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검사 자료를 이용한 사업용 화물자동차 차령 관리 시작 년도 선정에 관한 연구

        이승준,권철우,이철기,윤일수,Lee, Seungjun,Kwon, Cheolwoo,Lee, Choulki,Yun, Ilsoo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4

        자동차의 성능과 안전성 저하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 택시, 화물자동차의 운행 가능 연령을 제한하는 '차령제한제도'가 1973년 시행되어, 노후 자동차의 운행 제한, 차량 조기 대체 촉진, 차량 고장에 의한 교통사고 감소 및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증대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경기부양을 억제한다는 판단 하에 화물자동차 관련 차령제한제도는 1997년 8월에 폐지되었다. 최근 발생한 창원터널 사고 등 대형 화물자동차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 중에 차량 노후화도 포함되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화물자동차의 차령 관리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업용 화물자동차의 안전도 분석을 통해 화물자동차의 차령 관리가 필요한 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order to minimize problems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automobiles, the "Age Limit for Vehicles System" which restricts the age of buses, taxis, and trucks, was implemented in 1973. This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accidents and increase of user's service satisfaction. However, the restriction system for trucks was abolished in August 1997 as it was deemed restrictive to economic growth. It is found that one of main causes of traffic accidents such as Changwon Tunnel accident occurred in recent years, is the aging of trucks. Thu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management of the age of trucks. In this study, the time when cargo vehicles need to be managed is suggested, by analyzing the safety of cargo vehicles using vehicles inspection data.

      • KCI등재

        연행작용을 고려한 우면산 토석류 모의 매개변수 특성분석

        이승준,안현욱,김민석,임현택,Lee, Seungjun,An, Hyunuk,Kim, Minseok,Lim, Hyuntaek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9

        The shallow landslide-trigerred debris flow in hillslope catchments is the primary geological phenomenon that drives landscape changes and therefore imposes risks as a natural hazard. In particular, debris flows occurring in urban areas can result to substantial damages to properties and human injuries during the flow and sediment transport process. To alleviate the damages as a result of these debris flow, analytical models for flow and damage prediction are of significant importance. However, the analysis of debris flow model parameters is not yet sufficient, and the analysis of the entrainment, whic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process and the damage extent, is still incomplet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rosion and erosion process on the flow and the impact area due to the change in the soil parameters are analyzed using Deb2D model, a flow analysis model of debris developed in Korea. The research is conducted for the case of the Mt. Umyeon landslide in 2011. The resulting impacted area, total debris-flow volume, maximum velocity and inundated depth from the Erosion model are compared to the field survey data. Also, the effect of the entrainment changing parameters is analyzed through the erosion shape and depth. The debris flow simulation for the Raemian and Shindong apartment catchment with the consideration of entrainment effect and erosion has been successful. Each parameter sensitivity could be analyzed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two basins based on the change in parameters, which indicates the necessity of parameter estimation.

      • KCI등재

        독일의 스토킹 처벌 규정의 개정과 그 시사점

        이승준(Lee, Seungjun) 한국형사정책학회 2017 刑事政策 Vol.29 No.2

        Legislative situations of each country reflect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such as the judiciary, legal reality, and criminal policy needs.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hat the legislative situation of a certain country is directly reflected in Korea.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deny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reason when many countries deal with some crime and social phenomena with common interest. The stalking is in that problem areas. There is no big theory that the stalking and the resulting crimes resulting from the crime in our country have not been regulated by the punishment of the Minor Offenses Act. In this reality, it is highly suggested to us that Germany revised the provisions of Article 238 of the Criminal Code in order to ensure proper punishment and protection of victims because of failure of effective punishment by stalking punishment regulation. The point of view that stalking is no longer approaching the problem of personal affection should disappear. The current Stalking punishment bills which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laws that have been submitted in the past, and it has advantages in the form of special act or individual law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of various special criminal laws that exist now, it would be reasonable to prescribe in the form of special law on punishment of stalking as the next best way. And that the method can be defined in an inductive wa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se and action. And considering the intensification or proliferation of the crime after the stalking, it is appropriate to make stalking as crime subject to victim s complaint.

      • 에머지 방법론을 활용한 우역의 지속가능성 평가 :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이승준 ( Seungju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7 No.-

