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장과 교감 간 갈등에 관한 연구

        이정림(Lee, Jung-Rim),조흥순(Cho, Heung-So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감이 교장과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의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로서 교감이 교장과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이 초래하는 현상, 갈등의 유발요인, 갈등의 관리방식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연구이며, 대상은 서울 초등학교 교감 8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갈등이 초래하는 현상은 업무능률의 저하, 부정적 감정 지배, 건강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의 유발요인으로는 직무수행갈등, 역할기대 갈등, 권한 갈등, 신념 및 리더십 갈등, 인격적 갈등, 좌절 갈등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감의 갈등 관리방식은 관계 회피방식, 형식적 순응방식, 타협과 설득방식, 정면 돌파방식, 직장 이탈방식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장과 교감의 갈등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감과 교장의 갈등을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모호한 교감의 권한과 책임 그리고 교장 보좌의 범위 등을 법령으로 구체적으로 명시화해야 한다. 둘째, 교육청 차원에서 분기별, 혹은 학기별 교감 상담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교장과 교감과의 갈등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부 차원의 정책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in-depth aspects of the conflict that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face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For this purpose, research problems were analyzed by setting up and analyzing the phenomena, causes of conflicts, and methods of managing conflicts that the vice-principal experienced in relation to the principal. The research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target was eight vice principal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irst of all, the phenomena that conflict leads to decreased work efficiency, negative emotional dominance, and health abnormalities. Second, the causes of conflicts were identified as job performance conflicts, role expectation conflicts, authority conflicts, belief and leadership conflicts, personality conflicts, frustration conflicts, and informal organizational conflicts. Third, the conflict management method of communion emerged as relationship avoidance method, formal adaptation method, compromise and persuasion method, head-on breakthrough method and workplace departure method. Based on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 principal and the principal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섬 주민들의 삶의 변화

        김도균(Do-Kyun Kim),이정림(Jung-Rim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 12월 7일 태안군 만리포 해상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Hebei Spirit, 146,848톤)기름유출사고가 가의도 주민들에게 미친 사회적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가의도는 육지와 연결되지 않은 태안군의 유일한 유인도이며 주민들이 생업활동을 바다환경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섬마을이다. 기름유출 사고로 인해 주민들의 주 소득원인 어업과 관광업이 완전히 중단되었으며, 현재 유일한 소득원인 방제인건비마저 제대로 지급되지 않아 극심한 생활고를 호소하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사고로 인한 정신적 충격과 과도한 방제작업,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소외의식으로 인해 육체적ㆍ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높은 직업적 동질성과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주민들 사이에 특별한 갈등이 발생하진 않았다. 다만 육체와 정신의 피로로 인해 사고이전 활발했던 이웃 간의 일상적 교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 영향이 어촌공동체의 사회구조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둘 사이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마을 간 비교연구를 통해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ocial impact of an oil spill accident by the Herbei Spirit (146,848 tons), which happened on the Mallipo Sea, Taean-gun on December 7, 2007, on residents in Gaeui-do(island). Gaeui-do(island) is a sale manned-island which is not landfast in Tacan-gun, and is an island village where the occupational activity of residents is closely tied to me marine environment. Therefore, me oil spill accident brought about a negative social impact on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residents, the residents' relationships, and their health. The fishery and tourism industry, which were the main income sources of the residents, came to a full stop due to the oil spill accident, and the residents haw complained about the rigors of life because of me non-payment of labor for the clean-up and living expenses. On top of that, the shock from the accident, excessive clean-up labor relative to the age group of the residents, and the sense of isolation as well as their anxiety about me future caused the residents to go through both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Furthermore,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from clean-up labor reduced mutual visits between neighbors, which had been active before the accident, and this was shown as a loss of ordinary joy for the residents. However, there was no specific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thanks to the higher homogeneity in their jobs within an island village and the uniqu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how the social impact of the oil spill accident affected the social structure of the community of a small-scale fishing village microscopically.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follow-up this study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into villages with various social structure in order to more clearly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 village community and such a social impac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자원봉사자 분석

        박재묵(Jae-Mook Park),이정림(Jung-Rim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09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3 No.1

