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중심으로 -

        이윤미(Lee, Yoonmi)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이 글의 목적은 첫째,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기존에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짚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때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하여 다룬 기존의 논의를 살피며 이 요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미시 구조에서 뜻풀이와 용례를 일반 국어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을 편찬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compare and analyz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wit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an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To this end,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 y were analyzed closely. At this time, by examin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it was confirmed how well they met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in the microscopic stru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tandard Korean Dictionary , a general Korean language dictionar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 we looked at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compiling a Korean learning dictionary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이윤미(Yoonmi Lee),이상은(Sangeun Lee),박상완(Sangwan Park)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이 연구는 변화하는 교육 정책 및 사회적 환경 속에서 현직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사의 주요 직무, 미래 교사의 역할은 무엇이며, 이러한 교사 역할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변화가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초·중등학교 교사 대상 초점집단 심층면담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가 생각하는 주요 직무는 교육과정-수업-평가 업무, 학생 생활교육 업무, 학급 담임 업무, 전문성 개발, 행정 업무 등이었다. 미래 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개별화 학습지원, 코칭 및 멘토링 역할과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자 역할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변화는 교사의 전문적 성장 여건의 변화, 학교 내 업무 및 지원 체제의 변화로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요건으로,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 공유, 행정 지원 체제의 근본적 개선, 내부적 책무성 기준의 공유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in tasks of teachers, the roles of future teachers, and the changes required in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social environment. As the main research method,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at the teachers considered their main tasks were curriculum and class evaluation tasks, student life training tasks, homeroom teachers' task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tasks. The important roles of future teachers include supporting individualized learning, coaching and mentoring students, and building partnerships with parents and communities. Changes required in performing these teachers’ roles were divided into two areas: changes in the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conditions and changes in the school's work and support system.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o share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education, fundamentally improve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and enhance the sharing of internal accountability standards as requirements for performing expected teacher roles.

      • KCI등재

        1974년 고교평준화정책에 대한 구술사적 연구

        이윤미(Yoonmi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3

        이 연구에서는 1974년 고교평준화정책이 태동하게 된 배경의 복합성을 검토하고, 그것이 지닌 교육문화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당시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개혁의 의의를 회고하는 구술사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고교평준화정책 도입에 작동한 요인들(취학구조, 사회․문화근대화, 교육정상화, 정치행위 등)의 복합적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했으며, 구술증언을 통해 그 복합성을 보다 생생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고교평준화정책에 대해 개혁의 연속성(중학교평준화와의 관계), 급진성(추첨제 적용, 사립학교 포함), 개혁 명분으로서의 교육근대화(전근대적 엘리트주의 해소 및 과열경쟁 완화를 통한 교육정상화) 등을 중심으로 그 배경을 확인하고, 구술자들의 회고를 통해 고교평준화 제도도입과정에서 나타난 정책형성(정치행위, 정책입안 절차 등) 및 교육문화(교육적 실태, 사회문화적 의식 등)의 특징들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so-called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 implemented in 1974, one of the most radical school reform attempts in South Korean education. The source of data, besides major policy documents and newspapers, is the interview data obtained through an oral history project conducted in 2016. The memories of five interviewees who were involved in the earlier phase of the policy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is study clarifies the comprehensive nature of the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 by focusing on the way that the government introduced a random assignment system of students for all high schools, both public and private, to replace the former highly competitive school-based entrance exams. The adoption of the policy intermingled with various features of the South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including structural, political and socio-cultural factors related the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노동계급 교육사상 : 공적 페다고지의 관점에서