        지속가능성은 환경, 경제, 사회의 상호 연계성을 바탕으로 균형 있는 발전을 지향하는 개념이다. 그동안에는 정책 방향이 경제에 무게를 두었으나, 이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환경가치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 단위인 유역 관점의 환경관리는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하며,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환경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시스템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는 에머지 방법론을 도입하고, 유역 단위의 지속가능성 평가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역 단위 지속가능성 평가방안을 이용하여, 최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더불어 행정 중심지로서 개발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금강유역을 하나의 사례로 삼아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현재 국가나 지역의 통계자료는 대부분 행정구역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 점 때문에 에머지 방법론을 활용하여 행정구역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유역을 평가할 때, 행정구역 단위 통계 데이터를 유역 단위 데이터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발생한다. 재생자원의 경우 기상 자료와 유역면적 등의 자료를 활용하므로 유역 단위 에머지 산정이 비교적 용이하다. 반면에 사회경제계와 관련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외부 구매자원의 경우 행정구역 단위데이터를 면적 비례, 경제총생산 비례, 인구 비례 등을 통해 유역 단위 데이터로 변환해야 한다. 또한 에머지는 특정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는 데 들인 물질, 에너지, 정보 등의 투입량을 바탕으로 가치를 산정하는데, 사회경제계의 데이터는 많은 부분이 물질, 에너지, 정보의 단위보다 화폐량 단위로 구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에머지가 어느 정도 저평가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역 단위 에머지 평가방안을 금강유역의 에머지 평가에 적용해 본 결과, 2013년 기준으로 경제적 생산성을 의미하는 에머지 생산율(EYR)은 1.03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환경적 부담을 의미하는 환경부하 비율(ELR)은 153.18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에머지 생산율과 환경부하 비율의 비로 정의하는 에머지 지속가능성 지수(ESI)는 낮은 에머지 생산율과 높은 환경부하 비율로 인해 0.0067로 낮게 나타났다. 에머지 생산율이 낮고 환경부하 비율이 높은 원인은 높은 수입 의존도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유역이 사회경제활동을 위해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자원과 국내 타 지역으로부터 구매하는 자원의 에머지 비중이 전체 에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외부의존도가 높아 지속가능성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에머지 방법론이 그 자체로 완전하거나 객관적인 방식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기존 의사결정을 위한 평가방법론들 중에 비교적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잣대를 바탕으로 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방법론에서 도출된 결과들과 함께 정책 의사결정의 도구로 활용할 가치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국책사업이나 환경영향 평가, 생태계서비스 평가 등에 두루 활용함으로써 여타의 방법론들이 평가하지 못하는 환경자원 고유의 가치를 보다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기존의 정성적 방식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에머지 방법론을 활용한 유역 단위 지속가능성 평가를 다른 권역에도 적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유역별로 본 연구와 같이 에머지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비교하고 각 권역별로 환경이나 경제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다 면밀한 비교와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개선하고, 연구를 통해 환경부하 비율과 같은 에머지 지수체계도 보다 정교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환경의 연계성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유역 중심의 환경평가와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As sustainability is a concept oriented towar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a proper valuation of the environment is required to compensate the previous policy direction that has focused on the economy.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based on a watershed, which is a unit of material and energy circulation, considers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emergy methodology, which has been built upon systems approach, as a valuation tool and suggest an evaluating method of the watershed sustainability. As a case study, the study evaluates the sustainability of the Geum River watershed, where development pressur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using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Since the current national and local statistics are arrang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uncertainty may increas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data into the one for a watershed unit. Although the renewable resource data like weather or area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for a watershed unit, socioeconomic data such as imports and exports requires the transformation of the data for a watershed unit by a proportion of area, gross production, or population. Since the emergy is generally evaluated using the quantity of material, energy, and information previously used to make a product, the socioeconomic data, which is typically represented by a monetary unit, may underestimate the emergy of a product. As a result of the emergy evaluation of the Geum River watershed using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the Emergy Yield Ratio(EYR) is as low as 1.03, and the Environmental Loading Ratio(ELR) is as high as 153.18. The Emergy Sustainability Index(ESI), which is calculated by EYR/ELR, is as low as 0.0067. The dependence of the economy on the externally purchased resources is the major factor that influences the low EYR and the high ELR. That is, most of the emergy of the Geum River watershed comes from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mports. Emergy would be valuable as a quantitative assessment tool if it is used with other methodologies, which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valuation, in the decision-making and assessment processes, such as national proje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ecosystem service assessments. As a future study, the watershed-based sustainability assessment using the emergy methodology needs to be carried out for other watersheds. By assessing emergy indices of other watersheds and comparing them, one would get insights on policy recommend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better emergy evaluation of a watershed, data needs to be arranged in a watershed unit and emergy indices such as ELR and ESI need to be improved to reflect the environmental loading and sustainability concept better. In addition, policy should facilitate the watershed-base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under the linkage between natural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s.

