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李政林 호남대학교 2001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22 No.1
『淮南子』는 漢나라 건국 70년경에 君主의 治國之道를 밝히고자 다방면의 사상을 집대성한 책인데, 道家사상에 바탕을 두고 제자백가를 융합하였으며, 그 내용은 천지만물과 인간세상을 다 포괄하고 있을 정도로 방대하다. 『淮南子』는 陰陽적 宇宙圖式을 기본으로 하여 이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비교적 체계적인 음악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음률은 自然으로부터 발원한 것으로 道에서 파생된 陰陽 二氣의 顯現이다. 또한 음률은 天地의 氣를 받은 인간(聖人)에 의해 天地를 조화시키는 음악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淮南子』는 이러한 음악을 매개로 한 천인관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음악의 본질, 음악의 작용 및 음악의 내용과 審美적 체험을 논의하고 있다. 『淮南子』는 淸淨한 本性을 保全해야 한다('與化游息':세속을 초탈하여 정신의 절대적 자유의 경지에 이름)는 입장에서 '有聲之樂'을 부정하고 '無聲之道'를 더욱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론 '與事浮沈'(세상 인심의 흐름을 알고 세상사의 변화에 대처함)의 또 다른 차원에서 儒家의 '有爲'관념을 받아들여 '無爲'를 '順應自然'의 개념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聖王이 자연에 순응한 조화로운 음악을 만들어 사람의 마음을 절제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한 것이다. 『淮南子』는 또한 음악은 진실한 감정의 자연스러운 발로임을 강조하여 음악의 영향력을 긍정하였다. 나아가 음악의 형식은 내재적 정감에 서로 상응하며, 감상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작품의 내용에 서로 다르게 반응할 수 있는 점을 밝혔다. 『淮南子』의 음악사상은 유기적인 우주관을 바탕으로 자연규율에 부합하는 음악의 조화적 본질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아울러 '無聲之道'를 근본으로 삼는 원칙아래 '與事浮沈'과 '與化游息'의 이념을 함께 지향하였으니 이는 당시의 정합적 세계관에 따른 시대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정림,김봉애 한국주거학회 1997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8 No.3
Cheju province exposes a separated residential culture compared to the mainland area. since it has its own unique climate, natural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residential behavior.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to Cheju province people, using the approach by statistic verific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and aimed on suggesting the basic data about housing plan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limate. natural features requirement from inhabitant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mainland area and Cheju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versified applicative study on ‘Ol-rae’. ‘Ma-dang’, ‘Yoo-young’ and so forth that is traditional outside garden of Cheju is imperative, because in urban area people think traffics, vicinity, etc. are more significant, and in rural area people think occupying large outside space is more significant. Secondly. in the study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housing, most of the people's was ‘neutral’ and in rural area quite a lot of negative reaction exposed. This is owing to the uniform introduction on residential style of the mainland area. Thirdly, housing plan should be considered family members' housing needs and provincial characteristics, meanwhile most of the people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residential value which is considered very significant lately, for instance, security of privacy. appropriate plan for child's room.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중심
이정림,김영지,곽은주,박승미 한국간호교육학회 2021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 관련 연구의 동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주제의 개발과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에 관한 세부 교육프로그램과 지지자원 주제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임신성 당뇨 산모가 증가하고 임신성 당뇨에 대한 모유수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진한 실정이며, 추후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20년간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 연구의 핵심 단어는 ‘노출’, ‘태아’, ‘저혈당’, ‘예방’,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링을 통해 확인된 주제는 ‘심혈관 질환’, ‘비만’, ‘합병증 예방전략’, ‘모유수유 지지’, ‘임신성 당뇨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으로 명명되었으며, 임신성 당뇨와 모유수유 관련 연구는 심혈관 질환이나 비만과 같은 합병증과 관련하여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6개의 토픽 중 ‘임신성 당뇨관리’와 ‘교육 프로그램’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들 주제는 간호사의 역할과 관련이 높은 주제로 간호분야에서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임신성 당뇨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모유수유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임신성 당뇨관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포함하는 다양한 간호 중재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keywords and topic groups in the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nd Breastfeeding’ field of research for better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in the past 20 years. Methods: This was a text-mining and topic modeling study composed of four steps: 1) collecting abstracts, 2) extracting and cleaning semantic morphemes, 3) building a co-occurrence matrix, and 4) analyzing network features and clustering topic groups. Results: A total of 635 paper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20 were found in databases (Web of Science, CINAHL, RISS, DBPIA, RISS, KISS). Among them, 3,639 words extracted from 366 article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were analyzed by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most important keywords were 'exposure', ‘fetus’, ‘hypoglycemia’, 'prevention' and 'program'. Six topic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topic modeling. The main topics of the study were ‘cardiovascular disease' and 'obesity'. Through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ix themes were derived: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complication prevention strategy’, ‘support of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and ‘management of GDM’.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over the past 20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mplication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obesity related to gestational diabetes and breastfeeding.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of gestational diabetes and promote breastfeeding, various nursing interventions, including gestational diabetes manage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GDM pregnancies, should be developed in nursing fields.
