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들의 『老子』 이해와 번역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이재권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이 논문은 『노자』 원문과 그 주석서의 현대 한글 번역서에 대한 사료적 정리와 특히 한국 기독교인들의 『노자』에 대한 이해와 그들의 번역에 대하여 분석하고 정리한 것이다. 2장과 3장에서는 『노자』와 그 주석서의 한글 번역서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서지사항을 정리했다. 해방 이후 1980년대까지의 『노자』 번역은 대부분 한학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그 숫자도 많지 않다. 본격적인 번역은 1990년대부터 도가철학 전공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번역된 책의 종류를 분류하면 다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통행본 『노자』 번역, 지하에서 출토(발굴)된 『노자』 번역, 중국인의 『노자』주석서 번역, 현대 중국인들이 현대중국어(백화문)로 번역한 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한 것, 한국인의 『노자』주석서를 번역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4장에서는 현대 한국기독교인들의 『노자』이해와 한글 번역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유영모·함석헌·박영호·장일순·이현주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은 순수 한글 번역을 시도했다. 그들은 노자를 석가·예수와 함께 3대 성인으로 평가하며, 석가·예수·노자의 사상이 궁극적으로 일치한다고 이해했다. 5장에서는 이현주 목사가 번역한 초횡의 『노자익』번역서에 드러난 번역의 문제점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잘못 번역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밝혀, 이 책의 수정본 출간과 향후 다른 번역자들이 참고할 수 있게 하였다. 本論文分析整理了《老子》原文和其注釋書卽現代韓文版譯書史料,特別是韓國基督敎徒們對《老子》的理解和飜譯. 在第二章和第三章中整理了對《老子》和其注釋書的韓文版譯書的曆史考察和書誌事項. 解放後到1980年代對《老子》的飜譯大部分是由漢學家來完成,而且從事飜譯的人員也不多. 有規模的飜譯是在1990年代開始,是專業的道家哲學們完成的. 已經飜譯的書,按類可分爲以下五種:通行本《老子》、發掘出土的《老子》、中國的《老子》注釋書、現代中國的白話文《老子》、韓國的《老子》注釋書. 在第四章中考察了現代韓國基督敎徒們的對《老子》的理解和韓文飜譯. 其代表人物有劉永模、鹹錫憲、樸永浩、張壹淳、李賢周等,他們試圖要以全韓文來飜譯. 他們把老子、釋迦和耶蘇尊稱爲三大聖人,認爲釋迦·耶蘇·老子的思想終歸是一致的. 在第五章中集中分析了李賢周牧師的飜譯焦鐄的《老子翼》的譯書中存在的問題. 具體指出了飜譯有誤的部分,使得給此書的修訂本的出版,以及今後其他譯者們的飜譯提供了參考.

      • KCI등재
      • KCI등재

        노자철학에서 깨달은 사람의 욕망 해소 방법

        이재권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0 No.-

        사람은 생명을 가진 존재이므로 생물적 본능인 욕구(欲求/need)를 가지며, 이를충족하기 위해서 행동(行動/behavior)을 한다. 개체의 생명과 종족보존을 위하여본능적 욕구와 행동은 필요조건이므로 노자는 이에 대하여 긍정적이지만, 지나친욕구 충족은 비판하는데, 그에 관한 언급은 많지 않다. 이성적 존재인 인간은 정신적욕망(欲望/desire)과 이를 충족하기 위한 행위(行爲/action)를 한다. 노자는 인간사회의 많은 문제가 욕망과 행위 차원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욕망을 해결(解決)하기위하여 무리하게 억지로 하는 행위를 노자는 인위(人爲) 혹은 작위(作爲)라고 부르며, 이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한다. 노자철학의 궁극목표는 도를 깨달아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다. 노자는 도를 깨닫는 방법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했다. 노자가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한 도의 깨달음 방법은 무욕(無欲)과 과욕(寡慾) 그리고 무위(無爲)이다. 이것은 쾌락적 과욕(過慾)과금욕적 불욕(不欲)의 조화 혹은 균형이다. 무욕(無欲)은 금욕(禁慾)이 아니라 만족감을 유지하는 것이며, 욕망을 충족하거나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만족과 그침을 통해서 해소(解消)하는 것이다. 그러면 성인(聖人)이 되는데, 욕구와 욕망을 해소한 성인은 억지로 무리한 행위를 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행위 즉 무위(無爲)를 행한다. 그러면 세상의 모든 일이 저절로 잘 이루어진다.

