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NN과 ANN을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 및 추정

        이정철,박기태,정동화,Lee Jung-Chul,Park Gi-Tae,Chung Dong-Hwa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2 No.6

        본 논문은 FNN과 ANN 제어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 및 추정을 제시한다. 먼저, PI 제어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퍼지제어와 신경회로망을 혼합 적용한 FN 제어기를 설계한다. 퍼지제어기의 강인성 제어와 신경회로망의 고도의 적응제어의 장점들을 접목한다. 다음은 ANN을 이용하여 유도전동기 드라이브의 속도 추정기법을 제시한다. 2층 구조를 가진 신경회로망에 BPA(Back Propagation Algorithm)를 적용하여 유도전동기 드라이브의 속도를 추정한다. 추정속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여 제어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추정된 속도를 지령속도와 비교하여 전류제어와 공간벡터 PWM을 통하여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FNN과 ANN의 제어특성 및 추정성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This paper is proposed fuzzy neural network(FN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based on the vector controlled induction motor drive system. The hybrid combination of fuzzy control and neural network will produce a powerful representation flexibility and numerical processing capability. Also, this paper is proposed control and estimation of speed of induction motor using fuzzy and neural network. The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technique is used to provide a real time adaptive estimation of the motor speed. The error between the desired state variable and the actual one is back-propagated to adjust the rotor speed, so that the actual state variable will coincide with the desired one. The back propagation mechanism is easy to derive and the estimated speed tracks precisely the actual motor speed. This paper is proposed the experimental resul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method.

      • KCI등재

        대용량 복수후보 TTS 방식에서 합성용 DB의 감량 방법

        이정철,강태호,Lee, Jung-Chul,Kang, Tae-Ho 한국음향학회 2009 韓國音響學會誌 Vol.28 No.6

        대용량 음성 DB를 사용하는 음편접합 TTS는 부가적인 신호처리 기술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문맥을 반영하는 여러 합성유닛들을 결합해 합성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높은 자연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중복되는 음편의 감량을 위해서 음성인식분야에서 사용되는 결정트리 기반의 트라이폰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음편 내의 음향적 천이 특성을 반영하기가 어렵고 문맥질의 적용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TTS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DB감량을 위해 결정 트리 기반의 새로운 음소 군집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음편의 처음, 중간, 끝 3프레임의 각 13차 MFCC벡터를 통합한 39차의 벡터로 음편내의 변이성과 연결성을 표현한다. 결정 트리의 상위부분에서는 포괄적인 문맥질의를 하위부분에서는 세부적인 문맥질의를 적용시켰다. 그리고 기존 결정트리 시스템과 제안된 시스템과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평가용 트라이폰 모델의 음편과 트리에서 탐색한 트라이폰 모델의 음편들 간의 음향적 유사도를 DTW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체 음성DB의 크기를 23%로 줄일 수 있었고, 음향적 유사도가 높은 음편을 선택함을 보이므로 향후 소용량 DB TTS에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Large corpus-based concatenating Text-to-Speech (TTS) systems can generate natural synthetic speech without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To prune the redundant speech segments in a large speech segment DB, we can utilize a decision-tree based triphone clustering algorithm widely used in speech recognition area. But, the conventional methods have problems in representing the acoustic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hones and in applying context questions with hierarchic prior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lustering algorithm to downsize the speech DB. Firstly, three 13th order MFCC vectors from first, medial, and final frame of a phone are combined into a 39 dimensional vector to represent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a phone. And then the hierarchically grouped three question sets are used to construct the triphone trees. For the performance test, we used DTW algorithm to calculate the acoustic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triphone and the triphone from the tree search resul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size of speech DB by 23% and select better phones with higher acoustic similarity.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make a small sized TTS.

