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이은하,Lee, Eun-Ha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6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4 No.1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in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 values.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184 nursing studen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20.0 Results. Average score f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as $2.92{\pm}.16$ and tha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was $3.61{\pm}.34$. Among the sub-areas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right to life of newborn was highest. In addition, among the sub-area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The roles of nursing service was highe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 values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to encourage nursing professional values.

      • 다세대 지분 쪼개기-제한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해야

        이은하,Lee, Eun-Ha 한국주택협회 2008 주택과 사람들 Vol.217 No.-

        단독주택을 8-10가구의 다세대 주택으로 용도를 바꾸는 '지분 쪼개기' 때문에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곳곳에서 다세대 주택 신축 붐이 일고 있다. 서울시가 무분별한 지분 쪼개기를 막기 위해 가구당 전용 면적 $60m^2$ 미만 주택은 입주권을 주지 않고 돈으로 청산하는 방식으로 규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다세대나 빌라 신축 공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게다가 조례를 개정하는 7월 전까지 건축 허가를 받으면 면적에 상관없이 입주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노린 막판 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인의 흡연과 사망 위험에 관한 코호트 연구

        이은하,박수경,고광필,조인성,장성훈,신해림,강대희,유근영,Lee, Eun-Ha,Park, Sue-K.,Ko, Kwang-Pil,Cho, In-Seong,Chang, Soung-Hoon,Shin, Hai-Rim,Kang, Dae-Hee,Yoo, Keun-Young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total mortality, cancer mortality and other disease mortalities in Korean adults. Methods: A total of 14 161 subjects of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who were over 40 years of age and who were cancer-free at baseline enrollment reported their lifestyle factors, including the smoking statu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6.6 years. During the follow-up period from 1993 to 2005, we identified 1159 cases of mortality, including 260 cancer mortality cases with a total of 91 987 person-years, by the national death certificat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hazard ratio (HR) of cigarette smoking for total mortality, cancer mortality and disease-specific mortality, as adjusted for age, gender, the geographic area and year of enrollment, the alcohol consumption status, the education level and the body mass index (BMI). Results: Cigarette smo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otal mortality, all-cancer mortality and lung cancer mortality (p-trend, < 0.01, <0.01, <0.01, respectively). Compared to non-smoking, current smokers were at a higher risk for mortality [HR (95% CI)=1.3 (1.1 - 1.5) for total mortality; HR (95% CI)=1.6 (1.1 -2.2) for all-cancer mortality; HR (95% CI)=3.9 (1.9-7.7) for lung cancer mortality]. Conclusions: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cigarette smoking might be associated with total mortality, all-cancer mortality and especially lung cancer mortality among Korean adults.

      • KCI등재

        조선후기 화조화의 形寫性

        이은하(Lee, Eun H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동아시아 보편의 회화 창작 원리를 따르면서도 새의 묘사나, 화면의 공간 구현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발현된 조선후기 형사적 문인화풍 화조화의 제작 배경 및 양식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 문인화풍 화조화는 화보풍의 구도와 수묵을 위주로 한 조선중기의 양식 및 명, 청대 화보의 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조를 정밀한 묘사와 채색을 통한 사생적 기법으로 표현하거나 조선의 진경적 요소를 반영한 화면을 구성하는 등 중기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회화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조선후기 문인들의 관물인식과 더불어 형사적 회화관이 창작의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면서, 화조화에서도 실제와 같은 생동감과 현장감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작용되었던 결과로 보인다. 사물의 眞形, 眞色을 드러낸다는 의미로 문인들에게 인정받은 조선후기의 형사적 회화관은 산수, 인물, 화조 등 다양한 회화 분야에서 창작의 근본 개념으로 인정되었다. 후기의 문인화풍 화조화에서 추구된 형사적 표현은 정밀한 묘사와 채색으로 그림의 중심소재인 새를 표현하는 방식과, 화조의 조응관계와 구도 등 화면의 구성을 실제 조선의 정경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두 방식 모두 소재와 공간의 사실성을 통해 그림의 생동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문인들이 주장한 형사, 사진 등의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물사진을 통해 생동감 있는 그림을 추구한 문인화가 조영석의 화조화에 드러나는 정밀한 묘사와 진채의 사생적 화조표현은 최북, 변상벽 등의 화조화로 이어졌다. 이들은 화보에서 기본적인 구도를 차용하되, 새의 묘사는 채색공필의 기법을 토대로 하여 사실적이고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특히 변상벽이 닭 그림에서 구사한 극사실주의적인 사생기법은 당대 문인들의 호평과 관심 속에서 조선후기 새로운 회화사조로서의 입지를 구축하였다. 김홍도의 개성과 특색이 가장 잘 드러난 ≪병진년화첩≫의 화조화들은 생략적인 필묵과 채색의 강약, 뛰어난 구도감각과 여백의 운용을 통해 조선의 자연과 화조가 어울리는 생동감 있는 화면을 연출하였다. 그의 화조화들은 조선후기 회화적 배경을 토대로 문인화풍 화조화에 야기된 형사적 양상과 함께 가장 한국적인 화조화 양식과 미감을 보여주고 있다.