        이윤미(Yoonmi Lee)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이 논문은 영국의 맑스주의 이론가이자 문화사가인 레이먼드 윌리엄즈(Raymond Williams, 1921-1988)의 문화주의적 교육사상을 노동계급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윌리엄즈는 문화이론(cultural studies) 분야의 선구자이자 대표적 학자로 알려져 있고 교육학에도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교육사상에 대한 본격적 조명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 논문에 서는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문화맑스주의의 핵심개념들을 검토하면서 이를 기초로 한 그의 노동계급 교육론을 살펴본다. 특히, 1946년에서 1961년의 15년간에 걸친 노동자교육 참여기간 동안 저술된 초기 저작들에 초점을 두어 그 교육론을 확인한다. 또한, 윌리엄즈의 논의를 보다 현대적 맥락에서 조명하기 위해 그의 교육사상을 ‘공적 페다고지’의 맥락에서 살펴보면서 그 시 사점을 논의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ideas of Raymond Williams(1921-1988), British literary critic and cultural historian. Williams has not been typically thought of as an educational thinker, yet much can be found in his work that have implications regarding pedagogical thought and practice. This paper is a reappraisal of Raymond Williams as a practitioner as well as theorist in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his early career related to adult education with the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of Oxford University, associated with the Workers' Educational Association (WEA). He had worked as a tutor for 15 years between 1946 and 1961, and had written a number of pieces on education and pedagogical concerns related to working class education. Raymond Williams is also considered a major scholar that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tudies in public pedagogy. At a time when public institutions and civic liberties have increasingly been challenged by neoliberalism and global capitalism,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politics over politicizing the public pedagogy and providing a language of resistance and possibility is crucial for promoting democratic social change. In this paper, Raymond Williams' work is featured in relation to the cultural politics of public pedagogy as well as his role in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British working class education

      • KCI등재

        식민지시기 『학생』지에 나타난 여학생교육

        이윤미(Lee, Yoonmi),이정아(Lee, Jung-Ah)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3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that the education for girls were portrayed in the articles appeared in Haksaing[the student], a short-lived popular magazin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between March 1929 and November 1930. The Haksaing was among the magazines published as part of the cultural movement led by Cheondogyo. These magazines created new arenas for public communication and often attempted to serve as an alternative to colonial education, by functioning as a medium for public pedagogy, for the cause of nationalism.. The Haksaing, in particular, was targeted at secondary-school students and the concerned intellectuals committed to education. The magazine illustrated in great detail on the school life of the students, including classroom instructions and everyday culture in and out of the school. It contained a wide range of views on how concerned intellectuals or the public envisioned the role of an educated woman in the society. The Haksaing provides rich historical material for the analysis on how the image of the emergent group of educated women was constructed and how the girls subjectified themselves is-à-vis the public.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시기인 1920년대말과 30년대초 천도교 문화운동의 맥락에서 발간된『학생』지(1929-1930)에 나타난 여학생교육에 대해 분석한다. 『학생』지는 주로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잡지로서 『어린이』보다 상급의 청년들이 공유할 수 있는 매체로 작동하고자 했고, 계몽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총 발행부수는 18호로 제한적이었지만 당시 학생들 의 생활상, 염원, 좌절 등과 관련한 문화적 맥락들을 상세하게 읽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여학생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지에 나타난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고 있다. 『학생』지는 소위 중등교육을 받는 여학생이라는 새로운 층이 여전히 예외적이면서도 사회의 자연스런한 부분으로 수용되고 자리잡아가는 시기의 교육문화를 드러내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그 자체가 식민지 문화운동의 한 축이자 주요 교육의 장으로 기능했던 매체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계몽적 ‘교육의 장’ 안에 표상된 내용들을 통해, 식민지근대의 여학생이 학교를 통해 교육되고 사회적으로 규범화되는 양상을 분석했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미국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육사교육의 위상 논쟁 및 시사점