        본 연구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따른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관적 속성)과 참여 경로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 의사결정 모델을 구성하고, 이 모델에 따라 ‘애타적 공동체’로의 동원과정 및 ‘애타적 공동체’ 구성원으로부터 자원봉사자로의 선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이메일을 확보할 수 있는 태안자원봉사 인터넷 카페 회원들과 환경단체를 통해 봉사활동을 하였던 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애타적 공동체의 형성에 있어 방송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운 매체로서 인터넷의 영향도 중요하게 나타났다. (2)자원봉사자로 선별된 사람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젊은층, 학생, 사무직·전문관리직 종사자, 고학력층, 미혼자 그리고 물리적ㆍ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지역주민이다. (3)태도 분석에서는 환경의식이 높은 사람과 개혁지향성이 높은 사람이 자원봉사자로 선별되었음이 드러났다. (4)자원봉사자로 선별된 사람들의 주된 참여 동기로는 파괴된 생태계의 복원과 피해주민과의 고통분담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5)효능감 분석에서는 봉사 참여자들이 봉사활동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감을 갖고 있었고, 높은 재참여 의사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의 성과는 태안 자원봉사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원성이 높은 집단의 참여 경로와 그들의 인구학적 특성, 주관적 속성(참여 동기와 태도) 등을 밝혀냈다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사회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친사회적 행동의 잠재적 기반과 사회봉사활동을 조직할 수 있는 새로운 매개체로서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scertain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attributes(motives and attitudes) of volunteers who have participated in cleanup activities undertaken in polluted seashore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incident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of volunteering. For these purposes, a model comprising two analytically distinguishable processes(mobilization peoples into ‘altruistic community’ and making some members of that community take actions) was made and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making processes,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volunteers were examined through survey data analyses. The subjects of survey were volunteers who were recruited by internet cafes and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Two internet cafes and two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provided researchers with e-mail addresses of volunteer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broadcasting, among various media, ha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building altruistic community and making some members of that community take actions. Internet, one of new media, has been the second most influential media. Secondl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are found to be young age, university students, clerical and professional or managerial jobs, higher education and unmarried status.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also has had important effects on dividing members of altruistic community into participants and bystanders. Thirdly, the greater part of volunteers showed great concerns in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and supported reformative social agendas. Fourthly,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the majority of volunteers for participating in cleanup activities was ‘for restoration of deteriorated ecosystem’ and the next to the most important was ‘for sharing sufferings with the damaged’. Fifthly, the absolute majority of volunteers have strong senses of efficacy; they express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of their works and their strong willings to participate again in similar volunteer works. The broad-based potentiality of pro-social behavior and internet media’s great effects on people’s responses to social issues are ascer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need to be interpreted with cautiousness, for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have been restricted to a special sector of whole cleanup volunteers, the highest group in voluntariness.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process of volunteering,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attributes(motives and attitudes) of volunteers are safely applicable to highly voluntary volunteers, but not to mobilized or semimobilized ones.

      • KCI등재후보
      • 의료용 소프트웨어생명주기 프로세스 분석

        최민용 ( Min-yong Choi ),강영규 ( Young-kyu Kang ),허찬회 ( Chan-hoi Hur ),이정림 ( Jeong-rim Lee ),박기정 ( Ki-jung Park ),박해대 ( Hae-dae Park ),이인수 ( In-soo Lee ),김혁주 ( Hyeog-ju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2006년 5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TC62(의료용전기기기기술위원회) SC62A(의료용전기기기 공통특성에 관한 세부분과위원회)에서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생명주기 프로세스에 관한 국제규격인 IEC 62304, Ed.1을 제정하였다. 전체 내용은 크게 일반적인 요구사항(General requirements)과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에 대한 프로세스(Software development & maintenance process)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안에 기본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 위험관리와 형상관리에 대한 프로세스(Software riskmanagement & configuration management process)를 규정하고, 또한 문제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문제 해결 프로세스(Software problem resolution process)를 규정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정보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던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프로세스인 ISO/IEC 12207 규격과 외형상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생명주기 프로세스에 관한 국제규격인 IEC 62304를 분석하여 실제 의료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작업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고, 또한 기존의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프로세스인 ISO/IEC 12207 규격과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본 규격에 대한 근본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