      • KCI등재
      • KCI등재

        Sesamolin promotes cytolysis and migration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via dendritic cells

        이재권 대한약학회 2020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43 No.4

        The defense mechanism of the immune systemis based on the interaction of many kinds of leukocytes. Among them, dendritic cells (DCs) control most immuneresponses. In our previous study, sesamolin was shown tocreate an optimal environment for natural killer (NK) cellsto kill cancer cells. Here we attempted to demonstrate howsesamolin influences DCs to promote the killing and migrationactivity of NK cells. We co-cultured DCs and NK cellsand analyz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m. NK cellsco-cultured with 5 μg/ml sesamolin-treated mature dendriticcells (mDCs) had better cytolytic activity than did NK cellsor mDCs co-cultured NK cells. Moreover, the migration ofNK cells toward mDCs was enhanced compared to immaturedendritic cells (iDCs). The migration of NK cells stimulatedby mDCs was stronger after sesamolin activation ofthe mDCs. Al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samolinactivated NK cells by modulating the differentiationand activation of DCs.

      • KCI등재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위기와 대처 방안

        이재권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3

        This paper starts from a premise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a cri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a crisis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 solutions. At start, the root causes as to why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were analyzed by separating them into five types. First, can be cited would be the reason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ociety. The disorderly ideological mood of the modern society is manifested as apathy towar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advancements in the media have enabled easy access to the knowledge and news about the society, a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disadvantaged in terms of utilizing videos, is not able to attract the interest of students. Second,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the studies of diverse backgrounds. In practice, however, it is not able to achieve substantial integration either theoretically or realistically. Third, today’s students who lack vocabulary skills are losing interest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difficult social science terminology. Fourth,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due to the misstep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the over issuance of certification for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the curriculum autonomy of the principal’s authority, the reduction of social study research subjects in the student aptitude test, the intensive completion system,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etc. Fifth, the overly abstract curriculum general studies and the ambiguous course titles have contributed to the erosion of course identity. The fact tha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entered too much around the Western theories is also acting as a reason for being neglected by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solution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solutions are already included in the root cause analysis for the crisis. Additionally suggested in the proposed solution are, first, the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the learning of knowledge only, but also needs to strengthen humanistic approach such as character education. Second, in devising the problem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s, a writing test based on social science classics should be employed. This way, a foundation for the creative education that is being societally required today can be established. 이 논문은 현재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한국의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는 현대사회의 일반적 성격과 관련된 이유를 꼽을 수 있다. 현대사회의 탈 이념적 분위기가 (일반)사회교육에 대한 무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체의 발달로 사회에 대한 지식과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동영상 활용이 불리한 (일반)사회교육이 학생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일반)사회교육은 다양한 배경의 학문들을 통합한 통합교과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실질적인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어휘력이 부족한 오늘날 학생들은 어려운 사회과학 용어 때문에 교과에 대한 흥미를 잃고 있다. 넷째, 일반사회 교사자격증 남발, 학교장 권한의 교육과정 자율화, 수능에서 사탐과목의 축소, 집중이수제, 임용고사의 문제 등 교육행정의 잘못으로 (일반)사회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 다섯째, 지나치게 추상적인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목) 명칭의 애매함이 교과의 정체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한국 (일반)사회교육의 내용이 지나치게 서구의 이론 중심으로 짜여 있는 것도 학생들에게 외면당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의 해결 방안은 위기의 원인 분석에 들어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논자 나름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이 사회과학 지식의 학습에만 치중하지 말고 인성교육과 같은 인문학적 접근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임용고사 문제 출제에서 사회과학 고전에 바탕을 둔 논술 시험을 실시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오늘날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창의적 교육의 바탕이 마련될 수 있다.

