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치 유래 GABA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발효 및 항상화 특성

        이영덕,Lee, Young-Duc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5

        GABA (γ-aminobutyric acid) has various beneficial effects on human health such as anti-hypertension, diuretic, tranquilizer, sleep induction and anti-stress function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and the antioxidizing effects of a fermented solution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GAB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kimchi to corn silk extract. Lactobacillus plantarum LAB459 was identified by physiological properties,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Also, the GABA production ability of the separated L. plantarum LAB459 was confirmed through TLC and HPLC analysis. Moreover, from the fermentation of corn silk extract with skim milk, it wa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1 ㎍/mg of GABA produced by lyophilized ferments was yielded. Lastly, the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lyophilized ferments than in the aqueous extracts. Therefore, L. plantarum LAB459 is considered to be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various fermented foods or in food and medicinal materials. GABA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이뇨, 진정, 수면유도 및 항스트레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식품,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 부터 분리한 GABA 형성 유산균을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적용하여 발효 특성과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 L. plantarum LAB459의 분리와 동정은 생화학적 특성, 당자화성 및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와 HPLC 분석을 통해 분리된 L. plantarum LAB459가 GABA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유가 포함된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대해 발효를 수행한 결과, 동결 건조된 발효물에 약 1 ㎍/mg 수준의 GABA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분석은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LAB459는 다양한 식품 발효의 스타터 또는 식품 소재와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분산형 발전시스템의 기술개발 동향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이영덕,강상규,이상민,안국영,Lee, Yeong-Deok,Gang, Sang-Gyu,Lee, Sang-Min,An, Guk-Yeong 재료연구소 2014 機械와 材料 Vol.26 No.1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세라믹 소재의 이온전도성 막과 전극에서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발전효율이 높고, 배출물 특성이 우수하여 미래형 청정발전기술로 각광받는 기술이다. 더불어 소음이 적게 발생하므로 주로 도심지 건물에 설치되는 분산형 발전시스템으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동향분석에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발동향을 살펴보고, 시스템별 사이클 구성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新石器時代 潛水작살의 可能性

        이영덕(Yeong Deok Lee)(李永德) 한국신석기학회 200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1

        이 글은 그동안 패류채취의 목적에 한정되다시피 한 신석기시대 잠수어로를 확대해서 작살을 이용한 어류의 포획가능성을 제작 실험을 통해 제시한 것이다. 골제단식고정작살은 분포범위가 남해안지역의 원도권 패총유적이 주를 이루고 있는 어로도구이다. 이들 지역은 패류채취구인 빗창이 공반되기도 하는 지역으로 잠수에 의한 어로가 행해졌던 곳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이들 유적이 입지하는 지점이 등수심 50∼100여m의 지역으로 시계가 확보되고 상대적으로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아 현재도 잠수에 의한 어로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필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살과 출토된 유물의 형태를 통해 작살을 복원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유적에서 확인되는 단식고정작살이 잠수작살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현재까지 확인된 골제단식고정작살의 형태와 분포범위 뿐만아니라 빗장, 외이도골종이 있는 인골, 전복, 소라와 같은 조간대 이하의 심도에 서식하는 패류의 존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남해안 원도권 패총유적에서 출토되는 골제단식고정작살이 잠수에 의한 어류를 포획하는 잠수작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fishing using a fish harpoon by expanding diving fishery in the Neolithic Age, which has been understood limitedly as a means of shell-fish collection. Single head bone harpoons are fishing tools found mainly at shellmounds in remote islands of the Southern Sea. These areas, where crooked harpoons, a kind of shellfish collection tool, were also excavated together, are considered to have been grounds for diving fishery. In addition, the places where these remains are found commonly have water depth of 50~100m, at which the range of vision can be secured and the effect of tide is relatively small, so even today diving fishery are conducted there. The present author restored harpoons based on currently used harpoons and the shape of excavated relics, and found the high possibility that single head harpoons found in ancient sites could be used a diving harpoons. The possibility is also supported not only by the shape and distribution of single head bone harpoons that have been found so far but also by crooked harpoons, human bones with bone tumor in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the existence of shellfish such as abalone and turban shell inhabiting the deep sea below the intertidal zone. Thus, it is considered possible that single head bone harpoon excavated from shell mounds in remote islands of the Southern Sea might be for diving and catching fish.

      • KCI등재

        중서부 해안지역의 어로 양상과 동인

        이영덕(Lee, Yeong-Deok) 한국신석기학회 2013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5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어로의 양상과 토기문화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중서부지역은 일찍부터 신석기시대 연구의 주된 관심 지역이었으며 년대부터 조사되기 시작한 중서부 해안지역의 패총유적을 통해 내륙의 신석 기문화가 도서 해안지역으로 진출하여 곧바로 어로와 연동된다는 개념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중서부 해안과 도서지역에서 확인된 어로 관련 도구나 잔존물은 남해안이나 동해안 서해남부지역에 비해 극히 제한적이다 즉 패류채취 이외에 적극적인 어로를 했다고 파악할만한 어로구는 소량에 불과했다 한편 년대 들어 연평도지역의 발굴조사는 기존의 중서부 해안지역에서 확인된 패총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다양한 어로구와 물고기뼈 등 적극적인 어로를 반증할 수있는 자료가 확인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양상이 중서부지역 자체 동인으로 패류채취이외에 적극적인 어로가 이루어졌는지 아니면 외부 동인에 의해 어로의 잔재가 남아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중서부 해안지역의 어로는 남해안 전기와 후기토기문화의 일군이 해안을 따라 북상한 결과로 파악하였으며 개막이그물 건간망 이나 결합식낚시 패천 등의 예를 들어글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적극적인 어로는 기존 중서부 토기만을 반출하는 유적에서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남부지역의 토기 요소가 확인되는 유적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