      •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방안 연구

        이승준 ( Seungjun Lee ),김영욱 ( Yungwook Kim ),( Thomas Schink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기후위험 관리에 있어서 일반인의 기후변화 위험 인식 파악이 효과적 정책 소통과 참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이해관계자 참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기후위험 관리의 이해관계자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해관계자 참여에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위험에 관한 일반인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참여방식을 고찰하고, 기후위험 관련 이해관계자 참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기후위험 관리는 현황에 따라 구체적 이해관계를 논의하거나 조정해야 하는 이슈부터 포괄적이고 일반인 대상 소통이 필요한 이슈까지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후위험 관리의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의 주제의 성격과 이해관계 및 갈등의 성격에 따라 이해관계자 참여방식을 구분하는 틀을 제시하였다. 논의 조제의 성격이 어느 정도 포괄적인지, 다루는 주제가 다양한지, 혹은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하는 주제인지 등에 따라, 기후변화 위험 전반에 대한 인식제고나 태도변화를 포괄적으로 유도하는 경우 잠재적 이해관계자의 전 국민 대상 기후변화 캠페인이나 소통방안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이면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을 경우에는 이해관계자 참여를 공론화나 갈등조정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해관계나 갈등이 잠재적이면서 이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공유하고 숙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는 경우 공론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고, 이해관계나 갈등이 이미 표출되어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슈에 관해서는 갈등조정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일반인이 인식하는 기후변화 위험은 개인의 경험이나 사회문화적 요소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위험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유사한 인식을 보이는 군집을 분류하여 특성을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위험에 관한 군집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개인차원 문제인식해결 군집을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환경에 대한 책임감과 관련 행동의지가 강해 개인 효능감이 높다. 그러나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정책 효능감이 낮고 이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나 관심도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다. 이들에게는 형평성이나 신뢰 등의 가치가 중요하다. 두 번째, 적극적인 문제인식해결 군집은 위험성 인식이나 책임감 및 행동의지가 높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정책 효능감이 높고 중요성 인식과 관심도 높은 집단이다. 주로 40대 이상의 높은 연령대와 고학력자, 고소득, 자녀가 있는 기혼자가 높은 분포를 보이는 집단으로 자신의 주변 환경상태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세 번째, 소극적인 문제인식해결 군집은 기후변화에 대한 주용성 인식이나 관심은 높은 편이지만, 전반적으로 위험 인식이나 환경에 대한 책임감 및 관련 행동의지가 낮고 개인 효능감이나 정책 효능감이 낮은 집단이다. 주로 낮은 연령대의 미혼자가 높은 분포를 보였고, 문화이론의 세계관에 있어서는 운명주의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세가지 군집에 대해 공중상황이론을 적용하여 소통 및 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기후위험 관리에 관한 오스트리아 사례분석과 인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위험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을 위한 핵심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핵심 고려사항들은 총 4가지의 영역, 즉 효과적 참여도구 마련, 인식의 격차 및 불확실성 극복, 지역적 특성 고려, 참여자 배려 및 능동적 참여 유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영역에 대해 기존 이해관계자 참여에 관한 일반적 지침은 생략하고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에서 특히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는데, 이 사항들은 기후위험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기후위험 관리정책에 있어서 이해관계자 참여가 요구되는 이슈를 발굴하고 실제로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을 실행하는 프로젝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참여 지침과 접근의 틀을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향후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effective stakeholder engagement in climate risk management, based on the fact that understanding the way the laypeople perceive climate risk is crucial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e suggest a framework for stakeholder engagement in climate risk management, while analyzing the perception that laypeople have on climate risk in order to apply the analyzed results to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We also provide insights into stakeholder engagement by studying Austrian cases in climate risk management.Climate risk management encompasses various issues from those resolving specific conflicts to those that are comprehensive and need to be communicated to the public. Considering the wide spectrum of topics in climate risk management, we suggest a framework of selecting appropriate methods for stakeholder eng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and the exposed level of conflic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a climate change campaign 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ould be appropriate when it is intended to draw a specific societal consensus. Regarding the exposed level of conflict, public discussion may be preferred when the conflict is still latent and it is required for the potential stakeholders to share information and discuss deliberatively for a societal consensus. Conflict resolution, however, would be supported for issues revealing sharp conflict.Risk perception of laypeople is largely influenced by personal experiences or sociocultural factors. We provide a typology of perception on climate risk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The first group, called the ‘individual group’, has strong self-efficacy with a clear perception of climate risk and responsibility for climate action, while they maintain low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its policy. Although the individual group seems to be less interested in the climate issue, it tends to place more weight on the values such as equity or trust. The second group, called the ‘active problem-facing group,’ has strong self-efficacy as well as high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This group is more interested in climate issues and satisfied with the living environment. Statistically, more people with older age, higher income, higher education, and children are distributed in this group. The third group, called the ‘passive group,’ shows the lowest self-efficacy and responsibility for climate risk among the groups, while they claim that climate issues are important. Statistically, more people who are younger, unmarried, and believe in fatalism are distributed in this group. We sugges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trategies for these three groups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We also suggest key points to be considered in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especially for climate risk management based on Austrian case studies and perception analysis. The key points are categorized by four areas: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participation methods, reduction of a perception gap and uncertainty, consideration of regional attributes, and care for participants. The detailed key points in each area would be used as guidance for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in climate risk management.It is recommended that following research projects focus on practical aspects, such as finding climate risk management issues that are related to stakeholder engagement and conducting pilot projects of the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By applying the insights from this study to stakeholder engagement project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reinforced or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