        이윤미 ( Yoonmi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1

        교육사는 사학에 연계된 분과사의 하나로서 다른 여러 응용사학과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다. 교육학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하는가, 사학적 정체성을 강화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교원양성기관에 소속된 교육사전공자들이 꾸준히 직면해온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에서 교육사교육이 당면해온 문제들이 지금 우리 교육사학계의 고민과 무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상당히 연관되고 의미있는 시사점을 주기 때문에, 미국에서의 논의의 흐름과 프로그램운영 현황 사례 등을 통해 그 함의를 검토하고 있다. 미국 교육사학계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논의들에 나타나는 것처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역사학적 방법의 엄밀성을 추구하는 것 사이의 긴장을 해결하고 균형점을 찾는 것은 `교육사학`이 응용분야 역사학으로서 다른 분야의 응용역사학과 동일하게 겪는 공통적 딜레마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미국의 사례는 이러한 딜레마가 어떻게 논의되어왔고, 현재는 어떠한 문제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시스템은 주별로, 대학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일반화해서 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최근 나타나고 있는 교원자격의 개방화 등에 있어서는 한국과 상당히 다른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재 미국 교원양성기관 자체가 직면한 위기는 종합대학 전체의 지각변동과도 연관되어 있어 우리보다 더 크게 감지되고 있다고 보이는 측면도 있으나 오늘날 한국의 상황과도 유사한 점이 있으며 우리의 문제 진단과 개선점확인에 시사점을 준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urrent debates on the status of history of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The identity of history of education as a field of study has been a point of debate by the concerned historians of education in the US, over whether to maintain its affiliation with the demands of teacher education or to concentrate on pushing tough academic standards for the researchers. As more prospective teachers in the US are trained in institutes with no university connection since the 1990s, only a minority of students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history of education in their pre-service training. The current crisis in the teaching of history of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the U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ograms beyond the US. This article has sought out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history of education in the US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relation to i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nd teaching of history of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형 공교육체제의 특성과 개선과제

        이윤미 ( Yoonmi Lee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중등교육을 ‘공교육체제’의 관점에서 접근하며, 한국 교육이 이제까지 수행해온 역할을 공교육의 기능이라는 시각에서 평가하고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개선의 방향에 대해 다룬다. 압축적 성장의 결과로 초·중등교육만이 아니라 고등교육도 보편화되어 교육받은 인구의 저변이 넓어지고, 공교육에 기대되는 교육의 질에 대한 요구 또한 높다. 그러나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지난 70여 년 간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기초(필수)학력, 직업진로역량(산업대응적), 시민역량 등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체제가 충분히 정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여전히 쟁점이 되고 있다. 모든 사람에 대한 질 높은 교육기회와 선택권을 보장하는 책임교육제도의 구축을 위해서는 국민의 교육권을 보다 ‘보편적 관점’에서 조망하려는 접근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교육의 특성을 통시적,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국 공교육이 미래지향적으로 개선되기 위해 필요한 개혁의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from a comparative/historical perspective and discusses the prospect of change in improving the system for the future. South Korean education has expanded extensively since 1945 and has also been noted for its high achievement in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notably in PISA and TIMSS. Despite its tremendous development in quantitative terms, South Korea has often been subjected to criticism on the ground that its education has been excessively geared toward instrumental qualities related to competition at the expense of improving the system of substantial quality educat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aspects such as what the country has achieved, what it is left out in education, and how some most recent reform efforts may lead to positive change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for South Korean education to keep up with its standards and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the futur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nhancing social trust through and within education, by ensuring a more substantial system of ‘quality education for all’ in public education, with increased qualities in openness, flexibility and accountability, at both compulsory and post-compulsory levels of education.

      • 북유럽에서의 교육평가와 선발: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이윤미(Yoonmi Lee)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연구와 실천 Vol.77 No.-

        이 글에서는 교육과 선발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북유럽 교육평가의 특징을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한국의 평가 및 선발방식과 비교할 때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례는 절대성취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상급학교 진학이나 변별보다는 학생 개개인이 학업성취목표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우리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선발이 교육을 압도’하는 양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사회적 선발(대학입학 및 노동시장진입)의 각종 준거들은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유도하고 다양한 능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Swedish and Finnish practices in educational evaluation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Educational evaluation in Korea differs from the Nordic context in that most tests are norm-referenced and are geared toward the admissions criteria of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The high-stake exams in Korea have been considered the sources of educational problems which lead to a vicious circle in education. In the Swedish and Finnish cases, teachers practice higher degree of freedom or autonomy in their classroom teaching and student evaluation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Schooling in these countries focuses more on having the students reach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n ranking them to meet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universities (or the work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