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반 보육교사의 협력적교사학습공동체 형성과정과 의미 탐색

        조인영(Cho, In-Yeong),이연우(Lee, Youn-W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장애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통합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해 공동체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유아 통합반 보육교사 7명과 유아특수교사 2명으로 구성된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를 결성하고 총 14회기 동안 장애유아 이해 및 놀이지원을 주제로 모임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과 반복 비교 분석법을 사용해 통합반 보육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는 초기 교사들의 공감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중기는 교육관점과 학습공동체 역할에 대한 교사 간의 갈등과 회복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후기는 교사들의 노력과 경쟁, 성장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교사에게 협력적 학습공동체 형성 경험은 대나무 숲과 성장통, 이어달리기 같았다. 둘째, 교사들은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며 교사로서의 성장과 인식의 개선을 경험했다. 교사에게 공동체 참여 경험은 도약판과 징검다리 같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대안적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완전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teachers learning community(CTLC) for the childcare teacher in inclusive classroom. To this end, CTLC for teachers was formed by seven childcare teachers from inclusive classroom and tw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 total of 14 sessions were held on the topic of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pla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analysis and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from inclusive classro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athy was essential in forming CTLC for teachers in the beginning stage. In the middle period was formed centered on the conflict and recovery of the teachers over the perspective on education and the role of CTLC. In the latter part, the CTLC was formed based on teachers’ efforts, competition, and growth. For teachers, the experiences of forming a CTLC was like bamboo forest, growing pains, and relay running. Secon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CTLC experienced improvement in the of perception and growth as a teacher. For teacher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TLC meant like a springboard and stepping ston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a discussion on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substantiality of fully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본 장애유아 담당교사의 아비투스: D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조인영 ( Cho In-yeong ),이연우 ( Lee Youn-wo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연구의 목적은 현재 누리과정 교사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교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장애유아 담당교사 5명의 이야기를 피에르 부르디외가 제시한 아비투스 개념으로 해석하여 그들이 가진 어려움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룹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의해 핵심 키워드 분류, 유목화, 소주제 발견 단계를 거쳤다. 이를 통해 분석된 교사들의 아비투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의 누리과정 교사교육 참여 실태에 관한 이야기 속에 나타난 아비투스는‘의식속의 거부’와‘현실적 수용’으로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은 동일하게 반복되는 교사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의 누리과정 교사교육 참여 후 만족에 이야기 속에서 ‘이종’과 ‘불가분적인 의무에 대한 두려움’의 아비투스를 발견하였다.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은 일반 보육교사들과 섞일 수 없다는 이질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안내를 받을 수 없는 것에 대한 불만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 교사교육 개선요구에 대한 이야기 속에서 ‘가시적 대안’의 아비투스를 발견하였다.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은 새로운 형태의 교사교육이 실행되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유아 담당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needs of child care teachers at specialized child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bout current nuri curriculum teacher training. For the purpose,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who have the experiences on nuri curriculum teacher training, their stories about teacher training were interpreted by the concept of habitus suggested by Pierre Bourdieu. The collected data from group focus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he process of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teachers’ habitus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teachers’ stories about the overall process of nuri curriculum teacher training, the two habitus related to ‘the refusal in consciousness’ and ‘realistic acceptance’ was identified. The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elt resistance on meaningless teacher training. Second, the identified habitus from the stories about teachers’ satisfaction on teacher training was ‘heterogeneity’ and ‘fearness on inseparable obligation.’ The teachers felt that they are unable to incorporate into regular child care teachers and had complaints about a lack of appropriate educational guidance for them. Third, in the stories about improvement on nuri curriculum teacher training, the habitus of ‘visible alternatives’ was identified. The teachers hoped the implementation in a new form of nuri curriculum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provided.

