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화를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이윤옥(Lee Yeu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로 실험집단에 62명, 통제집단에 64명을 배정하여 사전ㆍ사후검사를 하였고, 검사도구는 이영자 외2인(1999)이 개발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구성한 명화를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활동과 연관활동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명화를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활동 과정은 문제의 이해와 표상, 전략의 선택 및 계획, 전략의 수행, 해결전략의 평가과정을 다섯 단계의 절차로 세분화시켜 구성한 발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정서지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명화를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적용한 교육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on young children'sㆍEmotional Intelligence. Topics studies with special emphasi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upon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2. Are there any differences the effect of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opposite sex? The object of this study had been set on the one hundred twenty-six 5-year old children who are members of E and H kindergartens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aught by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once a week during the span of the total twelve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s were taught by the topic approach. In order to find if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 for Young Children(l999)」, that had been developed by Young Ja LeeㆍJong Sook LeeㆍEun Soo Shin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SPSS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Meaningful result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produced by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2.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e effect of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opposite sex was found. By this study, the brainstorming activity using masterpieces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타당도 분석

        이윤옥(Yun-Ou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본 연구는 이윤옥(2008)의 연구에서 추출한 7개요인 33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를 중학생을 대상으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전국의 남녀 중학생 1,20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한 후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본 검사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본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다(GFI=.913, CFI=,919, PMR=.048, TLI=.910). 또한 본 검사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 중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 자율학습 효율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r=.67), 본 검사와 자율학습효율성간(r=.65)에도 정적 상관을 보여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검사 도구의 전체문항 신뢰도는 .94이었으며, 검사-재검사신뢰도는 .91이었다. 본 검사도구의 활용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nstruct valid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Lee, 2008). For the purpose, First, test was done with 1202 middle students sampled from nationwid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7 factor model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Second, in order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was done with 530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form Seoul, Gyeonggido, Chungchongdo. The inventory has criterion-related validity enough to be a tool for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is inventory was .94 and retest reliability was .91. The limitation of thi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이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에 미치는 효과

        이준(June Lee),유숙경(Suk-kyung You),이윤옥(Yun- Ou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이준, 유숙경, 이윤옥(2014)의 공감기반학습을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 개 학급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25명)에는 국어수업에서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하였으 며, 통제집단(25명)에는 전통적인 국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학교생활 공감척도, 학업참여척도였으며, 수집된 양적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 공분산분석 (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도 하였다. 그 결과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국어수업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교사의 면담조사와 학생들 소감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감기반학습은 학습이해, 수업집중, 의사소통, 대인관계 증진 등에도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감기반학습을 다른 교과목과 다른 학년에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여 공감기반학습의 확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athy Based Learning(EBL) model developed by Lee, You, and Lee(2014) by applying it to a elementary Korean class. Fifty 5th graders(25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5 for the control group)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ose for the experiment group were given to the Korean class with EBL, and those for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o the usual Korean class. As measuring instruments to test the effect of class with EBL, school life empathy, academic engage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dicators were use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COVA. The result showed that the class with EBL was more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students school life empathy and academic than the usual one. This research proves that EBL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hat EBL should be applied to other subjects and different year of students to see its general effectiveness.

      • KCI등재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이준(June Lee),유숙경(Suk kyung You),이윤옥(Yun Ou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이준, 유숙경, 이윤옥(2014)이 개발한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중학교 도 덕과목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코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중 학교 1학년 2개 학급 학생 44명(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2명)을 선정한 후 실험집 단에는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도덕과목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도덕과목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공감, 수업참여도 도구였으며, 수집된 양적자료는 독립표본 t 검증과 공 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교사와 학생이 작성한 서면 면담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도덕과목 수업에서 통제집단보다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공감능력과 수업참여도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면담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감기반학습이 교수-학습 의 과정은 물론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 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중학생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타 교과목과 다른 연령층에 도 적용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athy Based Learning(EBL) Model developed by Lee, Yoo, and Lee(2014) by applying it to a middle school moral class. 44 first-year students(22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attending middle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ose for the experiment group were given to the moral class with EBL, and those for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o the usual moral class. As measuring instruments to test the effect of class with EBL, empathy, self-respect, and class satisfaction indicators were use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 class with EBL was more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students empathetic ability and class engagement than the usual one, but it was not effective for self-respect. This research proved that class with EBL has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hat EBL should be applied to other subjects and different year of students to see its general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또래집단에서의 유아의 사회적 행동문제 진단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윤옥(Lee Yeun 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Child Social Behavior Problem Scale (CSBPS) with a population of Korean children. Subjects were 450 mothers and childrens of five years old and their teachers selected from 18 Kindergarten classes in Seoul. The K-CBCL(오경자외 3인, 1996) and the Peer Nominations of Aggression, Sociometric indexes were used as a methodological instrument.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 Cramer’s V, factor analysis, Pearson’s r, and Crobach’s α.<BR>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35 items of the 63-items scale were found acceptable through the item discriminant method. Six factors (Aggressive with Peers, Asocial with Peers, Excluded by Peers, anxious-fearful behavior, Prosocial with Peers, Hyperactive-Distractible) we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CBCL and the Peer Nominations of Aggression, Sociometric indexes were examined to test criterion- related validit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3 factors of the CSBPS was significant (r=.17~.60 p<.001). Finall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CSBPS appeared to be at an acceptable level (Cronbach"s "α=.68-.91).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식설의 변행심소와 별경심소

