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숙달도별 발표 담화표지 연구

        이윤서 한국어의미학회 2023 한국어 의미학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scourse marker instruction for Korean learners to improve their presentation skills. For this purpose, we first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presentation situations. In the presentation situation, discourse markers played the functions of cohesion to unite the presentation discourse, speaker attitude to express the speaker’s attitude to increase the deliverability of his/her speech, and interactivity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listeners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ation. We examined the types of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s and classifie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d language standard curricula such as CEFR. Beginner level discourse markers are taught to increase the cohesion of the presentation by teaching structured expression-oriented discourse markers. Intermediate discourse marker training focuses on learning various types of discourse markers to improve the deliverability of the presentation. Advanced training focuses on helping learners summarize and organize their presentations with the use of talk markers. It is hoped that learning discourse markers at these levels of proficiency will be used as a way to improve Korean learners’ presentation skills.

      • S-650 건강한 성인에서 손목연조직염으로부터 전이된 양측 내안구염의 드문 1예

        이윤서,이상록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1

        서론: 내안구염은 눈을 구성하는 구성물 중 유리체와 전방을 침범하는 눈 속의 염증질환이다. 안 수술, 외상, 각막 염증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인성 내안구염이 대부분이나 드물게 다른 병소에서 혈류를 통해서 원인균이 눈 속으로 전파되어 염증을 유발하는 내인성 안구염이 2~10% 정도 차지하고 있다. 내인성 내안구염은 당뇨병, 악성 종양, AIDS 등의 위험 요인을 지니고 있는 면역저하자에게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원발 병소로서는 간농양에 의한 전이가 많으며 원인균으로는 진균 감염증이 가장 많다. 본 증례는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발생한 피부 감염에 의한 내인성 내안구염으로 드문 사례로서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기저 질환 없는 28세 여자 환자가 우측 손목 부종 및 발열로 지역병원 내원하여 우측 손목 연조직염 진단하에 입원 치료하던 중 양측 시력 감퇴 호소하여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환자는 지역병원 내원 1주 전 교통사고로 우측 손목 통증이 발생하였고 통증 조절 위해 한의원에 내원하여 우측 손목에 침을 맞았고 이후 우측 손목 부종 및 열감이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지역병원에서 연조직염에 대해서 Ciprofloxacin 200 mg q 12hr IV 3일 간 투여하였으나 증상 호전 없어 Cefoperazone/Sulbactam 500/500 mg q 8hr IV, Amikacin 750 mg q 24hr IV 로 변경하여 2일 간 투여한 후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이학적 검사에서 활력징후는 정상이었고 우측 손목 부종, 동통, 발적 소견 관찰되었다. 양측 시력 감퇴에 대해서 안과 협진하였고 안저 검사에서 전방축농, 유리체 혼탁, 유리체 내 부유 세포, 망막면화반, 후방유착 등 내안구염에 합당한 소견이 관찰되었다. 연조직염에 의한 내인성 내안구염으로 진단하고 혈액 배양 검사와 전방수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고 Ceftriaxone 2 g q 24hr IV, Vancomycin 1 g q 12hr IV 1주 간 투여하고, Ceftazidime 1 g (1 mg/0.1 ml) Intravitreous injection, Vancomycin 1 g (1 mg/0.1 ml) Intravitreous injection 5일 간 투여하였다. 제 5병일에 확인된 혈액 배양 검사 및 전방수 배양 검사에서는 동정된 균이 없었다. 제 7병일 추적 안저 검사 결과에서 초기 검사와 비교하여 유리체 혼탁 및 망막면화반 등의 염증 소견이 호전되어 Intravitreous injection을 중단하고 국소점안제로 Moxifloxacin과 Fluorometholone 투약하였고, 정맥항생제에서 Moxifloxacin 400 mg q 24hr PO 로 변경 투약하였다. 이후 우측 손목 연조직염 소견 호전되고 CRP 정상으로 감소되어 제 13병일에 퇴원하였고 퇴원 후 외래에서 시행한 안저검사 결과 초기 검사에서 우안 0.2 ph, 좌안 0.3 ph 이었던 양안 시력이 우안 0.7 ph, 좌안 0.8 ph 로 호전되었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과 교육 방안 -모어 화자의 발표와 비교하여-

