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의 자치기본조례 주요내용 및 시사점

        이자성 경남발전연구원 2012 경남정책 Brief Vol.- No.-

        ○자치기본조례란 명확한 정의 및 위상정립이 공론화 된 것은 아니지만, 일본 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의 자치에 관한 기본이념 및 원칙, 공적의무의 수행주체, 주체별 역할 분담, 기본원리와 절차를 규정한 조례’로서 자치법 체계 내의 개별조례의 최고 상위에 위치한다는 관점에서 여타 조례의 책정지침 및 해석지침의 위상을 갖고 있음 ○일본의 자치기본조례 배경은 지방분권 일괄법의 시행에 따라 지방의 역할분담 및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시정촌 통합에 따른 지역 주민의 일체감 형성 및 지역주민간 공동으로 지역문제해결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의식에서 2000년 북해도의 니세코정이 최초로 조례를 제정한 이후 전국적으로 조례제정이 확산되었음 ○일본 자치기본조례의 사례로 북해도 니세코 정(北海道ニセコ町), 동경도 신주쿠구(東京都新宿?),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神奈川?川崎市), 가나가와현 (神奈川?)의 자치기본조례 내용 및 특징을 검토하였음 ○니세코정의 특징은 정보공유의 중요성, 정민의 참가 및 다른 주체와의 연계?협력, 조례검토 및 개정 등 이고, 신주쿠구의 특징은 최고 규범의 법적 위상 , 지역 자치의 명시화, 조례의 재검토 등 이며, 가와사키시의 특징은 최고 규범의 조례위상,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 및 구민참가 조직화 등임. 마지막으로 가나가와현은 조례존중 의무명시, 시정촌 참여 및 역할분담 명시, 구성주체 간 역할 및 책무 , 민간과 연계 협력 강조 등임 ○이들 조례의 핵심 구성요소는 첫째 , 전문 및 최고 규범의 위상, 둘째 , 정보의 중요성, 셋째, 참가방법 및 주민조직화의 명시 , 넷째 , 구성주체의 권한과 책무, 다섯째, 기본 운영방침 명시, 여섯째, 국가, 다른 자치단체, 관계기관, 국제 사회 등과의 연계ㆍ협력 명시, 일곱째, 조례의 재검토 및 개정 등이 있음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자치와 참여에 관한 지침적 성격의 조례 마련, 둘째, 자치단체가 지향할 기본원칙 및 방향에 대한 합의 도출, 셋째, 경상남도 자치 기본조례안의 작성 및 의견수렴, 넷째 자치기본조례의 실효성을 위한 조례간 정합성 검토 등을 제시 하였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청렴정책 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

        이자성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청렴정책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기초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독립변수로 제도적 요인, 개인인식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로는 청렴정책에 효과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경상남도 도민과 공무원 총 2,196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청렴도, 청렴노력 정도, 청렴정책 효과 등에서 도민과 공무원간 인식격차가 나타났고, 회귀분석 실시 결과 청렴정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도적 요인, 개인인식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정책적 함의는 첫째, 자치단체 청렴에 대한 도민과 공무원간 인식격차 해소 노력, 둘째, 지역사회 청렴문화 교육 및 인식전환 노력, 셋째, 공직사회 부패행위에 대한 처벌 및 내부고발시스템의 실효성 강화. 넷째, 고위공직자의 청렴도 및 공직윤리 교육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mpirically compared with civilians and public officials about integrity perception and deducted factors that affect the integrity policy promotion in Gyeongsangnam-do. In this cas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systematic factor, personal cognition factor, social-cultur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hange through the integrity policy which is reducing of accepting bribe, fairness of duty process, reducing of seizure etc. According to an analysis of result, civilians perceived negatively than public officials about integrity degree, integrity exertions degree, integrity policy effects. Regression analysis result deducted by influential factors for Integrity policy promotion were systematic factor, personal cognition factor and social-cultural factor. Through the results, we should suggest four points ; first, to reduce perception differential about integrity both civilians and public officials, second, to educate and reinforced about integrity perception on local community, third, to impose a heavy penalty on public official's corruption and to reinforce whistle-blowing system in local government, fourth, to strengthen integrity education to senior public official.

      • KCI등재후보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개인정보보호제도와 법적 통제에 관한 고찰: 개인정보보호조례를 중심으로

        이자성 대한지방자치학회 2007 한국지방자치연구 Vol.9 No.3

        개인정보의 가치가 증대됨에 따라 개인정보 침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정보프라이버시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규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컴퓨터로 처리되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적 규제를 수행하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조례 제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이 개정된 점,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누출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조만간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조례 제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 상된다. 이에 일찍이 개인정보보호조례를 제정 및 운영하고 있는 일본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조례 제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Riley의 정보관리의 통제이론에 기초하여 조례내용을 사전통제, 운영통제, 가부통제, 사후통제로 구분한 뒤 일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일본사례의 자료로는 일본 내각부가 2006년 조사한 개인정보보호 시행상황 보고서의 자료(2005.4.1~2006.3.31)를 기초로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개인정보보호조례의 경우 사전통제 및 운영통제가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주로 개인정보보호 환경의 구축 및 개인정보 관리에 대한 통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전통제에는 개인정보의 대상, 분류, 교육 등이 포함되고, 운영 통제에는 개인정보 주기별 관리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규제 내용 중 개인정보보호 교육 및 민간사업자의 관리 규정 등은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조례 제정시 고려할 만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사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자치단체에게 개인정보보호 환경구축, 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의 연계, CIO의 관심 및 교육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