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환경에 따른 부유성 유공충 용해 정도 지표의 적용 가능성 평가

        이유리,서인아,형기성,이성주 대한지질학회 2020 지질학회지 Vol.56 No.1

        Fossil planktic foraminifera is a useful indicator of the paleoenvironment of the surface ocean. Because of its susceptibility to dissolution, various indices for preservation state of planktic foraminifera have been used to determine better the degree of bias introduced by the species-dependent resistance to dissolut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six dissolution indices of foraminifera from four Pacific sites, each representing different surface and deep ocean condition. Compared to the fragmentation rate (FLS), demanding and time-consuming but one of the most reliable dissolution indices regardless of the ambient environment, each index has different sensitivity on preservation state ow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Carbonate fraction (CaCO3) and coarse sized fraction (CSF) are fairly well correlated with FLS in the foraminifera-dominated tropical ocean where the influx of other sedimentary components is insignificant. The assemblage dissolution index (FDX) and percentage of resistant species (Res) based on the relative enrichment of dissolution-resistant species are best applicable at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site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imary faunal assemblage. The benthic/planktic ratio (B) varies with FLS similarly at a productive Northwestern Pacific site, but should be carefully applied in many cases owing to the strong dependence of benthic foraminifera on food avail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rigorous application criteria of the foraminifera dissolution index in various depositional environments. 부유성 유공충의 미화석은 과거 표층해양환경의 지시자로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들은 퇴적된 후 종에 따라 다른 용해 저항성을 가지므로, 이에 따른 환경 기록의 왜곡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용해도를 평가할수 있는 지표가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해양환경에서 획득된 네 점의 심해퇴적물 주상시료에서 분석한 여섯 가지의 용해도 평가 지표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을요하는 파편도(FLS)와 비교할 때, 각각의 지표는 환경 요소에 따라 다른 적용가능성을 나타냈다. 탄산염 함량(CaCO3)과 조립도(CSF)는 유공충이 우점하며 이외의 퇴적물 유입이 미미한 열대 해양에서 FLS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종 용해지표(FDX)와 저항종 비율(Res)은 용해 저항성이 강한 종의 상대적 비율에 기반한 지표로일차적인 종 군집구조의 변화가 크지 않은 중앙 적도태평양 해역에서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저서성/부유성 비율(B)은 생산성이 높은 북서태평양 지역에서 FLS와 유사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나, 먹이 의존도가 높은 저서성유공충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원양 퇴적환경에 대한 유공충 용해 지표의 적용기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이유리,김정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생 500명 중 아동청소년불안척도 26점과 특성불안척도 39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 아동을 1차 선별한 후 진단 면접을 실시하여 최종 선별된 불안장애 아동 27명을 CBT 집단, MBCT 집단,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CBT 프로그램과 MBCT 프로그램은 각각 주 2회, 5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 CBT 집단과 MBCT 집단 모두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 부적 미래예측 편향)과 행동적 특성(사회적 기술)은 CBT 집단에서 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집단 간 사후검사 비교 시 CBT 집단과 MBCT 집단은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과 정서적 특성(불안, 사회불안)에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 CBT 집단은 인지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MBCT 집단의 경우 특성불안, 불안 및 마음챙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집단 간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 추후검사 비교 시 CBT 집단과 MBCT 집단은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 부정적 미래예측 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nd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The first screening selected 500 children who were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based in Gyeonggi Province. Afterwards, the study chose children in the clinical level of RCMAS, and then, selected final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anxiety disorder through K-SADS-PL interviews. Thes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different groups: a group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 group for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 no therapy. Children in the first two groups received therapy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children in the CBT and MBCT group were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but only CBT group was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gnition(automatic thought, negative future predi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ehavior(social skills). Secondly,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and MBC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ognition(automatic thought) and the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Thirdly, the follow-up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group was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gnition and emotion, but MBC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in trait anxiety, anxiety and mindfulness. Fourth, according to follow-up assessments, the effect of CBT and MBCT differed in cognition(automatic thoughts, negative future prediction) and emotion(trait anxiety, anxiety and social anxiety).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으로의 무용교육 이행에 관한 패러다임 분석 연구

