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이연승(Lee Yeon Seung),유명순(Yoo Myeong S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로서, 모래상자놀이가 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적응한 행동유아가 모래상자놀이를 통하여 어떻게 자신을 표현하고 집중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또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받으며, 친사회적 행동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과정은 25주에 걸쳐 사전검사, 모래상자놀이실시,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자아존중감 변화양상은 하위요인인 지적 능력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유아개인별 자아존중감 변화추이에서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양상은 나누기, 도와주기, 협동하기 등 친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고, 유아개인별 친사회적 행동 변화추이에서 향상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pro-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and this study is synthetic with using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is made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play with sand box to be the basic material for building children’s personality. For this purpose, the practical case has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children’s sociality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way of expression of themselves and the opportunity of concentration on themselves. The target of the researcher is the 5~6 year old children in N child-care center which is attached to welfare facility in J area in Busan. The children are distracted, disturb others and have difficulty of social management, revealing the problem with a external maladjustment and their low self-esteem. Their home backgrounds are also normal except for one child whose parents are divorced. The research has been made in a daily life without any variable factor. The period of this research is 25 weeks, from August 16, 2006 to February 16, 2007 and pre examination, processing program, post examination are operated in order. As qualitative study, Young sook Kim’s modification on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by Harter and Pike were used. In addition, Won young Lee’s revision and its questionnaire paper and assist material on the "Skill Situation Measues" by Mcginnis and Goldstein were used as measuring tool of pro-sociable behavior. For qualitative analysis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ren which is one of the sub factors and difference in each children who played with sand box. Second, there was an improvement of pro-sociality in sharing, help, and collaboration and it was shown in each children who played with sand box. And there was a change in children's pro-Behavior.

      •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성향에 따른 Draw-A-Story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안찬우(Chan-woo Ahn),두현지(Hyeon-ji Doo),정재은(Jae-eun Jeong),연승하(Seung-ha Yeon),이모영(Mo-yeong L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8 예술과 인간 Vol.4 No.-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우울 수준을 평가하고, 우울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 DAS)의 반응특성을 분석하여, 이야기 그림검사가 유학생들의 우울을 평가하는 선별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S대학에 재학하는 학생 중에서 편의 표집으로 선택된 한국인 학생 113명과 외국인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우울진단검사(BDI)와 DAS 그림검사를 배포하여 총 168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통계프로그램에 의해 ANOVA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에 비하여 더 높은 비율로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우울수준에 따라 DAS 그림검사 점수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한 집단이 비우울집단 그리고 가벼운 우울집단에 비하여 정서내용척도와 자아상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우울수준에 따라 DAS 그림검사의 자극 그럼 선택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DAS 그림검사가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을 평가하는 선별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whether the Draw-a-Story (DAS) test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evaluating the depre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evaluating the level of depre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analyzing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to DAS test based on their level of depression. 113 Korean students and 55 international students,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mong th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S in Chungcheongnam-do were give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DAS test and a total of 168 copies were retrieved and used a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put under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cross analysis by using SPSS 25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pression at a higher rate than Korean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S test scor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showed that the depression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ent scale and self-image scale compared with non-depression group and mild depression group. Third, the analysis o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ecting stimulative pictures in DAS test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S test can be useful as a screening tool for evaluating the depression level of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신체활동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IPA)을 중심으로

