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민군 겸용 기술사업의 국내ㆍ외 현황 비교와 성공 사례 분석

        이전,전순용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Many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change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but an especially important field which needs to be vitalized to bring about this improvement in efficiency is the business of dual-use technology for joint civilian-military use. In order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the business of dual-use technology for joint civilian-military use, this paper researches the present state of joint civilian-military busines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alyzes factors based on successful cases, and lays out a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joint civilian-military business.

      • KCI등재

        보호관찰정보시스템의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 변인과 재범과의 관계 연구

        이전,강정석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근거로 보호관찰정보시스템 입력 정보 중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재범 유발 변인을 선정하고 해당 변인과 재범 여부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 정보시스템에서 총 440명의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를 무작위로 추출해서 DB를 구축하였다(비재범자: 220명, 재범자: 220명). 구축된 DB를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 이전의 범죄 경력 중 이전 총 범 죄횟수와 이전 성폭력범죄횟수는 재범과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처벌 강도 중 전자발찌 부착기간은 재범과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결속과 관련해서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가 직업이 있거나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직업이 없거나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재범률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전자발찌 부착 성폭력범죄자의 재범 예방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PIS variables and recidivism of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which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o obtain the goal, the study built database (220 non-recidivists and 220 recidivists) after randomly sampling 440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from the K-PIS.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database showed that prior sexual/ violent/any offenses and prior sexual offenses among criminal history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recidivism. The period of electronic anklet wearing among punishment stringency variables had also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 to recidivism. However, the recidivism rate of the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who had been in paid employment or married (strong social 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exual offenders electronic anklet program who had not been in paid employment or married (weak social ties). Lastly, the study results suggested some policies to prevent sexual offenders under electronic anklet program from recommiting crime.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정(白丁)’ - 기원과 정체성, 그리고 동화과정을 중심으로 -

        이전,이호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조선 초기 이전부터 다양한 종족의 유목민들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조선 초기에 전국에 흩어져살았던 북방 유목민 혹은 그 후예들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하여 부르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 백정은 주로 짐승을 잡고 가죽을 제조하거나, 버드나무로 생활용품을 만들거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오락을 제공하는 일에 종사하였다. 조선 초기 위정자들은 백정을 원주민과 통합시키기 위해 토지를 지급하여 농사를 짓게 하거나 호적에등록시켜 정착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제민화 시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 백정은본래 양인 신분이었지만, 유목민의 생활양식을 쉽게 버리지 못하여 이방인의 지위로 차별을 받았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백정은 원주민과 완전히 동화된 상황에서 더 이상 유목민의 후예가 아니라 도축업, 유기제조업 등 천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차별하는 용어로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 백정은 북방 유목민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반도의 원주민과 동화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 한민족의 형성에 일정한 부분공헌하였다. Before the start of the Joseon Dynasty, nomads from various ethnicities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no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cattered inhabitants in the country, who were either the northern nomads or their descendants, began to be called Baekj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Baekjeong were primarily engaged in animal slaughter, leather manufacturing, crafting daily necessities from willow trees, and traveling to different villages to provide entertainment.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ong with the natives, official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mplemented several civilization policies, including allocating land for farming, registering them in the family register to encourage settlement, etc. Despite these efforts, Baekjeong were originally commoners but faced discrimination due to their status as outsid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y could not easily abandon their nomadic lifestyle. However, following the Imjinwaeran and the Byeongjahoran, the term Baekjeong underwent a change in meaning, evolving into a discriminatory label for individuals who no longer belonged to nomadic descent, but only worked in menial occupations such as slaughter and organic manufacturing, in a situation where they were completely assimila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Baekjeong had the identity of northern nomad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present-day Korean people through their assimilation with the native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三韓 개념에 대한 고찰