        이윤서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67 No.-

        This study aims to educate learners of discourse marker to improve their presentation skills. Discourse marker enhances the cohesion and connectivity of the presentation and serves to convey the speaker’s intentions better. To find out about how to educate discourse markers, we first analyzed the usag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in the present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the Native Speaker used discourse markers the most to connect or deepen the topic However, Korean Language learners used discourse markers the most to fill in the gaps in the conversation. These result show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usage of discourse markers is small in their type and does not have a effective impact on the presentation. To make an improve on this problem and to le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various discourse markers, this three-step education method of discourse marker was presented. The first step is to dictate the learner’s present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deficiency with the usage of the discourse markers. In the second step, the learners will study the meanings of discourse markers and see the example situations used by native speakers. The third step is to revise the discourse markers that used in the presentation of his or her colleague through discussion. For the last, by delivering the revised presentation again, and see the actual use of the discourse markers that have studied. This three-step education method is intended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improve their presentation skills by using appropriate discourse markers.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공간 재구조화의 방향

        이윤서,이주연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2

        학생의 과목 선택과 책임을 강조하는 고교학점제는 2025년 전국 고등학교 전면 도입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고교학점제가 취지에 맞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이수 기준, 평가 방안 마련과 함께 학교 공간을 적절하게 재구조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공간 재구조화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는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고교학점제 운영 경험에 기초한 의견들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학습 공간의 조성 방향, 지원 공간의 조성 방향, 공유공간의 조성 방향, 학생 이동 동선의 개선 방향의 네 가지 주제로 제시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특성에 따른 학교 공간을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학교공간 구조의 변화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TPACK 인식 연구

        이윤서,안정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TPACK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and derive implications applicable to teacher (re)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46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and analyzed the results.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ived TPACK,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bout 4 points or more. And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PACK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Borich education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ed CK, PK, TK, and TCK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teacher education. While the educational needs recognized by teachers were in the order of TPACK, TK, TCK, PK, TPK, PCK, and CK. The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TK and CK was noticeable. PCK which excluded from the educational priority, had a different degree of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 본고는 비원어민 교사의 TPACK을 살펴보고 교사 교육과 재교육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6명의 비원어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어 교사는 TPACK, 중요도, 교육요구도를 모두 4점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 변인에 따라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지식이 있음을 밝혀냈다. Borich 교육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분석한 교육 요구 순위와 교사가 직접적으로 요구하는 교육 순위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사 변인과 교사 교육 목적에 따라 교육 내용으로 고려해야 할 지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증적으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지식을 탐색한 본고를 시작으로 교사 특징에 따른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교수학습 과정 설계를 통한 미래형 학습공간 계획 연구

        이윤서,김지혜,신은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unit spaces necessary for facilitating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dditionally, it seeks to propose guidelines for future school space planning and policy implications. The activities outlined in the 2015National Curriculum'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58 activity types that were further grouped into six categories: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instrumental exploration and experiment, expression activity, playing, discussion, and performing. Subsequently,drawings of unit spaces suitable for each activity type were creat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designs, feedback was obtainedfrom 54 gifted education teachers who actively engaged in designing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o refine and improve the unitspaces for optimal function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s provided by the teachers, four key planning directions for futuristiclearning spaces emerged: connecting classrooms of various sizes, supporting convergence activities through multi-functional unit classrooms,fostering flexibility in the boundary between learning spaces and support spaces, and creating a digital/AI educational environment. Furthermor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implementing policies at the school, local education office, and national levels. This studyproposed a futurist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long with a well-suited learning space design based on the invaluable insights of teacherswho actively utilize such learning spaces. 본 연구는 미래의 교수학습 과정 운영에 필요한 단위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향후 학교공간의 계획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거쳤다. 먼저, 총 58개로 교수 학습활동을 유형화하였고, 58개 유형을 크게 ‘자료 수집 및 활용, 도구적 탐색 및 실험, 표현활동, 놀이하기, 토론하기, 공연하기’의 6개 대분류 항목으로 구분, 소요 단위공간 모듈을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54명)들에게 미래 교수학습 과정의 설계와 이를 위한 단위공간의 조합과 개선을 요청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에게 취합된 계획안을 분석하여, 미래형 학습공간의 계획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규모의 교실 연계 배치, 다기능 단위교실을 통한 융합 활동의 지원, 학습공간과 지원공간 경계의 유연화, 디지털·AI 교육환경 조성의 4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 단위, 교육청 단위, 국가 단위에서 실행 가능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를 실제로 사용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미래 교수학습과정과 이에 적합한 학습공간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후 일본의 ‘뉴타입’ 구상과 좌절-도미노 요시유키의〈기동전사 건담〉시리즈를 중심으로-

