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파트너 기중변경과 감사시간・감사보수・감사품질의 관련성: 표준감사시간 운영에 고려사항

        이중현,이재은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3

        The Standard Audit Hours System under the revised External Audit Law effective in 2017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igh audit hours are related with high audit quality, and is supporting the arguments that the past audit hours not reaching the appropriate level need to be increased to the Standard audit hours. However, since there are various causes increasing audit hou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factors when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actual audit hours as to be compared with the standard audit hours.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mid-year audit partner change” variable as one of these considerations. For the purpose, the ‘Audit Partner Head Count’ data was manually collected from the external audit details attached to the external auditor’s audit report. According to the data, if the number of audit partner in charge of the audit is reported in more than one, i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udit engagement partner has been changed in the middle of the audit year. Based on this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 of the mid-year audit partner changes with audit hours, audit fees and audit quality to be considered when aggregating actual audit hour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id-year changes of audit partners are associated with the audit hour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ingle audit partner participation. However, such association was not found with respect to total audit fees; therefore, hourly audit fees a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mid-year audit partners changed clients. On the other hand, the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the two sample groups of the mid-year audit partner changes and no audit partner change cl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t is found that,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of audit hours and hourly audit fees between two group samples, such significant difference is arising between one and two audit partner samples, and incremental audit hour increases and hourly audit fee decreases are not significant when audit partner head counts increase to three and four partners. On the other hand, in the additional analysis in which the auditor samples were divided into Big and non-Big audit firm groups, the above results appeared differently across the audit firms size sampl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raise the needs to consider causes of various audit hours differences, such as mid-year audit partner change,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Audit Hours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mid-year audit partner changes as a variable of the estimation model of the Standard Audit Hours System. i.e. the mid-year audit partner change causing audit hour increase should be included when analyzing the actual audit hours, but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tandard audit hour estimation model based on it. This paper provides a practical contribution by suggesting that the mid-year audit partner changes should be an additional variable to be considered for determining the Standard Audit Hours and for evaluating the actual audit hours as compared to the Standard Audit Hours. 신외감법에 따른 표준감사시간제도는 감사시간과 감사품질이 관련이 있다는 가정에 기초한 것으로서, 적정수준에 미달하는 과거 감사시간을 표준감사시간 수준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는 논리에 따른 제도이다. 그런데 감사시간의 증가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표준감사시간의 추정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사시간 결정변수의 하나로서 감사파트너 기중변경 변수를 조사한다. 감사파트너 기중변경에 대한 자료는 감사보고서에 첨부된 외부감사 실시내용에서 수집하였다. 동 자료에따르면 감사담당이사 인원수를 복수로 보고한 경우는 감사파트너(담당이사)가 기중에 변경된 경우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이 자료를 기초로 파악한 감사파트너 기중변경 회사들의 감사시간・보수 및 감사품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한다. 실증조사 결과, 감사파트너가 기중에 변경된 회사는 변경되지 않은 회사보다 유의하게 감사시간이높게 나타났으나, 총감사보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따라서 시간당감사보수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양 표본그룹 간에 재량발생액 차이는 대체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위 감사시간과 시간당감사보수의 유의한 차이는 감사파트너 기중변경 유무에 따라 주로 발생하였으며, 기중에 변경된 감사파트너가 2명 이상일 때 인원수 증가에 따른 증분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대형회계법인과 중소형회계법인으로 감사인 표본을 구분한 추가분석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감사인 규모 그룹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 조사 결과는, 감사파트너 기중변경 변수가 유의한 실제감사시간 결정변수이며, 과거 실제감사시간을 기초로 도출되는 표준감사시간 추정모형에서는 제외될 항목이 되고, 실제감사시간 사후 평가시에도 고려할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표준감사시간제도 시행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정찰 임무 수행을 위한 혼합 정수계획법 기반의 다중 무인기 협업 기법

