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영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rstly introduce a sexual harassment scale for use in relation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Yeungeun Lee & Yeunghee Kim, 2008), and secondly, to prove its valid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latter goal, the researcher analyzes the scale according to criterion-related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finally cross validity. These three measures of validity, indicate that this measurement tool is indeed a reliable one for the measurement of sexual harassment. In addition, this research confirms both the usability and the potential for generalizing the use of this tool in future work. 최근 이영은과 김영희(2008)에 의해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측정학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신뢰도분석 뿐 아니라 다양한 타당화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분석하였다. 준거관련타당도는 외적준거로 성희롱 경험 유무(24번 문항)와 성적불쾌감정도를 통해 살펴 본 결과 준거관련타당도가 일관성 있게 지지됨을 나타내었고, 수렴타당도는 성희롱 척도와 부정적 정서 및 성희롱 허용태도와의 관련성 여부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두 척도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관계수가 높지 않은 편으로 수렴타당도 검증에 다소 제한점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을 시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전반적 부합지수가 적절한 수준의 값을 보여 구성타당도가 지지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이와 같은 타당화 검증을 통해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으며, 그 유용성과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미술치료사가 경험한 반응작업에 대한 질적메타합성

        이영은,박은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기존의 개별 질적 문헌들을 합성하여, 임상감독에 창조적 개입 방식인 반응작업에 대한 종합적이고 심층적인 이해와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적메타합성의 방법 중 Noblit와 Hare(1988)의 7단계를 적용했다. 선별된 6개의 논문을 합성한 결과 3개의 상위 개념과 10개의 하위 개념이 도출되었고, 구체적인 내용은 ‘언어를 초월한 전문성 진보의 장이 형성’, ‘창조성을 기반한 성찰적 지혜의 심화’, ‘내담자를 위한 미술치료적 기예의 실천’이고 종합적 개념은 ‘인간의 내적 성숙과 발달을 위한 기틀’이다. 즉, 미술치료사들은 반응작업 경험을 통해 미술치료사 발달에 핵심적 기제들을 자연스럽게 훈련하고, 미술치료학 이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성찰적 실천가로서의 역량이 이전보다 더 숙련되었다. 이는 내담자 치료과정과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결국 반응작업이 인간의 내적 삶의 질을 높여줌을 추론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ynthesized existing individual qualitative literature on art therapists' experience of response art and attempt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and new insights into response art, with a creative intervention method in clinical supervision. For this purpose, the 7 steps of Noblit & Hare(1988) were adopted from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s. As a result of synthesizing 6 selected papers, 3 high-level concepts and 10 low-level concepts were derived, and detailed contents were ‘the formation of a field for professional advancement beyond language.‘ 'deepening reflective wisdom based on creativity,’ and 'for clients, it is the practice of art therapeutic techniques.’ And the comprehensive concept was ‘the foundation for human internal maturity and development.’ In other words, art therapists naturally trained the core mechanisms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through response art experience and became more skilled than before in their capacity as reflective practitioners who can applied art therapy theory to practice. Thi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lient's treatment process and results, and it could be inferred that response art ultimately improved the quality of human lif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TVS경량체가 적용된 이방향 중공슬래브-기둥 접합부 뚫림전단거동의 실험적 평가

        이영은,류재호,주영규,김상대,김재건,Lee, Yung-Eun,Ryu, Jae-Ho,Ju, Young-K.,Kim, Sang-Dae,Kim, Jae-Keo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11

        Same as flat plate slab system, punching shear fracture is able to occur at the connection of two-way void slab and column. It is one of the biggest weak points of the two-way void slab, but there is none of regulation for punching shear strength of two-way void slab. Also the studies on punching shear behavior of two-way void slab are not enough to make a regulation. In this study, the punching shear behavior of two-way void slab with TVS lightweight ball is experimentally explored with parameters of different location of void around the column and usage of shear reinforcement. The result data shows that as the distance between column and void increases, punching shear strength increases as well. In addition, according to inferring inclined crack from two-way void slab, the location of void affects to slope of the inclined crack. Consequently, a new control perimeter is suggested. Also, revised design equation for punching shear strength of two-way void slab is devised by using shear strength reducing factor.

      • KCI등재

        Successful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Ameloblastic Fibroma in the Posterior Maxilla : A Case Report

        이영은,안효정,이수언,김은철,최성철,Lee, Youngeun,Ahn, Hyojung,Lee, Sooeon,Kim, Euncheol,Choi, Sungchul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진성 혼합 치성 종양으로 10~20대의 어린 환자의 하악에서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치료는 종양부위의 제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종양부의 제거는 보존적 방법과 광범위한 제거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아직 논쟁이 되는 사항이며 저자에 따라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 이는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재발률과 악성으로의 전이 가능성 때문이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4세 환아에서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을 적출술과 소파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기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Ameloblastic fibroma (AF) is a rare odontogenic ectomesenchymal tumor that is frequently seen in the first two decades of life, and occurs in the mandible. The most proper management of AF has been a recent topic of debate because of its recurrence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This report describes AF in a 4-year-old male, which was a unilocular radiolucency on the maxillary right primary molar area with a scalloped border and corticated margin. The tumor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enucleation and curettage, and the decision was made to preserve the right primary second molar. A biopsy confirmed it as AF. During the 43 months of follow-up, the patient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or malignant transformation. Moreover, the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the generation of tooth germ to be a permanent second premolar. This report shows a case of AF in the posterior maxilla of a 4-year-old boy and discusses the conservative therapeutic approach to this tumor. Therefore, the age of the patients should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choosing conservative or radical surgery in a young AF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