        이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0 사총 Vol.100 No.-

        The Samhan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ultural changes that might have taken place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diverse meanings of Samhan may appear in the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 Therefore, the meanings of Samha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need to be analyzed carefu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mhan concepts correctly. This study deals with the Samhan concepts that appear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Annals, recorded for about five hundred consecutive years, may be one of the most highly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diversity of Samhan concepts. In the Annals, the term Samhan appears three-hundred-and-forty-five times: just once as the name of the three countries(Mahan, Jinhan, and Byunhan); four occur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that come just before the three states(Goguryeo, Baekje, and Shilla). In the Annals Samhan is named as our country two-hundred-and-fifteen times, while Samhan is called as Joseon country by foreigners thirty times. Samhan is also used as an official title(name) for position, founding member, money, and book sixty times in the Annals. Furthermore, in the articles of Annals the age of Samhan is unclear for thirty-three times, and is not correct for two occurrences. It has been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Samhan concepts are very divers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三韓개념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래서우리나라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은 다양한 개념을 갖는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에 대한 분석은 삼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을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조선왕조실록』은 500여 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만들어진 사료로서 삼한 개념의 다의성을 고찰하는 데 매우 적절하고 유용한 고문헌이라고 판단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三韓이 345번이나 등장한다. 그중에 삼한이 마한・진한・변한의 국호를 분명하게 가리키는 경우는 단지 1번뿐이고, 삼한이 삼국보다 앞선 실체임을 분명하게 명시하는 경우는 겨우 4번뿐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삼한이 우리나라라는 뜻을 갖는 경우가 215번이나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조선을 삼한이라고 칭한 경우는 30번이나 된다. 또한 삼한을 직위・공신・화폐・서적 명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60번이나 된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삼한이 가리키는 시대가 불분명한기사가 33번 등장하고, 고려 태조 왕건이 마한・진한・변한의 삼한을 통합하였다는 잘못된 기사도 2번 등장한다. 고문헌 자료에서 최초로 언급되는 한반도 종족들은 마한・진한・변한의삼한이다. 그런데 마한・진한・변한이라는 세 종족이 한반도에서 일어난문화변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논의는 한반도 고대사 이해의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삼한이 매우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조선왕조실록』 의 삼한 개념이 이처럼 다양한 것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으로 인하여 삼한 개념이 점차 변화하였기 때문이고, 그러한 삼한 개념의 변화가 『조선왕조실록』에 투영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 KCI등재

        제세동 쇼크에 의한 심장 전류밀도 분포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이전,박광리,이경중,Lee, J.,Park, K. L.,Lee, K. J.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0 의공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 몸통 모델을 이용한 제세동 시뮬레이션 연구로서, 제세동 자극인가시 임상에서 사용되는 세가지 전극의 위치와 크기가 심장에서의 전류밀도 분포특성에서 미치는 영향과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조직의 비저항 값이 시뮬레이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몸통 모델은 타원형 실린더를 사용하여 흉곽을 모델링하였고, 나머지 부분은 Visible Human의 2차원 영상들을 통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하였다. 그리고, ANSYS 5.4를 통하여 유한요소의 전류밀도 해를 구하였다. AP(anterior-posterior) 전극 위치의 경우, 몸통 표면에서 인가한 전류가 가장 효과적으로 심장으로 흘러들어 갔으며, LL(Lateral-lateral) 전극 AP(anterior-posterior) 전극 위치의 경우, 몸통 표면에서 인가한 전류가 가장 효과적으로 심장으로 흘러들어갔으며, LL(lateral-lateral) 전극위치는 가장 균일한 전류밀도 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극의 크기변화는 전류밀도 분포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조직의 비저항 값의 변화에 대한 전류밀도 분포 실험결과는 심근의 비저항 값의 변화가 최소·평균·최대 전류밀도 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is about to simulate the defibrillation situations using 3D FE(finite element) thorax model and describes the effects of three clinical electrodes' positions and size and organ's resistivity used in simul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over myocardium. The model was constructed with a eillipsoidal cylinder for the thorax and the 2D Visible Human images for remains. And, the distributions of current density were computed by a commercial program ANSYS 5.4. The electrical shock of the AP(anterior-posterior ) electrode provided more current flows with heart than the others and that of the LL(lateral-lateral) electrode showed the most uniform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However, the electrode size had little effect on the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the evaluation of model's sensitivity to tissue resistivity variation, the variation of the myocardium's resistivity most affected the minimum, average and maximum current den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