        이중현,김현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본 논문에서는 특정 지역을 다수 또는 단일의 무인기가 정찰해야하는 상황에서 다중 무인기 시스템이 지속적인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문제를 정식화 하고, 혼합 정수계획법을 통해 접근한다. 정찰 임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동일한 중요도를 갖는 지역들만을 고려한 반면,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가 각기 다르며 시간과 정찰 현황에 따라 변화하는 지역들을 고려하여 무인기들을 할당하고 경로를 계획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무인기들의 협업을 필요로 하는 특수 임무를 위한 협업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각 지역에 정의된 불확실도가 높을 때 해당 지역의 중요도가 높아지며 이 불확실도는 정찰을 통해 감소된다고 설정하고, 지역 전체의 불확실도 합을 최소화시키는 조건으로 환경을 탐색/정찰하는 임무 시뮬레이션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협업 프로토콜이 적절히 동작하여 지역 전체의 불확실도 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0으로 수렴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e past years, cooperative operation of multiple UAVs has attracted considerable research interests for coverage and search of broad and complex areas. Unlike other complete coverage problems, in this surveillance problem, each location in the environment has different priority that also changes through surveillance. The uncertainty level of each location determines priority and it decreases with surveill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operative path planning algorithm for an efficient surveillance operation of multiple UAVs using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The cost function to be minimized is the uncertainty level over the whole region and the protocols for the cooperative movements are design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ask allocation works appropriately and the uncertainty level converges to zero.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풍랑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파고 측정 시스템

        이중현,이동욱,허문범,Lee, Jung-Hyun,Lee, Dong-Wook,Heo, Moon-Beom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3 No.4

        The standard wave height measurement system is usually based on spectrum analysis for measuring wave height. The spectrum analysis is complicated because of the FFT, and the FFT is not for real time processing since it requires the saved data segments.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al-time and simpler wave height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kalman filter and inertial sensors. The kalman filter theory is complicated, but its algorithm is simpler than the FFT and the kalman filter is used to estimate wave height by integrating acceleration data. But the accumulated error is occurred when the acceleration data is integrated. We developed the algorithm using the wind wave characteristic to decrease the accumulated error.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ave height measurement system is carried out for various wind wave conditions. Through the experiments, we verified that it shows high measurement performance with the 3.5% margin of error in wind wave condition. 일반적인 파고 측정 시스템은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파고를 측정한다. 하지만 스펙트럼 분석은 fast fourier transform(FFT)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또한 FF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칼만필터와 관성센서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칼만필터 이론은 비교적 복잡한 알고리즘이지만 FFT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간단하며, 가속도 데이터를 적분하여 위치를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가속도 데이터를 적분할 때 오차의 누적이 발생되는데, 파고의 특징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누적오차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건의 해파를 모델링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풍랑측정에 한해서 평균 오차율 3.5%로 우수한 측정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Ball-on-3 ball test에 의한 알루미나 세라믹스의 열충격 거동

        이중현,박성은,한봉석,이홍림 한국세라믹학회 1999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6 No.10

        The flexural strength distribution of alumina ceramics was observed using ball-on-3 ball test after thermal shock into the distilled water of 25$^{\circ}C$ Crack distribution was also observed by dye-penetration after thermal shock test. Fracture probability of alumina ceramics by ball-on-3 ball test was studied and compared with that by 3-point bending test. The crack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specimen showed the stronger effect on the flexural strength by ball-on-3 ball test than the crack density. 상온 25$^{\circ}C$의 증류수에 단일 열충격을 시행한 후 ball-on-3 ball test로 강도를 측정하고 강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편은 상용 알루미나 시편을 사용하였고, disc 형태의 시편에 대하여 열충격 후의 균열의 모양과 강도 시험 후의 균열의 모양을 잉크 침투법에 의해 관찰하였다. 통계적인 파괴 확률방법을 제시하였으며, thermal shock Weibull plot을 이용하여 3점 꺾임 강도와 비교하였다. ball-on-3 ball test 강도에 미치는 인자에 대해 통계학적인 접근을 통해 관찰한 결과, 시편중심에서 균열까지의 거리가 균열 밀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 정보를 통한 실시간 SVM 음향 식별 알고리즘

        이중현,김현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본 연구는 특정 범위 내에 미지의 물체가 발생시키는 음향을 분석하여 어떤 대상인지를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음향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의 정보를 활용하는 두 가지가 있다. 그중 주파수 영역의 정보는 특정 음색과 같은 소리의 외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반면 시간에 따른 변화에 반응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한편 시간 영역의 정보는 실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나 음향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영역 정보의 장점을 융합하기 위해 두 가지 입력을 사용하는 식별기를 개발한다. 개발한 식별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계측한 음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식별기를 구성하고, 이에 동일한 상황에서 획득한 음향 정보를 인가하였다. 그 결과 실내에서 비행로봇과 지상로봇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식별 성능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sound classifier using SVM (support vector machine) base on frequency and time domain analysis. The objective of the classifier is to recognize sound data from an unidentified object within a certain area. Frequency and time domain data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SVM input for utilizing their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resolution and time response. To validate the classifier, training data are applied to construct the classifier and the test data from the same situation are tested. As a result the classifier successfully distinguishes the presence of aerial and ground rob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