        이연승 ( Lee Yeon Seung ),양혜련 ( Yang Hye Ryeon ),변선주 ( Byun Sun Joo ),조경미 ( Joe Gyung M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 정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 평정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대응표본 t 검증과 IPA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교육(보육)과정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활동’,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지는 활동’, ‘영유아의 주도성이 존중되는 활동’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실행도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이루어지는 활동’, ‘교육(보육)과정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활동’, ‘안전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좋은 신체활동 운영을 위해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항목은 ‘영유아의 흥미(관심)를 고려하여 구성한 신체활동’이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항목 중에서는 ‘수업의 적절성 및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자기반성이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장기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교사가 영유아 신체발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목표, 내용, 방법 등을 결정하고 자기반성적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physical activities, examine the level of their actual performance in that regard, an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ir practi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207 early childhood teachers, asking them to rate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ood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s’ t-test and IPA technique. The following have been observed.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that activitie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activities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finally activities in which the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is respected. Meanwhile, in terms of their actual performance, activities wit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ranked the highest, with activitie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the second place, and activities conducted in safe places in the third. Second, among areas of improvements for good physical activities were physical activitie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One of the areas which scored the lowest points in terms of bo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activities containing teachers’ self-reflection on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clas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long-term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improvem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determine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and to conduct self-reflective instruction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연승(Lee Yeon-Seung),최진령(Choi Jin-R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 자격제도에 대해 보육교사 및 유치원교사(이하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더불어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유아교사 201명이며,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7.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기준이 적절하지 않으며, 자격기준이 강화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on the certificate system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and utilize its result as fundamental material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for 201 randomly sampled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in B city. For analyzing the data, SPSS win 17.0 were us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certificate system are not appropriately. The certificate system was strengthened and it was improved and with the fact that it will recognize it does.

      • KCI등재

        디아스포라,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조선족 문학 ― 재한 동포문인협회 동인지 『동포문학』 연구 ―

        이연승 ( Lee Yeon-se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8

        이 논문은 재한동포문인협회에서 발간하는 동인지 『동포문학』에 수록된 시문학의 디아스포라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 문학적 성과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처음 발간된 『동포문학』은 한국으로 이주한 조선족 문인이 주축이 되어 발간한 동인지로서 지금까지 총 4권을 발간하였다. 2000년대 이후 가속화된 글로벌화의 확대와 문화적 혼종성은 조선족의 삶과 의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초국가적 이주로 인한 공동체 해체와 가족 붕괴 현상은 한국은 물론 중국 내에서도 구성원들에게 이원화된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기존의 `상상된 공동체`가 분열되는 현상을 야기하였다. 이것은 시민권이 약화되거나 탈근대국가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국가 층위에서의 탈영토화의 현상을 만들어 냈다. 필자는 2000년대 이후 조선족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바탕으로 그들의 분열된 정체성의 구성과정이 작품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초국가적 이주와 그로 인한 새로운 공동체의 재영토화 과정에 주목하여 소수 민족으로서 조선족이 살고 있는 당대의 삶을 어떻게 문학 속에 수용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은 초국가적 이주를 통해 변형되고 확장되었지만 한국에 이주하거나 왕래하면서 시를 쓰는 조선족 문인의 사례는 한국의 가리봉이나 영등포 같은 주거지를 중심으로 독립적인 정체성을 강화시키면서 기존의 종족 공동체를 재영토화하여 새로운 모색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다룬 재한동포문인협회의 『동포문학』에 수록된 시들은 조선족들이 현지에서 겪는 갈등과 모순을 시로 형상화시키고 현실적으로 첨예화된 조선족의 당면 문제를 잘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asporic features of poetry in the Korean literature published by the Korean Confederation of Japan and to examine its literary achievements. The "Fellow Literature",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2013, is a doujinshi published by the Korean-Chinese literate who moved to Korea. The expansion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hybridity accelerated since the 2000s have greatly changed the life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The disintegra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collapse of the family caused by the transnational migration caused the division of the existing imagined community by forming the dual identity to both members in Korea and China. This has created a phenomenon of de-territorialization on the national level by weakening of citizenship or the emergence of post-modern state phenomena. Based on the socio-cultural changes of the Korean people since the 2000s, I examined how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divided identities is embodied in their works and focused on the process of re-intellectualization of transnational migrations and their new communities. And how they are embracing the life of the contemporary life in literature. Although the identity of Chinese Korean ethnics has been transformed and expanded through transnational migration, the case of Korean-Chinese writers who write poetry while migrating to or from Korea strengthens its independent identity centered on residential areas such as Garibong and Yeongdeungpo in Korea, It can be understood as a territorialization and a new search. The poems contained in the "Fellow Literature"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ists dealt with in this article can be interpreted in the sense that they represent th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experienced by the Korean people in the locality and reflect the real problems of the Korean ethnic Chinese.