      • KCI우수등재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부부의 자녀, 배우자, 자신에 대한 삶의 탐색

        이은하(Eun Ha Lee),견주연(Ju Youn Kyun)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in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perceive the lives of their spouses as well as their own, and the ways in which they perceiv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mplicit meanings at work in the lives of international married famil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from rural areas and the data were gathered by means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ccording to the findings,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perceive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in terms of individual-specific maternal roles versus the Korean culturally-specific paternal roles. Secondly, in terms of their spouse` life, husbands relied more on their wives and had high expectations of them. On the other hand, wives had the tendency to pay more attention and place more hope on their children rather than their husbands. Lastly, regarding their own liv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wives tended to maintain the hope and desire for a better life, whereas the husbands were unable to adapted to their reality and tended to look back on the past.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학습 신념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이은하 ( Lee Eun H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신념 요인이 한국어 습득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어떠한 신념 요인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Horwitz(1987)가 개발한 BALLI(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의 설문지를 기반으로 KSL 환경의 다양한 국적의 결혼이민자 216명을 조사했다. BALLI는 총 33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의사소통 능력은 10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였다.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이 의사소통 신장에 미치는 촉진인자 신념(facilitating beliefs)과 저해요인 신념(inhibiting beliefs)을 규명하고, 한국어 학습 신념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언어 학습 신념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습 신념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언어 학습 동기, 언어 학습 어려움, 외국어 적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한국어 학습을 저해하는 신념체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신념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교수 방법과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참여자인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어 학습에 관한 자신의 신념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민자들이 가진 학습 신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어 학습과 한국어 교수법 향상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결혼이민자들이 지닌 한국어 학습 신념이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는데 학습자들의 학습 신념을 높여 주고, 다양한 변인들과 의사소통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습득에 있어서 학습 신념 이론 및 결혼이민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관련된 한국어 교육의 후속 연구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unique belief factors possessed by marriage immigrants on overall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to analyze which belief factors can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BALLI) developed by Horwitz (1987), this paper investigated 216 marriage immigrants of various nationalities in the KSL environment. The BALLI consists of a total of 33 question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identified using a 10-item questionnaire. This paper used SPSS 25.0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ilitating beliefs and inhibiting beliefs of marriage immigrants' Korean learning on communication growth, and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eliefs on communication ability. Overall, language learn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and learn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in the order of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language learning difficulties, and foreign language ap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s can design lessons to minimize the belief system that hinders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use it to develop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programs to maximize the beliefs that promote learning. Marriage immigrants who are participants in the study can be expected to lea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 by accurately recognizing their beliefs about learning Korean and using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beliefs of marriage immigrant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learning Korean and improving Korean teaching methods. I analyzed how marriage immigrants' beliefs on learning Korean affect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it raised learners' beliefs on learning.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and communication ability m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follow-up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he theory of beliefs in acquiring Korean an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marriage immigrants.