        이유리,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3

        This study considered educational paradigm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from an angle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historically and analytically. If dance focused on genres, experts·artists cultivating education in the past, current dance education from an angl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s expanded to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t this time when dance education is chang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change of dance education’s paradigm timely takes a view of the tasks current dance education faces historically. Therefore, it’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 historic process and changes of the field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The viewpoint can show that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from an angl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all of social members by getting out of understanding dance education as the education for only particular experts group in the past. In this context, the work reexamining previous dance historically and suggesting its future direction is very importance topic and is necessary from an angle of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revious dance education from an angle of Kuhn’s paradigm and analyzes a possibility of new paradigm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rough the approach of historical study. Furthermore, it intends to seek theory of dance education and new direction of the practice by daily·cultural approach 본 연구는 무용교육이 문화예술교육차원으로 이행되는 교육패러다임을 역사적 해석학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과거 무용이 장르중심, 전문가·예술가양성교육에 중점을 두었다면 현재 문화예술교육차원에서의 무용교육은 경험중심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렇게 무용교육이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되는 시점에서 무용교육의 패러다임변화는 현재의 무용교육이 당면한 과제를 역사적으로 조망하기 시기적절하다. 이에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경로와 모습으로 변모되어왔는지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은 과거 무용교육이 특정 전문가집단만을 위한 교육으로 이해했던 차원에서 벗어나 모든 사회구성원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적 차원으로 무용교육이 이행되고 있음을 드러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의 무용교육을 역사적으로 재검토하여 미래방향을 제시하는 작업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이며 필요한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무용교육을 Kuhn의 패러다임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문화예술교육적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역사적 연구 접근을 통해 해석한다. 나아가 무용교육 이론과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일상적·문화적 접근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확인된 조절 동기의 변화가성적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이유리,안다정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identified regulation having advantage of applying to domestic educational environment affect variables about studying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by analyzing influence longitudinally.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research title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6 years from 2010 and 2016 on middle school panel 1. we use 1st, 3rd, 6th data. the result variable of identified regulation is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grades. the relation with teachers is put up to explaining identified regu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es. first,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in unconditional model of identified regulation in the period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intercept and slope of identified regulation in conditional model affected the subjective evaluation about grades positively, meaningfu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fluence that the intercept and slope of identified regulation affect a subjective evaluation about grad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that the relation with teachers affect the intercept and slope of identified regulation. the influence of the slope in the relation with teacher is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intercept in the identified regul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relation with teacher and the identified regulation was positive. the relation between the relation with teacher and the slope of the identified regulation was negative. 본 연구는 확인된 조절 동기가 학업 부담이 높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에 학업과 관련된 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으로 분석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가 포함된 아동청소년 패널의 중1패널 중 1, 3, 6차년도 자료에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확인된 조절 동기의 결과변인으로 성적에 대한 주관적 평가 변인을 설정하였고, 확인된 조절 동기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교사관계를 모형에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무조건 모형에서 확인된 조절 동기는 학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건 모형에서 확인된 조절 동기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성적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독립변수인 교사관계도 확인된 조절 동기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교사관계는 확인된 조절 동기의 초기치에 비해 변화율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았고, 확인된 조절 동기의 초기치와 정적 관계로 나타났으며, 확인된 조절 동기의 변화율과 부적 관계로 나타났다.

      • 인터뷰 - "창의적인 벽돌 건축물 기대⋯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유리,Lee, Yu-Ri 대한건축사협회 2020 建築士 Vol.614 No.-

        (주)공간세라믹이 주최하는 공모전 '제1회 공간세라믹(점토벽돌) 건축상'이 지난 4월 1일 시작됐다. 총 상금 1억 원이 걸린 이 공모전에는 건축법 22조에 따라 올해 4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 사이에 준공된 점토건축 활용 건축물이라면 공간세라믹 홈페이지를 통해 응모가 가능하다. 민간기업에서 개최하는 건축상 공모전이 드문 상황에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벽돌 건축물을 다룬다고 한다. 수천 년 간 이어져온 오래된 친환경 건축 재료지만 과거에 비해 수요가 많이 줄어든 벽돌. 공모전을 개최된 계기가 무엇일까. 5월 13일 공간세라믹 본사에서 공모전 주최자 조백일 공간세라믹 대표를 만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