      • KCI등재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계획」중 우수교원 배치 및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연승(Lee Yeon-Seung),곽미금(Kwack Mi-Gue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 사립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중「우수교원 배치 및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의 변인이「우수교원 배치 및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치원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교육 선진화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유치원 우수교원 양성과 임용제도 개선,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단계적 도입, 우수교사 발굴·지원 및 사립 유치원 교원 처우 개선, 공립 유치원장 평가 및 공모제 도입, 공립 유치원 교사 배치 방식을 개선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모두 긍정적 응답이 부정적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원양성 및 임용제도 개선, 전문성 제고를 위한 맞춤형 연수ㆍ장학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교사의 연령, 경력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단계적 도입, 우수교사 발굴ㆍ지원 및 사립 유치원 교원 처우 개선, 공립 유치원장 평가 및 공모제 도입, 공립 유치원 교사 배치방식 개선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는 교사의 연령, 경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posting and utilization of teachers with superior ability in an effort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ight direction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dvancement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ir outlook on the posting and utilization of teachers with superior ability, the teachers gave more positive opin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excellent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system,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appointment system, the phase-in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the selection of excellent teachers, a supply of support for excellent teachers,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 evaluation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 invitation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st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as for the impact of the variables of the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of the posting and utilization of excellent teachers, their age, career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excellent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system, the improvement of the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system and a supply of customized training and supervision services geared toward boosting professionalism. In contrast, their age, career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ir view of the phase-in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 evalu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 invitation system. Their age, career exercis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n the selection of excellent teachers, a supply of support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유아의 언어상호작용성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R-러닝 로봇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이연승 ( Yeon Seung Lee ),이민정 ( Min Jung Lee ),강민정 ( Min Jung K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논문은 R-러닝 로봇통합 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로봇수용능력을 언어상호작용성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본 연구의 대상은 A시에 소재하는 1개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4명과 B시에 소재하는 1개 유치원 만 5세 유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 유치원의 24명의 유아들은 실험집단, B 유치원의 24명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R-러닝 통합활동을 주 1회 40분 동안 제공하였으며 제니보와 아이로비Q를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제집단 유아들은 이들 R-러닝 로봇이 제공되지 않고 일상적인 교육과정 중심의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략하게 다음과 같다. 첫째, R-러닝 통합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성의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해 향상되었다. 둘째, R-러닝 통합 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성 중 의사소통 상호작용성의 경우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R-learning acceptability revealed child`s language interaction abil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A city and 24 children in B city. 24 children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nd 24as control group.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genibo and irobi in free Brief resul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howed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bility of language interaction. Seco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bility of linguistic interaction abilit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 KCI등재

        R-러닝 통합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로봇활용 다면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연승 ( Yeon Seung Lee ),이민정 ( Min Jung Lee ),임수진 ( Su Jin Y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child``s multi-faceted ability of robot in r-learning integrative activ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 children of age 5 from two kindergarten in K and P city. Children of age five from a kindergarten in K City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P city were assigned as comparative group.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r-leaning integrative activity of a total of 12 using i-robii and genibo.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me based integrative activity using irobi and genibo during free play activity time. Brief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verall child``s multi-faceted ability of robot was improved. Second, child``s multi-faceted ability of robo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rea of robot related knowledge, robot related function, peer robot related cooperation, robot task completion, and robot task sustain ability. 본 논문은 r-러닝 로봇통합 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로봇활용 다면적 능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K시와 P시에 소재한 총 2개 유치원의 만5세 2개 학급 총 40명의 유아들이다. K시에 소재한 1개 유치원 만5세 유아들은 실험집단으로 P시에 소재한 1개 유치원만5세 유아들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총 12회 동안 아이로비와 제니보를 활용한 r-러닝 통합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주제중심 통합활동에 참여하면서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아이로비와 제비로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러닝 통합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로봇활용 다면적 능력은 비교집단에 비해 향상되었다. 둘째, r-러닝 통합 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로봇활용 다면적 능력은 로봇지식 활용, 로봇기능 활용, 로봇활동 수행 및 완성, 로봇활동 지속성 등에서 의미있게 향상되었으며, 또래로봇활용 능력에서는 향상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