      • 초등 영어 교사의 역할극에 대한 인식

        이은하(Eun Ha Lee)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敎科敎育硏究 Vol.36 No.1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는 어린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영어권 세계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며 더 나아가 국제적으로 소통되는 영어로서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 있다.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 역할극은 가상적 인 삶의 공간을 통해 실제 일어나는 삶의 환경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직접 체험하고 사용함으로서 영어를 익히고 배울 수 있는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역할극을 사용할 때, 일반적인 교수·학습지도에 비해 학생의 참여도와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단순한 영어의 단어가 아닌 각자의 역할에 어울리는 말과 행동이 함께 어우러짐으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역할극이 초등영어 목표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인식되어지고 그 시행 정도도 갈수록 확장 되어질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G 지역 현직 교사 47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역할극의 전반적인 지도 실태 결과 많은 수의 교사들이 역할극에 대한 사전지식을 가지고 역할극을 직접 지도 해본 경험이 있으나, 실제 지도에 있어서는 이와는 별개로 교사의 인식 및 제반 사항의 부족으로 역할극을 통한 효과적인 영어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지도함에 있어서 드러나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역할극 지도가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및 흥미 유발,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실제 수업 실시 후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 언어의 영역별 향상 정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역할극의 교육적 유용성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역할극 지도를 위해 사전에 교재 연구를 하는 편이나 교사용 지도서에 역할극 지도 방법의 안내가 충분하지 않아 수업을 위한 더욱 체계적인 지도 요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aiding the formation of guidelines to develop role play and how to use it by researching how it is used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and teachers perception of i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 Many teachers have insufficient information to lead a role play and lack in teaching materials, which reduce its effect. Post-evaluations and feedback processes lacked and most role plays fell short of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eaching aids as guidelines to cultural factors. Most teachers, however, have positive view such as students’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English expressions and speech skill, creating their interest, and it is considered as useful at school, as the result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in four linguistic areas. * Teachers commonly preferred to English role play, but felt great difficulty in actual lesson. In fact, many teachers favored to delay role play until the 6th grade. Otherwise, as teachers’ manual lacked enough guidance for it, they had difficulty in its preparation. An effective role play requires preparation for educational and financial measures ASAP. For efficient role play lesson, frequent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manage a role play program must be prepared sufficiently, the focus must be on improving all skills in four linguistic areas in role plays, and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on relevant activities must be implemented.

      • KCI등재

        환상, 억압된 심리적 실체의 복원

        이은하 ( Eun Ha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문학에서 환상은 비실재적인 것을 설득력 있게 구상·발전시킴으로써 인물의 내면세계를 의미화 하는 것으로, 억압된 욕망을 복원·인식하려는 독특한 방식의 기법이다. 이준연의 동화「지워지지 않는 일기」,「인형이 가져 온 편지」에 나타난 환상은 인간의 욕망을 가시화하는 방식으로 심리적 실체를 형상화한다. 개성적 인물의 행동으로 독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독자를 인물의 정서와 인성에 휘말리게 하며, 해결해야할 문제 혹은 수수께끼를 제기한다. 문제 해결과 수수께끼는 바로 일기와 꿈이라는 환상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며 그 해독 과정을 통해 궁금증이 해소된다. 인물의 충동적 행동은 갈등을 심화·확장시키고 그로 인한 불안 심리와 죄의식이 ‘일기(문학)’와 ‘꿈’이라는 환상을 통해 역동적 힘을 발휘 한다. 현실 이면의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꿈은 작가에 의해 정교하게 변용되어 인물의 억압·은폐된 욕망을 구체화하면서 사건을 흥미롭게 만든다. 「지워지지 않는 일기」가 한 인물(인간)의 현실을 중심으로 꿈과 일기를 통해 욕망을 표출했다면,「인형이 가져 온 편지」는 무생물의 환상세계를 중심으로 인물(인간)의 내면을 보다 구체화·복합화 한다. 환유적 대체물인 무생물과 현실적 인물의 교차·대비, 초자연적 인물의 마법적 환상, 분신 모티프가 주체에 안착하는 여정을 통해 인물의 문제적 현실과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생생하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현실로부터 도피·소외·배제되어 가는 문제를 드러낸다. 환상을 통해 욕망을 복원함으로써 이를 객관적으로 보고 주관적 세계와 객관적 세계를 분별할 수 있게 한다. 작품에서 위반과 전복의 환상은 현실과 소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작가의 주제의식을 내포하며 질서, 체계, 권위가 변형된 세계로 성찰과 교정의 기능을 한다. 조화와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치유와 소통의 장(場)으로서 성격의 안정화를 이루는 핵심이 된다. In children`s story of Lee Junyeon, fantasy is the technique showing unstable psychology of character and recovering suppressed desire by strange form. Through the fantasy of「Indelible diary」and「Letter brought by dol l」, uneasiness and sense of guilt are shown by diary, letter, dream and inanimate world and dynamic power is displayed while tension is deepened. The process that exchange of inanimate object, metonymic alternative, and realistic character, spell of supernatural character and alter ego motif approach the subject expresses abnormal realities of character and unstable psychology vividly. Also, it shows the problems of escape· neglect·exclusion from realities to fantasy. Lee Junyeon recovers satisfaction of concealed·suppressed desire through the fantasy and induces stability of personality so that character can recover harmony and balance. Fantasy is changed reality and plays functions that escaped·neglected·excluded psychology is treated and correction is done for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어 규칙 용언과 불규칙 용언의 처리기제

