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세대 소장 각필본 『묘법연화경』의 처격 표기

        이전경(Lee, Jeon Ky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4 No.-

        이 글은 연세대 중앙도서관 소장 각필구결본 『묘법연화경』의 점토표기법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이 자료에 나타난 처격의 표기 양상을 살핀 것이다. 이 자료에는 처격조사로서 대체로 ‘?’와 ‘?’, ‘??’, ‘??’가 사용된다. 빈도로 보아 대표적인 처격은 ‘?’이며 나머지 표기들은 용법이 제한적이다. ‘??’의 용법은 유가사지론 계통과 동일하나 ‘??’의 분포가 제한적인 점, ‘??’를 시간 표기에 사용하는 점이 이 자료의 특징이 다. 처격의 ‘?’가 단독으로 사용된 용례나 존대 ‘??/??’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른 석독구결자료에서 나타나는 ‘??’의 예 또한 나타나지 않는다. 이 자료의 처격출현 양상에 한정하여 본다면 이 자료가 석독구결의 시대인 12~13세기 이후의 자료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대체로 석독구결자료 중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화엄경에서만 특이 처격인 ‘??’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가 다수 현토된 ‘?時’의 예를 통해 시간명사 ‘끠?’표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5세기의 언해본과 일치할 가능성이 있는 이 표기는 이 자료의 시기가 후대일 가능성을 높인다. Seokdok Kugyol is classified by Huayanjing (華嚴經) Type and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Type. The Code Kukyol, YonseiUniv. collecton, is in accordance with Code Kukyol system of Yuqieshidilun Type. Generally, ‘?’, ‘??’, ‘??’, ‘??’ are used as Locative Case. In terms of frequency, typical Locative Case is ‘?’, but the other cases are limitedly used. The usage of ‘??’ is similar to Yuqieshidilun Type, however, distribution of ‘??’ is limited, and use of ‘??’ as a time mark are the distinct features of this document. There are no examples that show exclusive use of locative case of ‘?’ and use of ‘??/??’ as an honorific word. Also, ‘??’, shown at the Seokdok Kugyol, is not appeared. In terms of Locative case apperance, the document is estimated to be made after 12~13 century, which is the Seokdok Kugyol age because ‘? ?’ is appeared only at Huayanjing which seemed to be the oldest Seokdok Kugyol.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notation ‘?’ which is a timesnoun in 15 century, by example of ‘?時’ where lots of ‘??’ is attatched. Also, it shows that the material is made at the late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레스토랑에서 맞춤형 서비스 디자인 연구-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이전미 ( Jun Mi Lee ),정주현 ( Joo Hyu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과학과 문명의 발달로 산업구조가 확대되면서 가정 밖에서 식사하는, 즉 외식의 기회가 증가하고 외식 형태가 다양화, 세분화되어 왔다. 현재 레스토랑들은 차별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이 나오고 있지만 단기성과 한정적인 이벤트성의 서비스만이 보여주는 실정이다. 또한 외식사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지만 레스토랑 내에서 고객과 레스토랑이 실시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지 못하고 있어 레스토랑 안에서 고객 맞춤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우리나라 외식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모바일 시장 현황을 살펴본 뒤, 고객이 레스토랑에 들어가서 나올 때까지 받는 서비스들을 분석해 개선할 부분을 도출해 내 고객들의 잠재적인 니즈를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또한 향후 레스토랑 서비스의 한계점 제시와 기대효과를 결론으로 레스토랑 서비스디자인의 발전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Industrial structure was expand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ivilization. While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eating out, eating out forms, diversification has been broken. Restaurant to lure customers by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s, several alternatives are emerging. However, showing only limited short-term performance of service events. Also associated with the restaurant business, there are a lot of applications on the market but customers within the restaurant and the restaurant unable to achieve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s. So I want to study the application can provide the customization service inside the restaurant. First of all, learning about the culture in the country eating out. and after examining the status of the mobile market. Receiving service customers go out to a restaurant until analysis. Customers` potential needs and areas for improvement to derive a solution is proposed. It also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future restaurant service.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a restaurant, service design to the conclusion that the expected effects.

      • 카본블랙을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의 특성

        이전호 ( Lee Jeon-ho ),창우 ( Lee Chang-woo ),상수 ( Lee Sang-so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With the prolonged Covid-19 epidemic, movement restrictions such as social distancing are prolonged, and as people stay indoors for a longer time, interest in indoor air pollution is increasing. Indoor air quality is not easily purified unlike outdoors. Among indoor building materials, paints and flooring contain formaldehyde that causes sick house syndrome and VOCs that contain carcinogenicity and harmfulness. For modern people who spend a lot of time living indoors for more than an hour, the occurrence of these harmful substances can be said to be fatal. In response to these risks, in July 2019, the government reinforced the standards for indoor air quality to protect the public's health by raising the detection standards for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formaldehyde in indoor multi-use facilities. People use machines such as air purifiers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or make efforts such as periodic ventilation. In order to reduce or support these other ancillary efforts more effectively, to reduce the generation of pollutants in the building itself, or to adsorb or purify pollutants in the air, use carbon black as an admixture to make a cement hardened body, and to grasp basic physical properties and adsorption capacity.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mount of carbon black,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the amount of carbon black was added, the better it was in the formaldehyde emission test, but the tendency was not clear when measuring the flexural strength, so a further experiment to improve this is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4)