영국 바쓰(Bath)시의 광장 배치와 형태에 관한 소고
이정림 제주관광대학 2004 論文集 Vol.10 No.-
역사적으로 광장은 도시 내에 특별한 장소에 성립된 것이 많다. 거리의 중심이나 중심이 되는 장소, 구시가와 신시가의 중간에 있는 장소, 고대의 유적지, 도로가 집중하는 장소 등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Bath시의 광장들은 Queen's Square와 King's Circus, Royal Crescent와 St. James Square가 광장의 전형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Lansdown Crescent는 부정형 광장의 극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들은 광장의 배치가 도시구성에 친숙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여기에 광장에 의미부여와 상징성이 더해지면 광장은 아름답게 평가되고 시민과 가깝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Bath시의 광장들은 지형을 살리면서 디자인된 도시환경에 친숙한 광장으로서 의미가 있으며, 역사적인 상징성이 있는 공간으로서 그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정림,권대훈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ocus of control, mindset,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rimary hypothes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Locus of control and mindset positively predict grit academic achievement; Hypothesis 2: Mindset and grit positively predict grit academic achievement; Hypothesis 3: Grit mediate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academic achievement.; Hypothesis 4: Grit mediate the relation from mindset to academic achievement. A total of 360 ten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Locus of control scale, Mindset scale, and Grit scale were administrated from the August 25th to the September 4th in 2015. Also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Theoretical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ocus of control and mindse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grit respectively. Second, gr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academic achievement. And finally, grit fully mediate the relation from mindset to academic achievement. 장기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속성과 열정을 뜻하는 그릿(grit)은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는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이론모형을 설정한 다음 고등학생 360명에게 통제소재 척도, 마인드셋 척도, 그릿 척도를 실시하고, 학업성취도 자료를 수집한 후 2단계 접근법에 따라 측정모형과 이론모형을 검증했다.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는 매우 높았다. 이론모형의 적합도도 매우 높았으나, 이론모형의 기대와 달리 마인드셋→학업성취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이론모형에서 마인드셋→학업성취 경로를 삭제한 수정모형을 검증했다. 수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든 직접 효과(통제소재→그릿, 마인드셋→그릿, 그릿→학업성취)와 간접 효과(통제소재→그릿→학업성취, 마인드셋→그릿→학업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는 통제소재와 마인드셋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그릿이 매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고 제언을 논의하였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피해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취약성 변수 ― 사고 후 2008년 9월과 2010년 10월 시점의 패널자료 분석
이정림,김도균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psychological damage which affected the residents the variation of vulnerability of such damage due to the oil spill accident of Hebei Spirit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Choongnam on 7 Dec 2007 by checking the symptom of PTSD which directly shows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hock. For the purpose, statistical data of PTSD panel which examined the residents as subjects for 2 years (Sep, 2008 to Oct, 2010) was utiliz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first, it could be known that the rate of recovery of the residents’ PTSD symptom which occurred after the accident was not only slow, but also, there was considerable number of residents who newly complained of PTSD symptom in the Oct, 2010 investigation. Second, in regards to maintenance · increase of PTSD symptom, affecting variations showed as level of exposure to damage, gender,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 in the greatest order. That is,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er respondents were more vulnerable than the latter to PTSD symptom as follows; those with high exposure to damage than those with lower exposure, male than female, and those with damage to health than those with no damage. Such result is different to early previous studies which claim that the level of exposure to damage had crucial effect on psychological damage. Especially, in the research, gender (male) applied as the greatest factor in maintaining · increasing PTSD symptom. Such seems to be the outcome of not only male’s greater feeling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towards household and livelihood due to patriarchal