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大訥 盧相益의 亡命 意義 硏究 ―獨立有功者 指定과 관련하여―
이은영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This paper studies one of the persons who are treted in my thesis which was for exile Korean confusian intellectuals'general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20th century. So, I make clear that this paper studies based on writings about Sang-Iik Noh(盧相益), pen name: Daenool大訥, (1849~1941) who is one of my thesis' persons. Daenool was in government service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Due to the refusal of a Royal Bounty he has been jailed several times by Japanese government before and after the Gyeongsul Gukchi(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He lived under surveillance by Japanese government after released from prison. At the end of the 1911 year Daenool who was more than 60 years old went into exile while avoiding surveillance just for avoiding Japanese people. As leaving many writings, he exposed Anti-Japanese spirit as his best resistance to Japan. After 1919, when his younger brother Sang-Jik Noh(pen name: Sonool小訥, 1855~1931) was imprisoned because of his signature on the Paris Jangseo, Daenool lived a life not free even more than before. Being pointed one who is related to war chest, he waived exile which continued more than 11 years and returned to Korea in 1922. After that, Daenool confined himself at home to cut off the world until to his death. This is one of the methods of resistance too to sever Japanese government. Despite he returned to Korea, his anti-Japanese spirit revealed by many writings, books and papers of Japanese 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other independence movement different from the other actions by Independence patriots. This is why Daenool deserves acknowledge as independence patriot. 이 논문은 본인의 학위논문 이은영, 「20世紀 初 儒敎知識人의 亡命과 漢文學―西間島 亡命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이 20세기 초 망명 유교지식인들의 전반적인 한문학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당시 망명한 유교지식인을 개별적으로 서술하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된 논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학위논문 가운데 연구 대상자 중 한 사람인 大訥 盧相益(1849~1941) 관련 서술을 기저로 연구된 논문임을 앞서 밝혀둔다. 대눌은 구한말 관료 출신으로, 경술국치 전후 은사금 거부 등으로 일제에 의해 수차례 투옥된 일이 있다. 감옥에서 풀려난 후 일제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어 감시를 받으며 살던 대눌은 1911년 말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망명을 떠났다. 대눌이 환갑을 넘긴 나이로 망명을 떠난 이유는 한마디로 일본인을 피해서였다. 자신의 나이에 할 수 있는 일제에 대한 최고의 저항으로 망명을 떠난 대눌은 망명지에서 수많은 저술을 남기면서 항일정신을 드러내었다. 망명지에서도 끊임없이 일제의 감시를 받으며 살던 대눌은 1919년 동생 小訥 盧相稷(1855~1931)이 파리장서에 서명한 일로 구금된 후, 더더욱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았다. 그러던 1922년 군자금 모집 관련 인물로 지목되면서 대눌은 만 11년이 넘는 망명생활을 접고 급히 환국하였다. 그 후 대눌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두문불출하며 세상과 단절하며 살았다. 이는 대눌이 일제와의 단절을 꾀하기 위해 선택한 또 하나의 저항의식인 것이다. 대눌은 중간에 망명생활을 접고 환국하였지만 그가 망명지에서 남긴 수많은 작품과 저술, 그리고 일제의 문건들을 통해서 드러난 대눌의 항일정신은 다른 독립유공자들이 행동으로 보여준 독립운동과는 또 다른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눌 또한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아 마땅하다고 하겠다.
개인정보보호규제의 기회비용 및 국내법 개정을 위한 제언 - 금융부문 개인정보보호규제를 중심으로 -
이은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4 No.3
본 논문은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및 배포와 관련된 법률적 근거-특히 정보이용 동의 절차 관련 조항-를 국가별로 비교하고, 제도적 차이로 인한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국내 개인정보보호규제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특히 금융부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미국, 유럽의 규제를 국내 규제 및 제도와 비교한 결과, 국가별로 정보 프라이버시의 보호 수준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정보의 시장가치를 계량화하거나 정보의 공개수준에 대한 주관적 허용 수준을 측정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금융부문에 있어 이러한 규제 수준의 차이가 개인정보가공업의 발달수준, 신용리스크 및 보험요율 산출의 정확성 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시장조사 결과, 일정 혜택이 보장되는 조건일 경우, 개인의 정보공개 의사도 상당 수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국내 개인정보보호규제의 개정 및 일반법 제정 방향에 있어 규제의 편익과 함께 정보이용을 통한 부가가치의 상실이라는 기회비용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timulate a discussion on information privacy issues in the area of finance industry as well as the privacy regulations in general. First, statutory grounds for the collection, use and disse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emphasis on the opt-in and opt-out consent procedure, were compared across three different regimes. The comparison of the U.S., the E.U, and Korean systems reveal that different ‘levels’ of privacy protection exist. Secondly,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the different levels of privacy protection, past research quantifying the market value of information or subjective acceptance level of information exposure is introduced. Based on these results, a need for a more balanced view that takes into account the opportunity cost, as well as the benefit, of the privacy regulation is emphasized. The need for a general law incorporating both off- and on-line personal information is also proposed.
