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호관찰정보시스템의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 변인과 재범과의 관계 연구
이전구,강정석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근거로 보호관찰정보시스템 입력 정보 중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재범 유발 변인을 선정하고 해당 변인과 재범 여부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 정보시스템에서 총 440명의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를 무작위로 추출해서 DB를 구축하였다(비재범자: 220명, 재범자: 220명). 구축된 DB를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 이전의 범죄 경력 중 이전 총 범 죄횟수와 이전 성폭력범죄횟수는 재범과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처벌 강도 중 전자발찌 부착기간은 재범과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결속과 관련해서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가 직업이 있거나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직업이 없거나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재범률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재범 예방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PIS variables and recidivism of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which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o obtain the goal, the study built database (220 non-recidivists and 220 recidivists) after randomly sampling 440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from the K-PIS.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database showed that prior sexual/ violent/any offenses and prior sexual offenses among criminal history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recidivism. The period of electronic anklet wearing among punishment stringency variables had also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 to recidivism. However, the recidivism rate of the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who had been in paid employment or married (strong social 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exual offenders electronic anklet program who had not been in paid employment or married (weak social ties). Lastly, the study results suggested some policies to prevent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from recommiting crime.
민군 겸용 기술사업의 국내ㆍ외 현황 비교와 성공 사례 분석
이전행,전순용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Many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change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but an especially important field which needs to be vitalized to bring about this improvement in efficiency is the business of dual-use technology for joint civilian-military use. In order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the business of dual-use technology for joint civilian-military use, this paper researches the present state of joint civilian-military busines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alyzes factors based on successful cases, and lays out a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joint civilian-military business.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정(白丁)’ - 기원과 정체성, 그리고 동화과정을 중심으로 -
이전,이호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조선 초기 이전부터 다양한 종족의 유목민들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조선 초기에 전국에 흩어져살았던 북방 유목민 혹은 그 후예들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하여 부르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 백정은 주로 짐승을 잡고 가죽을 제조하거나, 버드나무로 생활용품을 만들거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오락을 제공하는 일에 종사하였다. 조선 초기 위정자들은 백정을 원주민과 통합시키기 위해 토지를 지급하여 농사를 짓게 하거나 호적에등록시켜 정착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제민화 시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 백정은본래 양인 신분이었지만, 유목민의 생활양식을 쉽게 버리지 못하여 이방인의 지위로 차별을 받았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백정은 원주민과 완전히 동화된 상황에서 더 이상 유목민의 후예가 아니라 도축업, 유기제조업 등 천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차별하는 용어로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 백정은 북방 유목민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반도의 원주민과 동화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 한민족의 형성에 일정한 부분공헌하였다. Before the start of the Joseon Dynasty, nomads from various ethnicities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no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cattered inhabitants in the country, who were either the northern nomads or their descendants, began to be called Baekj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Baekjeong were primarily engaged in animal slaughter, leather manufacturing, crafting daily necessities from willow trees, and traveling to different villages to provide entertainment.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ong with the natives, official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mplemented several civilization policies, including allocating land for farming, registering them in the family register to encourage settlement, etc. Despite these efforts, Baekjeong were originally commoners but faced discrimination due to their status as outsid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y could not easily abandon their nomadic lifestyle. However, following the Imjinwaeran and the Byeongjahoran, the term Baekjeong underwent a change in meaning, evolving into a discriminatory label for individuals who no longer belonged to nomadic descent, but only worked in menial occupations such as slaughter and organic manufacturing, in a situation where they were completely assimila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Baekjeong had the identity of northern nomad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present-day Korean people through their assimilation with the native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한자 지리 용어 대신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공식 용어로 사용하기
이전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2 地理學論叢 Vol.68 No.-
지리학자들은 한자 지리 용어 대신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공식 용어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초·중·고등학교 지리교육에서는 어려운 한자 용어가 원만한 학습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지리학 학습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고고학계는 한자 고고학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데 훌륭한 성과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학문 분야인데, 지리학계는 고고학계의 성과를 교훈으로 삼아 어려운 한자 지리 용어 대신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개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지리학 분야에서도 쉬운 우리말 용어가 많이 사용됨으로써 지리학이 일반인에게도 선호도가 높은 학문으로 인식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표 1은 지리 교과서에 등장하는 한자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꿀 수 있는 사례를 보여준다. 지리학자와 지리교육 전문가는 남북한의 지리 용어를 어떻게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고민은 쉬운 우리말 용어의 개발 노력과 병행하면서 풀어나갈 수 있다. 끝으로 지리학계의 우리말 사용 노력이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학술·전문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운동을 펼치는 데 적극적으로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Korean geographers should make efforts to use formally the geographic terms originated from Korean language instead of those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geographic terms are so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y can often be a major obstacle to studying geography at school. Korean geographers need to learn a lesson from the Korean Archeology Community that has respectably achieved the terminology transition from Chinese characters to Korean language characters in the past fifty years. Hopefully, I expect that the terminology transition of Korean geographers in the near future will raise the level of geography up to a highly favorite academic discipline. <Table 1> shows the experimental Korean terms that the existing terms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can be replaced with. If Korean geographers and the Korean specialists in geography education have to find the way how to standardize the geographic terminologies of two Koreas, i.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near future, I think that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 terminologies should be based on the terms originated from Korean language instead of those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Finally, I would expect that the transition movement of geographic terminology ma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movements for academic/technical terms in Korea.
알루미늄 염으로부터 침전법에 의한 알루미나 분체의 제조
이전,최상욱,조동수,이종길,김승태,Rhee, Jhun,Choi, Sang-Wook,Jo, Dong-Soo,Lee, Jong-Gil,Kim, Seung-Tae 한국세라믹학회 1993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0 No.12
Alumina hydrates were prepared by the neutralization of AlCl3.6H2O solution with NH3 gas diluted with N2 gas. The values of pH in reaction solution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lumina hydrates minerals. Amorphous alumina hydrates, for example, were formed at <pH 8.2, pseudo-boehmite at pH 8.2 up to pH 9.30 and bayerite at pH 9.30<, respectively. And they were transform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s follows. (1) Pseudoboehmitelongrightarrowamorphouslongrightarrow${\gamma}$-Al2O3longrightarrow$\delta$-Al2O3longrightarrow$\theta$-Al2O3longrightarrow$\alpha$-Al2O3. (2) Bayeritelongrightarrowamorphouslongrightarrow${\gamma}$-Al2O3longrightarrow$\delta$-Al2O3longrightarrowη-Al2O3longrightarrow$\theta$-Al2O3longrightarrow$\alpha$-Al2O3.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alumina hydrates whichw ere prepared by the reacton of Al2(SO4)3.16H2O solution and NH3 gas was spherical, the progress of its phase transformation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as amorphouslongrightarrow${\gamma}$-Al2O3longrightarrow$\alpha$Al2O3 in seq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