culture, but also, the high frequency of direct exposure to more depressive and unfair situation than female while mainly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related to the accident and the complicated and uneasy procedure of compensation. And, it showed that collective resource such social capital did not have statistically special effect on reliving PTSD symptom. Such presents that the accident was something which overwhelmed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d simultaneously, that such collective resource did not recover due to delay of disaster recovery plan. Viewing the study result in general, the psychological damage the residents of Taean are experiencing is not something which can be cured through time, but has a possibility to extend over a long period.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사고의 심리적 충격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PTSD 증상 여부를 통해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프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지역주민들에게 미친 심리적 피해와 그 심리적 피해의 취약성 변수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년의 시차(2008년 9월과 2010년 10월)를 두고 태안주민들을 상대로 조사한 PTSD 패널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사고 이후 발생한 PTSD 증상으로부터 주민들의 회복속도가 더딜 뿐만 아니라 2010년 10월 조사에서는 새롭게 PTSD 증상을 호소하는 주민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PTSD 증상을 지속ㆍ증가시키는데 있어 패해노출수준, 성별, 신체적 건강상태 변수 등이 영향을 미쳤다. 즉 피해노출수준이 낮은 응답자 보다는 피해노출수준이 높은 응답자, 여성보다는 남성, 그리고 사고 후 신체적 건강피해가 없는 응답자 보다는 건강피해가 있는 응답자가 PTSD 증상에 더 취약함이 밝혀졌다. 사고초기 심리적 피해에 영향을 미쳤던 피해노출 수준과 함께 새롭게 성별(남성)이 PTSD 증상을 지속ㆍ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부장적 문화로 인해 남성들이 가구의 생계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더 크게 느낄 뿐 아니라, 사고 관련 각종 회의와 복잡하고 답답한 손해 배ㆍ보상 과정에 주로 참여하면서 여성보다 억울하고 부당한 상황 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사회자본과 같은 집합적 자원이 PTSD 증상을 완화하는데 통계적으로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만큼 이번 사고가 주민들의 삶을 압도하는 사고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재난복구의 지연으로 집합적 자원이 복구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현재 태안주민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피해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장기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허베이 스피리트 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피해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취약성 변수 - 사고 후 2008년 9월과 2010년 10월 시점의 패널자료 분석
이정림,김도균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psychological damage which affected the residents the variation of vulnerability of such damage due to the oil spill accident of Hebei Spirit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Choongnam on 7 Dec 2007 by checking the symptom of PTSD which directly shows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hock. For the purpose, statistical data of PTSD panel which examined the residents as subjects for 2 years (Sep, 2008 to Oct, 2010) was utiliz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first, it could be known that the rate of recovery of the residents’ PTSD symptom which occurred after the accident was not only slow, but also, there was considerable number of residents who newly complained of PTSD symptom in the Oct, 2010 investigation. Second, in regards to maintenance · increase of PTSD symptom, affecting variations showed as gender, marital status, level of exposure to damage,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 in the greatest order. That is,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er respondents were more vulnerable than the latter to PTSD symptom as follows; male than female, those with spouse than those without one, those with high exposure to damage than those with lower exposure, and those with damage to health than those with no damage. Such result is different to early previous studies which claim that the level of exposure to damage had crucial effect on psychological damage. Especially, in the research, gender (male) applied as the greatest factor in maintaining · increasing PTSD symptom. Such seems to be the outcome of not only male’s greater feeling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towards household and livelihood due to patriarchal culture, but also, the high frequency of direct exposure to more depressive and unfair situation than female while mainly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related to the accident and the complicated and uneasy procedure of compensation. And, it showed that collective resource such social capital did not have statistically special effect on reliving PTSD symptom. Such presents that the accident was something which overwhelmed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d simultaneously, that such collective resource did not recover due to delay of disaster recovery plan. Viewing the study result in general, the psychological damage the residents of Taean are experiencing is not something which can be cured through time, but has a possibility to extend over a long period.