      • KCI등재
      • KCI등재
      • 효율 최적화 제어를 위한 SynRM의 위치 및 속도 센서리스 벡터제어

        이정철,정동화,Lee , Jung-Chul,Chung, Dong-Hwa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39 No.6

        본 논문에서는 최적 효율과 고성능으로 동작하는 SynRM(Synchronous Reluctance Motor)을 위한 위치 및 속도 센서리스 벡터제어를 제시한다. 제시한 제어 방법은 고정자 전압과 전류의 자속 추정에 기초한다. 그리고 동손과 철손을 최소화하는 효율 최적화의 전류각 조건은 SynRM의 등가회로를 기초로 유도한다. 폐루프 위치 및 속도 제어의 연구결과는 최적화 제어의 입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position and speed sensorless vector control for Synchronous Reluctance Motor(SynRM) operating at optimum efficiency and high response, in which core loss is taken into account, and discusses the performance of system. The proposed control scheme is based on the flux estimation combined stator voltage and current. In this paper, current angle condition of efficiency optimization which minimizes the copper and iron losses is derived based on the equivalent circuit model of the SynRM. The research result of closed loop position and speed control with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is given to verify the proposed scheme.

      • KCI등재

        경찰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에 관한 실증연구

        이정철 ( Jung Chul Lee ),이정욱 ( Jung Wook Lee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조직이 추구하는 공공가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여타 정부조직들과 마찬가지로 경찰조직은 효율성, 효과성, 합법성, 대응성 등 다양한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찰조직이 실제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지, 어떤 유형의 가치를 보다 강조하는지 등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실증적 연구는 실질적으로 부재하다. 본 연구는 정부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를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대응성(responsiveness)과 유능성(competence)으로 구분한 K. Meier(2000)의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경찰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또 경찰조직의 가치 추구 양태가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경찰조직이 국회에 제출한 성과관리시행계획서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최근 9년 치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응성 가치보다는 유능성 가치가, 그리고 유능성 관련 가치들 중에서는 효과성이 가장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응성 가치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도 실증분석 결과 확인되었다. 막연한 인식 수준을 넘어, 경찰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정부조직으로서의 경찰조직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public values pursued by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KNPA). Like many other government organizations, it has been known that KNPA pursues diverse public values such as efficiency, effectiveness, legality, responsiveness, and political neutrality. However, only few studies investigated what KNPA`s core public values are or what values have priority over the others in KNPA, using objective data. Drawing upon K. Meier`s (2000) value typology, which consists of two major categories, responsiveness and competence, this study analyzed what values have KNPA pursued and how have the core values been evolved over the time. This study content-analyzed KNPA`s performance management plans from 2007 to 2015 to conduct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lues in the competence category have been more valued by KNPA than the ones under the responsiveness category; among the competence values, effectiveness has been the most emphasized value. However, the analysis also showed the growing importance of responsiveness values 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KNPA by providing an empirical evidence on the values it pursues as a government organization.

      • KCI등재

        선조 대 당쟁의 양상과 전개 양상

        이정철(Lee Jung-chul)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장서각 Vol.0 No.28

        종래의 조선시대 당쟁에 대한 연구는 당쟁 자체에 대한 해명보다는 그것의 평가에 치중했다는 느낌이 있다. 처음에는 주로 부정적인 평가가 주류를 이루었다면, 후에는 그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붕당정치론’이라고 불리는 것이 그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치현상으로서의 당쟁 그 자체가 무엇인가 하는 객관적 인식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일 것이다. 선조 초 조정에서 나타난 두 가지 정치적 현상은 사림의 집권과 당쟁의 발생이다. 정치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구체제는 대신권의 전횡과 언관권의 파탄으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사림의 집권 그 자체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지는 못했다. 오히려 문정왕후의 사망과 함께 시작된 구체제에 대한 공격은 기존의 대신권과 언관권의 심각한 불균형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이동은 균형점을 가볍게 지나서 또다시 극단적 불균형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사림세력의 집권 이후 조정은 이전보다 덜 부패했을지 몰라도, 국정 운영 및 현안에 대한 해결 능력이 더 향상되거나 효율적이 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사림의 집권 이후 몇 년 지나지 않아서 나타난 ‘동서분당’은 그러한 비효율이 표현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이이의 보합론과 변통론이었다. 확실히 이 두 가지 개념은 당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방안이었다. 하지만 이이 자신이 나중에 말했듯이, 그의 제안이 현실의 추이에 기반한 방법이었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Thus far, the studies of factional strifes seems to have focused on the estimations for them.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what the factional strifes themselves in Joseon period were. There were 2 political streams during the early period of King Seonjo regime (1567~1608). One was that the new political group called sarim became the political majority in the political circle. And the other was that the factional strifes, which has been called ‘Dangjaeng’ got started. And the words that sarim became the political majority never meant that ‘the sarim politics’ came true. In terms of the political structure, the old regime before King Seonjo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ower abuses of high ranking official, and absence of official journalism. Right after the death (1545) of Queen Munjong, the attacks against the old regime were started. These attacks meant that the extreme unbalance between powers of the high ranking officials and official journalists moved to the opposite side. After sarim became the political majority, the central politics might be said to get less corrupt. However, the sarim administration could not be said to be more effective than before. Moreover, right after sarim seized the power, the formational of east-west factions happened, which meant the premature of sarim power. In this situation, Yi I, who was the influential leader of sarim, urged the political unity of the factional groups, and emphasize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Surely, the 2 things Yi I had said were the ideal solutions which could solved the contemporary problems. However, as he had said, these solutions could not be realistic.