        이은하(Lee, Eun-ha),이선진(Lee, Sun-jin),김영주(Kim, Young-joo)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본 연구는 한국어 규칙‧불규칙 용언이 어떤 과정을 통해 처리되는가 ― 단일기제 모형을 따르는지, 아니면 이중기제 모형을 따르는지 ― 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모어 화자 90명에게 점화 지속시간이 43ms 또는 230ms인 시각적 차폐점화 어휘판단 과제와 교차양상 점화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여 다양한 언어적 조건에서 규칙 활용형과 불규칙 활용형의 촉진적 점화효과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했다. 용언의 유형은 활용 시 어간/어미의 변화 양상에 따라 불변화 규칙, 발음변화 규칙, 철자변화 규칙, 어간변화 불규칙, 어미변화 불규칙 그리고 어간‧어미변화 불규칙, 총 6가지였다. 실험 결과, 점화가 230ms 동안 제시된 차폐점화 조건과 점화가 음성을 통해 제시된 교차양상 점화 조건에서는 용언의 유형에 관계없이 규칙 활용형과 불규칙 활용형 모두 후속 표적 용언의 처리를 촉진함으로써 단일기제 모형을 지지했다. 그리고 불규칙 활용형 중에서도 어간/어미의 철자적 변형이 상대적으로 적은 용언 유형이 그렇지 않은 용언 유형보다 더 강한 촉진적 점화효과를 나타냈다. 어간/어미의 철자적 변화가 큰 불규칙 활용형의 경우, 활용형 표적 어간의 빈도가 낮을수록 촉진적 점화효과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심리언어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한국어 규칙‧불규칙 용언의 처리기제를 입체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at examining the way regularly and irregularly inflected forms of Korean verbs are processed: whether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regular and irregular verb forms can be accounted for by a single representational mechanism or a dual mechanism account required. The patterns of facilitation on present tense verb targets were examined in three experiments. 90 participants who are Korean native speakers performed two lexical decision tasks with either a masked visual prime presented during 43ms (Experiment 1) or 230ms (Experiment 2) or an auditory prime (Experiment 3). Priming for six different types of verbal inflections were compared: regular verbs with no orthographical or phonological changes, regular verbs with only phonological changes to their stem, regular verbs with only orthographical changes, irregular verbs with their stem omitted or alternated, irregular verbs with changes in their endings and irregular verbs with changes in both their stem and endings. The findings revealed that when a prime was presented during 230ms visually and cross-modally before the target, it was showed that both regular and irregular inflections in Korean verbs facilitated the target latency, which posits hypotheses of the single mechanism account. In additions, orthographically more related words showed greater facilitation than orthographically less related words. The present study has implications as the first psycholiguistic attempt where various modalities of a prime were employed in primed lexical decision tasks and their results were compared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