      • KCI등재

        왕필의 무용론 - 체용론과 관련해서 -

        이재권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3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whether the so-called 'Wang Bi's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that has been discussed much in academia and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and can, indeed, be established. Many scholars argue that Wang Bi established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initially in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China. But, some scholars deny such a view. They argue that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as established by Geyi during the Jin Dynasty when Buddhism became established in China. The arguer agrees with the latter position. In this thesis, the central content criticizes the view that Wang Bi is the pioneer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presented and that proves the argument that Wang Bi is a person professing the theory of the uselessness. The core lines that the scholars have been referencing in order to prove Wang Bi's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are 'imuwibon', 'imuwiyong', and 'imuwiche'. The two initial terms are direct quotes by Wang Bi, while the latter phrase is a term devised by the researchers of Wang Bi. Scholars explain by bundling together the theory of uselessness, the theory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of Wang Bi. However, the 'body‘ Wang Bi talks about means not the main body but means the form. The meanings of the use, usefulness, and utility of the 'use' are stronger than the meanings of the action and the phenomenon of the 'use'. Hence, there are the differences with the meanings of the body and the use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is a theory (category) of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In Wang Bi's philosophy, the nothingness is the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is the usefulness. As in Wang Bi's philosophy,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does not become established, so it is a mistake to explain his theory of uselessness, theory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by bundling them together. An exception being that Wang Bi's philosophy can be interpreted in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was established later on. Wang Bi is not a person espousing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but a person maintaining the theory of uselessness. The argument by Chinese scholars arguing that Wang Bi is the pioneer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related to Chinese nationalism. They do not want to recognize that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ories (categories) of Chinese philosophy, was established by receiving the influences of a foreign ideology. In order to argue that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is an exclusive ideology of China, Wang Bi, who mentioned ‘the body’ and ‘the use’ often, is put forth as the pioneer of the theory of things and their functions. However, such an argument is farfetched without any feasibility. Wang Bi merely spoke about the body and the use. He did not, in fact, have any interest in the theory of the things and their functions. 이 논문의 내용은 학계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소위 ‘왕필의 체용론’이 과연 성립될 수 있는가를 따져본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왕필이 중국철학사에서 최초로 체용론을 수립했다고 주장하는데, 일부의 학자들은 이런 견해를 부정한다. 이들은 체용론이 불교가 중국에 정착하던 晉나라 때 격의불교에서 성립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논자는 후자의 입장에 동의한다. 이 논문은 왕필이 체용론의 선구자라는 견해를 비판하고, 無用論을 주장한 학자라는 것을 입증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학자들이 왕필의 체용론을 논증하기 위해서 거론하는 핵심 구절은 以無爲本, 以無爲用, 以無爲體이다. 앞의 두 구절은 왕필이 직접 한 말이고, 뒤의 한 구절은 왕필 연구자들이 지어낸 말이다. 학자들은 왕필의 유무론 및 본말론과 체용론을 함께 묶어서 설명을 한다. 그러나 왕필이 말하는 體는 본체가 아니라 형체라는 의미이고, 用은 작용이나 현상이라는 의미보다는 쓰임(유용·이용‧효용)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그러므로 불교나 신유학 이론인 체용론에서의 체‧용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왕필철학에서는 無가 본체이며 동시에 효용성을 갖고 있다. 왕필의 철학에서는 체용론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그의 유무론 및 본말론과 체용론을 함께 묶어서 설명하는 것은 잘못이다. 다만 뒷날 성립된 체용론의 관점으로 왕필의 철학을 (재)해석할 수는 있다. 왕필은 체용론자가 아니라 무용론자이다. 중국의 학자들이 왕필을 체용론의 선구자라고 주장하는 것은 중화민족주의와 관련이 있다. 그들은 중국철학에서 중요한 이론의 하나인 체용론이 외래사상인 불교의 영향을 받아서 성립됐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체용론이 중국의 고유사상임을 주장하기 위해서 체와 용을 많이 언급한 왕필을 체용론의 선구자로 몰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타당성이 없는 억지 논리이다. 왕필은 단순히 체와 용을 말했을 뿐, 정작 체용론에는 관심이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