      • KCI등재

        역사 해석에서 외부성과 우연성 : 대동법과 대청관계

        이정철 ( Lee Jung-chu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사회적 변화가 많은 시기를 연구할 때, 사회 내부 요인만으로 그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는 종종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현실에서 거대한 사회 변화는 거의 예외 없이 사회 외부의 환경 변화와 깊은 관련을 갖기 때문이다. 대동법은 이를 잘 보여준다. 대동법 추진이 본격화 된 것은 병자호란과 뒤이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서 빚어진 상황 때문이다. 병자호란의 패배로 조선은 커다란 재정적 위기에 직면했다. 청나라는 전쟁 배상금 성격의 각종 물자를 요구했다. 또한 청나라와 명나라의 전쟁이 격화되면서 청나라는 조선에 대규모 인적 물적 징발을 요구했다. 이는 조선의 재정규모를 훌쩍 뛰어넘었다. 그 부담이 민에게 직접적으로 부과되었다. 병자호란과 명나라의 멸망은 조선 지식인과 관료들에게 심대한 정신적 충격을 가하였다. 이러한 충격이 공물변통 논의를 본격적으로 출발시킨 요인이 되었다. 김육과 유형원은 각각 조정과 재야에서 그러한 양상을 잘 보여주었다. 나아가 효종 초기에 청나라의 조선 조정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은 조선의 정치개혁 방법론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주로 정치개혁을 주장한 산림세력 대신에 재정개혁을 주장한 김육 등의 정책이 정부 정책으로 수용되는데 상당한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When we try to understand social reforms and changes, we often reach the limit because of research methodology, which are based on internal point of view for a societies or states. It`s because big social reforms are usually connected with environment changes of outside society. At the same time, externalities, which provokes social changes, are frequently connected with coincidences. So far, when we explain the Daedongbeop, which was the great financial reform in Chosun dynasty, the externality and the coincidence were not considered, and even excluded. Excluding the externality and the coincidence, our historiography was got incomplete. Due to this exclusive view, our historiography used excessively to depend on structuralist approaches. In result, as we could expect, the result of the explanations were much simpler than real history.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factors of Korea, that result was inevitable. Money, informations, even culture frequently cross the frontier.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is becoming faint.

      • 대동법의 성립에서 김육의 역할

        이정철 ( Jung Chul Lee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1 사총 Vol.72 No.-

        As Ching Young Choe said, this law was the conscious response of many reformists against the total national crisis, even though Taedongpop(known as the Uniform Land Tax Law) costed long time for its legislation. Among the response, the role of Kim Yuk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the contemporary and following figures attributed the legislation of Taedongpop to him. The study on the Kim Yuk comes near to the direct understanding how this law could be established breaking through so many political obstacles. This paper focused on the political role of Kim Yuk in establishing the Taedongpop. Kim Yuk was not the smartest theorist to totally design the Taedongpop. He was not the most expert official in enacting this law either. And he also was not the sarim(士林) who was full of the Confucian principles. His political role in the legislation of Taedongpop, however, was possible on the ground that he included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n tributary system, working-level understanding on the legislation of Taedongpop, which was based on his long official experiences, the flexible diplomatic approaches on Ching China, and Confucian principle of sarim, which basically was maintained for his all life. These several elements were the his own conditions for his political role toward the reform. On the basis of these elements, he arranged the working-level official, who had been selected by him, to the important official posts for driving the reform. And then, he protected them against strong political draft. These elements also enabled him to win king`s absolute confidence. As he said, this confidence was the most important, and final element for the legislation of Taedongp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