        이윤옥 ( Yoon Ok L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9

        유식설에 나타난 심소법의 특질을 확실히 알기위해서는 먼저 유부와 경량부의 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대지법은 가장 보편적이고 두루 함께하는 의식작용의 근거되는 마음을 말한다. 즉, 대지법이란 善·不善·無記등 일체의 마음작용의 주체와 마음의 심리작용이 함께 일어나는 작용이다. 이 열 가지를 『구사론』에서 살펴보면, 受·思·想·欲·觸·慧·念·作意·勝解·三摩地이다. 유식설은 변행심소와 별경심소로 분류하여 기술하고 있는데, 변행심소는 作意·觸·受·想·思이고, 별경심소는 欲·勝解·念·定·慧는모든 識과 相應관계에 있어서도 분명한 차이가 있다. 여기서 변행이란 8식 중의 어느 것과도 상응하여 함께 작용함을 가리킨다. 이것에 속한 심소들은 8식의 어느 것에서도 선과 악 등의 성질이나 장소나 시기에 구애됨이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모두가 함께 작용한다. 따라서 변행은 4종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심소들이다. 그리고 별경이란 특별한 대상에 대해서만 작용함을 가리킨다. 欲이라는 심소는 욕구이며 정진의 일부이다. 勝解는 명확한 인식의 대상, 念은 과거의 대상, 정과 혜는 깊은 명상에 빠질 때의 대상에 대해서 발동한다. 이것들은 선·불선·무기라는 세 가지 성질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일어날 수 있고 어떠한 장소에서도 일어 날 수 있으나, 반드시 어느 때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함께 작용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4종의 기준 중 일체성과 일체지만을 충족하고 일체시와 일체구는 충족하지 않는다. 유부에서는 심리현상이 일어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는 識(vijnana)과 10종의 대지법의 상응하여 인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그것에 반하여유식설에서는 경험의 축척인 현재의 마음 즉, 알라야식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마음의 내면적인 변행심소가 기본이 된다. 따라서 개별적 심리작용과 통합하여 모든 마음의 현상이 전개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식설은 주관의 능동적 주체성을 강조하고 심층적 잠재된 본질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o fully know about the features of caitasika appeared in the Yogacara School, we must understand the sthaviravada and the sautrantika. mahabhama is the most universal way of the citta which is based on the mano. In other words, mahabhama is an occurrence of citta and caitasika together in a body. kusalaㆍakusalaㆍavyakrta are examples of the citta and the caitasika. vedanaㆍcetanaㆍsamjna ㆍchandaㆍsparsaㆍprajnaㆍsmrtiㆍmanaskaraㆍadhimoksaㆍsamadhi these ten can be found in the AKBh. However the Yogacara School is commonly separated into sarvatraga caitasika and viniyata caitasika. sarvatraga caitasika is manaskaraㆍsparsaㆍvedanaㆍsamjnaㆍcetana and viniyata caitasika is chandaㆍadhimoksaㆍsmrtiㆍsamadhiㆍprajna. These all show completely difference in relation to vijnana. Sarvatraga means that it corresponds and works with any of the eight consciousness. Caitasika, one of the explained above, relates with the eight consciousness in terms of kusala, akusala and that is can happen anywhere and whenever. Hence, sarvatraga is canitasika which fullfills these four standards. Viniyata means that it only applies to certain objects. Chanda, one of caitasika, is desire and a part of virya. adhimoksa is the object of clear cognition, smrti is the object of the past, samadhi and prajna occurs only through deep meditation. These can occur through any of the kusala, akusala and avykrta. However they do not suddenly occur and do not function together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y only fulfill sarvatra and sarvabhumi out of the four standards. According to the Sthaviravada, cognition created from the association between vijnana and mahabhumika is the factor for psychological symptom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Yogacara School, the current state of mind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layavijnana is emphasized and bases everything on sarvatraga caitasika, We can conclude that states of mind moves on to anotherstate from psychological effects. Yogacara School emphasizes the active individuality and examines the hidden mental instincts of humans.

      •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동기와의 관계

        이윤옥(Lee Yun-Ou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2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동기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와 서울에 소재한 남녀공학 중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학업동기는 학업동기 총점과 자율동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적응과 학업동기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친구관계적응과 무동기, 친구관계적응과 학업동기총점을 제외한 모든관계 간에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무동기와는 부적상관이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 상관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전체적인 상관분석과 같이 친구관계적응과 무동기, 친구관계적응과 학업동기총점을 제외한 모든 관계 간에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무동기와는 부적상관이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 친구관계적응과 자율동기, 학교생활적응 총점과 자율동기간의 관계는 정적상관이었으며, 교사관계적응과 무동기, 학교생활적응 총점과 무동기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s and academic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orm 22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yeonggi-do and Seoul.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test, Person"s correlations and Cronbach"α test by SPS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hool-related adjustments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based on the sex in terms of academic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Third, there was found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s and autonomous motiv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s and social motivation. But there was found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s and autonomous motiv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