch spaces coul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a community space when a complexity type suitable for each region was selected. Spac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type for creating the community space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mixed-use aspect of community spaces has emerged prominently in the last 10 years, and the government policy promotes building various types of community spaces through mixed-use facilities, a further in-depth study on the mixed-use type of community spaces may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