      • KCI등재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그림책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김소희(Kim So-Hee),조인영(Cho In-Yeong),함윤경(Ham Yun-Gyeong),이연우(Lee You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 관련 중재를 실행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관련 연구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0년 6월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논문 33편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환경,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중 연구대상의 인원수는 1∼3명, 연령은 5세, 장애유형은 발달지체관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설계방법은 단일대상연구가 많았다. 둘째, 중재환경 변인에서 중재자는 교사, 장소는 교실, 중재는 총 16∼20회를 실행한 경우가 많았으나 일반화가 제시된 경우는 매우 적었다. 셋째, 독립변인에서 사용된 그림책은 대부분 선정기준에 따라 기존 출판도서 중에서 선택하여 읽어주기 형태로 제시하였다. 중재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언어활동, 미술활동, 극 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언어활동 이외의 비중이 높아졌다. 넷째, 종속변인은 언어발달 관련 변인의 비중이 가장 높고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 순으로 나타났으나 점차 언어발달 외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에 따라 종속변인을 고려한 경우도 있었으나 대부분 장애유형의 구분 없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아를 위한 그림책 관련 중재 실행방법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ies which conducted intervention using picture book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ap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ntervention stud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argeting a total of 33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June 2020, the research trend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setting,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Finding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variable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were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n 1∼3, the age 5 in average, and developmental delay as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single subject design as the research method. Second, the intervention setting variables in the highest proportion were the teachers as intervention implementer, the classroom as intervention place, and a total of 16∼20 intervention sessions.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that include generalization sessions. Third, most of the picture book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mostly presented in the form of book reading by selecting in existing published book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alyzing by the type of intervention activities, the higher proportion of those activities were language activities, art activities and dramatic activities in order. Also, the proportion of other activities was recently increasing. Fourth, the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were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followed b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Also, the number of cases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other than language development was gradually increasing. A few studies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c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However, most of studies applied dependent variab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disability.

      • KCI등재

        논문 : 부산 금정산 일대 지하수공내 공막힘 물질의 특징과 형성원인

        추창오 ( Chang Oh Choo ),함세영 ( Se Yeong Hamm ),이정환 ( Jeong Hwan Lee ),이층모 ( Chung Mo Lee ),연우 ( Youn Woo Choo ),한석종 ( Suk Jong Han ),김무진 ( Moo Jin Kim ),조회남 ( Heuy Nam Cho ) 대한지질공학회 2012 지질공학 Vol.22 No.1

        금정산 일대 지하수공으로부터 공막힘 물질(clogging material)의 형성원인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공막힘 원시료는 레이저입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 분석을 하였고, 광물분석, 미세구조특성분석을 위하여 X-선회절분석(XRD)과 전자 현미경(SEM, TEM)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로그정규분포에 가까운 입도분포의 특성을 나타내나 일부 시료에서는 여러 구간에서 높은 빈도분포를 보인다. 이 같은 입도특징은 입자의 형성단계가 다양하여 입자의 크기가 다르거나, 물질의 종류 자체가 다름을 의미한다. XRD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막힘 물질들은 주로 침철석, 페리하이드라이트, 래피도크로사이트와 같이 결정도가 낮은 철수산화물이 우세하며, 일부는 철,망간, 아연의 금속물질, 또는 석영, 장석, 운모 및 스멕타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적갈색 시료의 경우 철수산화물, 암적색 및 암흑색 시료는 철수산화물, 망간수산화물, 회백색 및 연갈색 시료는 스멕타이트, 석영, 장석, 철수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SEM하에서 공막힘 물질은 주로 망간수산화물과 미량의 암편으로 구성되는데, 철박테리아의 일종인 Gallionella와 Leptothrix가 철수산화물과 흔히 수반된다. TEM하에서 철박테리아는 협막과 내부에 철수산화물의 덩어리를 산점상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 대사과정에서 철의 침 전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인다. 석영, 장석, 백운모와 같은 조암광물은 지하수공 분포지역인 금정산 일대의 화강암 편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토양이나 대수층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지하수공의 성능을 잘 유지하려면 공막힘물질의 형성원인 규명이 중요한 과제이다.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logging materials formed within groundwater wells in the Mt. Geumjeong area, Busan, Korea, were characterize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of clogging materials was measured by a laser analyzer. XRD, SEM, and TEM analyses were performed to obtain mineralogical information on the clogging materials, with an emphasis on ident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mineral species. In most cases, PSI) data exhibited an near log-normal distribution; however, variations in frequency distribution were found in some intervals (bi-or trimodal distribution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particles originated from several sources or were formed at different times. XRD data revealed that the clogging materials were mainly amorphous ironhy-droxides such as goethite, ferrihydrite, and lapidocrocite, with lesser amounts of Fe, Mn, and Zn metals and silicates such as quartz, feldspar, micas, and smectite. Reddish brown material was amorphous hydrous ferriciron (HFO), and dark red and dark black materials were Fe, Mn-hydroxides. Greyish white and pale brown materials consisted of silicates. SEM observations indicated that the clogging materials were mainly HFO associated with iron bacteria such as Gallionella and Leptothrix, with small amounts of rock fragments. In TEM analysis, disseminated iron particles were commonly observed in the cell and sheath of iron bacteria, indicating that iron was precipitated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metabolism of bacterial activity. Rock-forming minerals such as quartz, feldspar, and micas were primarily derived from soils or granite aquifer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elucidating the formation mechanisms of clogging materials to ensure sustainable well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