유방절제술 환자의 배우자 지지, 자아존중감 및 사회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은영,김정남,Lee, Eun-Young,Kim, Chung-Nam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9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alleviation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patients in mastectomy after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ouse support, self esteem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tudy subjects were 83 postmastectomy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Taegu city from September 10, 1997 to October 16 1997. Data was collected by researcher and face 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Nam's spouse support scale(1987), Rosenberg's self esteem instrument (1965), Derogatis' Psychosocial Adjustment to Illness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 -test and ANOVA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spouse support of the subjects was 3.73, self esteem was 3.69 and psychosocial adjustment was 3.61points. 2. According to the patient's hope of breast reconstruction(t=2.04, p=0.044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 esteem. According to the patient's family number( t = 2.31, p = 0.0237),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sychosocial adjustment. 3.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self estee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r= 0.5120, p=0.0001).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r=0.4187, p=0.0001). Perceived self esteem and psychosocial adjus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r = 0.6296, p=0.0001). Therefore, to increase the level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patients in mastectomy, it will be effective to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by improving spouse support and enhancing self esteem.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4세 유아의 인성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은영,김영실,최진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se of folk tales containing elements of personality and theory of mind in discussions affect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theory of mind of four-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objects are four-year-old children, who belong to two daycare centers. Both are located in G city. The research o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that consists of seventeen children from A daycare center and controlled group of seventeen children from B daycare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has been participatng in discussions using folk tales two times a week for nine weeks. Discussions include predicting contents, listening to fairy tales, Feeling the characters' status, knowing status of characters’ minds, identifying problems, assessment on activities at levels. This study reveals that discussions using folk tales are effective for developing personalities and theory of mind of four-year-old children.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discussions using folk tales can be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for children education.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 및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인성 및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34명으로 실험집단 17명의 유아들에게 한 주 2회씩 9주 동안 총 18회기의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였다. 토의활동은 내용 예측하기 및 동화듣기, 전래동화 속 문제 상황 알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알아보기, 문제 해결과정 및 결과 토의하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느끼기, 활동 평가하기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인성발달과 마음이론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인성 및 마음이론 발달에 효과적이며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유아교육 현장에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만성 조현병 환자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해 용인 정서관리 훈련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
이은영,진명자,김영운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4
We reviewed existing studies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on the sustainability of short-term effects, and of the Yongin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Y-EMT). In this study, we conducted Y-EM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relation to affective disorders associated with chronic schizophrenia. Thirty-fiv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to the control group. First, results of repeated-measures analysis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Y-EMT. Comparisons of the results on the pre-test with those for the 5-month and 1-year post-training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urthermore, these differences persisted at the 2-year follow-up.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teractions between emotional behavior and expression, self-efficacy, and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significant effects at 5 months after the program ended, and these effects continued to increase up to 1 year post-training. Taken together, the findings indicate that, to maintain the effects of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should undergo Y-EMT along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Human relations training such as Y-EMT is most helpful for rehabilitation when it is paired with high levels of medication.