        이윤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4 일본사상 Vol.- No.46

        〈기동전사 건담〉은 기존의 로봇 애니메이션이 가진 패턴을 타파하고, 리얼리즘을 지향하여 새로운 시대의 장을 연 작품으로 그 이면에는 도미노 요시유키감독의 경험과 성찰이 녹아 있다. 이는 단순한 담론 해체가 아닌, 새로움과정체성을 찾는 의미로써 등장한 ‘뉴타입’이라는 개념을 통해, 기존의 세대와차별점을 두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요시모토 다카아키는〈건담〉을 본 소감으로 전후세대가 지닌 묘사의한계점으로 ‘망설임’을 지적한다. 이는 ‘열화한 어른’의 한계점이며, 소박한반전사상이 망설임으로 드러났다고 평하는데, 이는 전후 애니메이션이 지닌문제 의식일 것이다.〈건담〉의 주인공인 아무로 레이는 부친의 메타포인 로봇을 스스로 획득하여 조종하면서 성장한다. 로봇을 손에 넣은 소년은 전쟁 앞에서 망설이고, 이후 부모의 비호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한다. 아무로는 전통적이자가부장제적인 아버지의 부재와,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투쟁했던 앞 세대와자신을 구별하고, 새로운 새대의 가능성을 찾고자 했던 단카이 세대의 다른이름일 것이다. “Mobile Suit Gundam” is a work that broke the pattern of conventional robot animation, oriented itself toward realism, and opened the curtain to a new era, all blended with the experience and reflections of director Yoshiyuki Tomino. This was not a mere deconstruction of discourse, but a search for newness and identity, a meaning that sought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old generation and give it new meaning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ewtype’. Takaaki Yoshimoto, in his impression of “Gundam” points out “hesitation” as a limitation of the depiction possessed by the postwar generation.This is the limitation of “degraded adulthood”, and it has been evaluated as the manifestation of a naive anti-war ideology with hesitation, which seems to be regarded as a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postwar anime has. Amuro Rei, the protagonist of “Gundam”, grows up by acquiring and controlling his father’s metapo robot. After acquiring the robot, the boy hesitates in the face of war, and later leaves the protection of his parents and stands on his own. Amro is another name for the baby-boomer generation that tried to distinguish itself from the old generation that struggled to survive in society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a new generation, with the absence of a traditional and patriarchal father.

      • KORUS-AQ 기간 동안 항공기에서 관측한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

        이윤서,엄준식,정창훈,이승수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태양복사를 산란, 흡수하거나 구름 응결핵으로서 작용하여 지구 복사 수지를 조절하고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에어로졸은 대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한반도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수송된 에어로졸과 국내의 공장과 발전소 등에서 배출한 에어로졸이 공존하기 때문에 국내 외 배출원에 대한 각각의 에어로졸 특성과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한 지역이다. 그러한 분석의 일환으로서 2016년 5~6월,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항공우주국의 주도하에 한-미 대기질 합동 연구(KORUS-AQ)가 진행되었다. KORUS-AQ 기간 동안 지상 관측소, 선박, 항공기, 위성 등을 이용한 다양한 대기질 관측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KORUS-AQ 관측 캠페인 동안 NASA의 DC-8 항공기에서 관측한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에어로졸 관측 자료는 DC-8에 탑재된 APS(Aerodynamic Particle Sizer), CPSPD(Cloud Particle Spectrometer with Polarized Detection), LAS(Laser Aerosol Spectrometer), SMPS(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HR-ToF-AMS(High Resolution Time-of-Flight Aerosol Mass Spectrometer) 장비를 이용해 관측한 에어로졸의 수 농도 및 크기 분포와 AMS와 teflon filter로 관측한 에어로졸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지상 관측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한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환경변수의 함수로 정량화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