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사고의 심리적 충격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PTSD 증상여부를 통해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지역주민들에게 미친 심리적 피해와 그 심리적 피해의 취약성변수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년의 시차(2008년 9월과 2010년 10월)를두고 태안주민들을 상대로 조사한 PTSD 패널 통계자료를 이용했다. 조사결과첫째, 사고 이후 발생한 PTSD 증상으로부터 주민들의 회복속도가 더딜 뿐 아니라2010년 10월 조사에서는 새롭게 PTSD 증상을 호소하는 주민이 상당수 있음을알 수 있었다. 둘째, PTSD 증상을 지속·증가시키는데 있어 성별, 배우자유무,피해노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변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배우자가 없는 응답자 보다는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 피해노출 수준이 낮은 응답자보다는 피해노출 수준이 높은 응답자, 사고 후 신체적 건강피해가 없는 응답자보다는 건강피해가 있는 응답자가 PTSD 증상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피해노출 수준이 심리적 피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고 초기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성별(남성)이 PTSD 증상을 지속·증가시키는 데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가부장적 문화로 인해 남성들이 가구의생계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더 크게 느낄 뿐 아니라, 사고 관련 각종 회의와 복잡하고답답한 손해 배·보상 과정에 주로 참여하면서 여성보다 억울하고 부당한 상황속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사회자본과 같은집합적 자원이 PTSD 증상을 완화하는데 통계적으로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만큼 이번 사고가 주민들의 삶을 압도하는 사고였다는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재난복구의 지연으로 집합적 자원이 복구되지 못했다는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현재 태안주민들이 경험하고있는 심리적 피해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장기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정림,제경숙,윤치연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1
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가장 흔히 진단되는 아동기 행동장애의 하나로, 미국의 경우 학령기 아동에게서 3-7%가 나타나며 이후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DHD가 수반하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등의 대표적 특성 이외에도, 약물․알코올의 남용 및 높은 의존성 등을 포함하는 물질남용장애는 청소년기 및 초기성인기에 많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넓은 의미에서의 물질남용장애가 ADHD와 높은 상관을 보인다는 최근의 관심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즉,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ADHD와 물질남용간의 관계를 밝힌 연구들을 살펴보고, Sher의 생리심리사회모델과 Phil과 Peterson의 도식에 기초하여 그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여지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을 검토해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ADHD와 그에 수반되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예방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림 중국어문논역학회 200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13 No.-
《淮南子》는 漢나라 건국 70년경에 君主의 治國之道를 밝히고자 다방면의 사상을 집대성한 책인데, 道家사상에 바탕을 두고 제자백가를 융합하였으며, 그 내용은 천지만물과 인간세상을 다 포괄하고 있을 정도로 방대하다. 《淮南子》는 陰陽적 宇宙圖式을 기본으로 하여 이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비교적 체계적인 음악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음률은 自然으로부터 발원한 것으로 道에서 파생된 陰陽 二氣의 顯現이다. 또한 음률은 天地의 氣를 받은 인간(聖人)에 의해 天地를 조화시키는 음악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淮南子》는 이러한 음악을 매개로 한 천인관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음악의 본질, 음악의 작용 및 음악의 내용과 審美적 체험을 논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淮南子》에서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도가적 음악관과 유가적 음악관이 서로 다른 차원에서 통합되는 스스로의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淮南子》는 淸淨한 本性을 保全해야 한다(與化游息:세속을 초탈하여 정신의 절대적 자유의 경지에 이름)는 입장에서 有聲之樂을 부정하고 無聲之道를 더욱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론 與事浮沈(세상 인심의 흐름을 알고 세상사의 변화에 대처함)의 또 다른 차원에서 儒家의 有爲관념을 받아들여 無爲를 順應自然의 개념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聖王이 자연에 순응한 조화로운 음악을 만들어 사람의 마음을 절제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한 것이다. 《淮南子》는 또한 음악은 진실한 감정의 자연스러운 발로임을 강조하여 음악의 영향력을 긍정하였다. 나아가 음악의 형식은 내재적 정감에 서로 상응하며, 감상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작품의 내용에 서로 다르게 반응할 수 있는 점을 밝혔다. 《淮南子》의 음악사상은 유기적인 우주관을 바탕으로 자연규율에 부합하는 음악의 조화적 본질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아울러 無聲之道를 근본으로 삼는 원칙아래 與事浮沈과 與化游息의 이념을 함께 지향하였으니 이는 당시의 정합적 세계관에 따른 시대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