間島地域 亡命者들의 文集現況과 特徵 - 을사늑약에서 3・1운동 직후를 중심으로 -
이은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This paper is about the common characters and the current state of books written by refugees who left to Gando at the early tim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ould be many sentences and books left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as the refugees are considered as intellectual at that time. Among the many refugees gone to Gando, there are not many confirmed refugees now. Furthermore, only 54 books are left to be known as their legacy which makes them rare. One of the refugees to Gando, Dae-nool Noh, Sang-ik left his books to descendents made them unreleased state. This suggests that other many unknown books should be exist and make Academia find other books written by refugees actively. The common characters of almost every books written by refugees to Gadno are also studied. About their appearances, 5 points including that their writers are almost separatists and that they are counted duplicating the number of them with the books already counted in other places like Young- nam, Ho-nam are revealed. 9 points about their inner characters including that their freindship over schools or factions and that they treated many families and the cultural literatures are revealed. As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characters and current state of books of refugees to Gando, it has own meaning that it established the base data about the refuge of culture to amplify the study to refugees' personal life and refuge culture of every place of Gando.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초 간도지역으로 망명을 떠난 망명자들의 문집현황과 그들 문집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간도지역으로 망명을 떠난 망명자들은 당대 지식인들이었던 만큼 그들은 망명지에서도 평생 익힌 한문으로 많은 글들을 남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간도지역 망명자들의 숫자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망명자로 확인된 인물들은 그리 많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세상에 공개된 그들의 문집은 현시점 기준으로 55개 문집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이는 그들 문집이 희귀본임을 뜻한다. 그리고 간도지역 망명자 중 한 사람인 大訥 盧相益이 남긴 많은 문집들이 그동안 간행되지 않은 채 후손이 소장하고 있어 세상에 대부분 미공개 상태로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공개되지 않은 문집도 적지 않을 것임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이는 학계에서 적극적으로 망명자 문집 발굴에 나설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 간도지역 망명자들 문집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면적 특징은 영호남 등 다른 지역 문집 현황과 중복 집계 된다는 사실을 비롯해 남겨진 문집의 저자가 대부분 독립유공자들이라는 점 등 다섯 가지가 드러났다. 내용상 특징은 흥성했던 조선의 典章文物이나 疆域 및 가문에 대한 내용이 많다는 사실을 비롯해 학파와 당파를 넘어선 교유가 이루어진 점 등 아홉 가지가 드러났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간도지역 망명자들의 문집현황과 특징은 간도 망명자들 개개인에 대한 연구 지평은 물론, 간도 전 지역을 아우르는 망명 문학의 연구 지평으로 확대될 기초 자료를 확립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8 No.-
Assessments for the reality recognition shown on Goh Jung-hee's poems a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later poems.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explain the communal recondition for her poetic world. For this reason, this study will attempt to clarify the fact that her poetic changes are consistent with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for community. To explore Goh Jung-hee's poem, this work explains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of her poem by utilizing "Jean-Luc Nancy"s communalism theory. The individual subject assumes oneself as the only one, but the individual notices one's finitude and realizes the impossibility which one cannot exist as a separated individual. Therefore the individual moves to others. The existences shown on Jean-Luc's poem are the meeting and the contact for each others which is within the relation of ours. The Jean-Luc's community is the aspect of sharing, that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and communal configuration between human beings. Goh Jung-hee's poems, which are written from 70's to 90's, aim at communal things. Her poems describe the situation of community with showing communal recognition steadily. Her early period poems show our despair and passivism which is lack of concreteness, but her mid period works criticize the aspect that communal things become objectification and are promoted to absolute things. At the same time, she tried to change the reality that lies on the oppression and restriction. She accepts the external thing and faces it. Those aspects is developed to shake the existing order in the point of view of the strong criticism for reality and to try to overcome the present and dominance of the closed sameness. It is the pursuit for an open community for others and exposition of co-existence. 고정희 시에 나타나는 현실인식에 대한 평가는 주로 후기시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그의 시세계 전반의 공동체적 인식을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고정희의 시의 변모가 공동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그의 시적 변모를 입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고정희의 시 전반을 탐색하기 위해 장-뤽 낭시의 공동체 이론으로 고정희 시의 바탕에 놓인 공동체적 성격을 밝힌다. 개인인 주체는 자신을 유일한 존재로 가정하지만 유한성을 깨닫게 됨에 따라 존재는 분리된 개인으로 존속할 수 없다는 불가능성을 의식한다. 그리고 타자로 향하는 움직임 가운데 있게 된다. 장-뤽 낭시가 말하는 ‘우리’의 존재의 수행은 ‘우리’의 관계 내에서 서로를 향한 실존들의 만남과 접촉이다. 장-뤽 낭시가 상정하는 공동체는 우리의 실존의 나눔의 양태, 즉 인간들 사이의 소통과 공동체 구성의 근거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쓰여진 고정희의 시는 공동의 것을 지향한다. 공동체적 인식을 꾸준히 나타내며, 공동체가 처한 상황을 그려나간다. 초기시에서 구체성이 결여된 ‘우리들’은 절망과 수동성을 드러낸다. 하지만 중기시에서는 종교에 대한 폭로적인 언술로 공동의 것이 대상화되고 절대적인 것으로 승격되는 양상을 비판한다. 동시에 억압과 구속에 놓여있는 현실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외부를 받아들이고 마주하는 것이다. 그러한 양상은 후기시에서 강렬한 현실 비판의 시각으로 기존의 질서를 흔들며, 현재를 극복하고 폐쇄적인 동일성의 지배를 극복해나가려 한다. 그것은 타자성에 열린 공동체, 함께 있음의 외존을 향해가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