        이전경(Lee Jeon Kyung) 구결학회 2004 구결연구 Vol.13 No.-

        각필점토구결 자료인 유가사지론 권8의 7장 1행부터 8장 22행까지의 점토를 정리해 보고 잠정적인 해독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This paper surveys the overall textual structure of Yuqie shidi lun(瑜伽師地論) vol. 8, and presents a tentative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of cipher kugyols inscribed in a part of that volume.

      • 사용성을 고려한 가정용 가습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이전미(Junmi Lee)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현대사회에 가전제품들은 사람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 중 가습기는 과거부터 공간의 습도를 조절해 사람들이 바이러스나 세균에 면역력이 좋게 만들어주고 수분이 필요한 모든 생물들에게 도움이 되는 제품이었다. 이런 가습기 제품은 다양한 종류로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가열식, 초음파식, 복합식, 자연식 네 가지 방식으로 습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가습기 살균제가 가습기가 사람의 건강을 도우는 제품이라는 인식에서 건강을 해치는 제품으로 변한 요인이 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는 먼지 및 세균 번식이 잘 일어나는 초음파 가습기 내부의 청소용으로 사용되어 왔었는데 사용하게 되면 원인 미상의 폐 손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사망자까지 나타나 큰 화두로 대두되자 사람들이 가습기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져 더 이상 구입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청소하기 편하게 디자인을 한다면 사람들이 가습기에 대한 인식도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해 자연식 가습기를 중심으로 가습기 조형성 및 은유적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the consumer products were made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people. Humidifier from the past to adjust the humidity of the space so people"s natural immunity to the virus or bacteria makes good. Also to all species of water needed was a product that will help. Humidifier to the various types of products on the market. Humidity control in four ways: heating, ultrasonic, combination, air washers. However, humidifier disinfectant change was recognized as unhealthy products. Humidifier disinfectant has been used in the cleaning of the humidifier inside because there are dust and bacteria breed well. If you used a humidifier disinfectant, you would increase the likelihood of lung injury of unknown cause. Deaths represented emerged as a big issue so people who have a bad image for the humidifier appearance do not have to buy anymore. Therefore, I want to design easier to clean the humidifier and you do not need to use a humidifier disinfectant. So, I find direction of development that air washers humidifiers considering formative and usability.

      • KCI등재

        ‘爲’자에 현토된 석독표기자와 그 해독

        이전경(Lee, Jeon-kyung) 구결학회 2012 구결연구 Vol.28 No.-

        ‘爲’는 그 의미가 다양하여 우리말로 번역될 때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한자이다. 여말 선초의 불경 중 음독구결 자료에 ‘爲’자에 약체 한자가 작은 글씨로 첨기되어 있는 자료들이 있다. 팬아시아 종이박물관 소장의 보물1153호 법화경과 연세대 중앙도서관 소장의 법화경 귀중본 647 및 능엄경 귀중본 622에 그러한 예가 나타난다. 사용된 글자들은 대체로 ‘三, ?, ?, 乍, 是/?, 當, 以, 寸’ 등이다. 이들은 ‘爲’자의 새김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三’은 석독구결에서 ‘爲’에 현토되는 것이다. 다른 글자들도 그 의미상 ‘爲’자와 관련된 것으로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이글에서 이들의 분포와 용법을 소개하고 이것이 석독구결의 한 종류로 연구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여 ‘爲’의 독법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려 한다. ‘爲’ is a chinese character that has discrete meanings, and thus even its Korean translations seem to reflect such discrete senses of the character. Out of the Eumdok-gugyeol materials of the Buddist scriptures writte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are found the documents that show small letters attached to the word ‘爲’. The Beophwa-Gyeong (Treasure n.1153) of Junju Hanji Musium and the Beophwa-Gyeong(guijungbon n.647) and Neungeom-Gyeong(guijungbon n. 622) of the Central Library of Yonsei University can be taken as examples. The small characters most frequently used are ‘三, ?, ?, 乍, 是/?, 當, 以, and 寸,’ and they seem meant to instruct the semantic readings(saegim) of the word ‘爲’. For example the character ‘三’ is attached to the word ‘爲’, in materials of Seokdok Gugyeol. And it is not hard to surmise that the rest of the characters should be somehow related to the word ‘爲’.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locations and usages of these characters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that these characters were employed as a way to indicate semantic readings which originated from Seokdok Gugyeol, and to offer a solution to reading ‘爲.’ Hopefully, this project that takes an in-depth and multidimensional investigation of one text will better illuminate the prevalent translation and learning methods utilize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