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병선,이승연,신상섭,Kahng, Byung-Seon,Lee, Seung-Yoen,Shin, Sang-Sup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순천시 송광면 삼청리 왕대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초연정이 왕의 피난처, 제각, 별업, 강학공간으로 변모되는 양상에 착안하여, 시기별로 변모되는 장소성과 문화경관의 변용양상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재 송병선이 명명한 '초연'이란 정자명칭은 노자의 도덕경에 연원하는데, 순천 초연정을 비롯하여 포천 초연대, 가평 초연대, 창덕궁 후원 초연대, 유성 옥류각의 초연물외 등 정(亭), 대(臺), 각(閣) 등 공간속에 다양하게 투영되고 있어 도가적 풍류가 유가적 공간에 자연스럽게 접목되는 유불도 습합양상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초연정은 모후산 풍수경관과 수목석이 어우러진 계류풍광과 암경, 월출경, 도가적 이상향을 반영한 동천복지, 성리학적 이상향을 반영한 구곡처 등 승경향유의 요처에 절묘하게 자리하고 있으며, 왕대마을(왕의 주둔지), 유경(留京), 왕대사적 바위글씨, 그리고 오장대(장군기를 꽂아 놓은 자리), 모후산 등 고려말 공민왕의 피난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장소성을 갖는다. 셋째, 초연정의 아름다운 계류 암벽 바위글씨(趙鎭忠別業, 宋秉璿)를 통해 유가적 가치를 반영한 거점(별업)뿐만 아니라 도가적 동천복지로서의 영역성(1km 이내에 월청, 풍청, 수청 각자와 삼청동천), 그리고 외원권역을 확장하여 수변계류에 9곡 <세록교(洗鹿橋) 봉일대(捧日臺) 자미구(紫薇鳩) 운매대(雲梅臺) 와룡총(臥龍叢) 광석대(廣石臺) 은선굴(隱仙窟) 벽옥담(碧玉潭) 와석포(臥石布)>을 설정하고 산수유상과 강학, 경관미학적감수성 제고 등 수심양성을 위한 성리학적 낙토를 원림속에 담아낸 복합 문화경관 향유 양상을 보여준다. 넷째, 초연정은 1778년 대광사 승려의 수도처(水石亭)로서 선원 기능을 하던 장소인데, 1836년 조진충이 선조의 묘 앞에 제각을 지어 별업을 초창했고, 1864년 조재호는 기와로 중수하여 선조를 기리는 별업기능과 도가적 은일처로 활용하는 확장성을 추적할 수 있다. 이후 1890년 조준섭은 스승 연재 송병선에게 '초연'이라는 정자 명칭을 받아 강학처로 활용하는 등 (1)불교 수도처${\rightarrow}$(2)유교 별업처${\rightarrow}$(3)별업+도교적 풍류처${\rightarrow}$(4)별업+도교적 풍류처+강학처(성리학적 낙토)로 용도가 확장 변용되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다.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
신상섭,이승연,Shin, Sang sup,Lee, Seung yoen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조선후기 문신 한필교(1807~1878년)가 관직을 역임했던 읍치를 대상으로 제작한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 화첩의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 읍치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실증사료로서의 가치추적, 공간구조 등의 전형성 정립, 관아조경 및 문화경관 특성 도출 등을 시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풍수형국도' 성격을 겸하며 사방전도묘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의 읍치도는 조선시대 지방고을의 터잡기와 공간구조는 물론 환경설계원칙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고을 치소(邑治)는 남북 중심축선에 위계를 설정한 배산임수 체계이며,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관아시설, 그리고 3단1묘의 제례처 등 도성에 준한 토지이용과 배치규범을 적용하고 있다. 교통요충지에 자리한 고을 치소는 어귀 장터마당을 결절점으로 안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관아 문루에 다다르는 노단경이 형성되고, 고갯길 또는 물길을 따라 외부 바깥길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는다. 즉, 동선체계는 바깥길-고갯길-어귀길-장터마당-안길-또는 샛길로 수용력과 위계에 따라 분절되며 3거리 길로 접합되는 양상이다. 지방관아의 토지이용은 3조(三朝)의 개념(외조, 치조, 연조)을 반영한 위계적 구성인데, 동헌의 후원과 객사의 별원을 포함하여 3문3조2원(三門三朝二園)의 공간체계를 보여준다. 고을의 뒷동산 소나무 숲, 명당수인 남천, 안산(案山)에 해당하는 조산(造山), 비보숲 읍수(邑藪) 등 풍수적 경관짜임이 작용되었는데, 겨울철 북서풍 차단과 여름철 상승기류 형성 등 에너지 보존, 색체 항상성, 자연재해 방지와 심리적 안정성 등 쾌적성 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지속성이 추출된다. 한적한 곳에 자리한 향교는 별도의 원림을 가꾸지 않았으며, 누정은 심신수양, 안분지족, 자연회귀 같은 상징적 가치, 정치적 행사와 윤리관 반영, 유흥상경 등 문화경관 양상이 다양하게 표출되는데, 객사에는 기와를 얹은 와정(瓦亭)이, 동헌과 내아에는 네모꼴 연못을 두고 소박한 모정(茅亭)이 도입되는 차별성을 보여준다. 관아에 지표경관으로 문루가 자리하고, 군사훈련 및 심신수양을 겸한 사정(射亭)이 필수시설로 도입되었다. 아사의 앞뜰은 네모꼴 마당(庭)으로 조경처리를 하지 않은 반면, 정청의 뒤뜰(後園)과 객사의 별원(別園) 등은 장식적으로 가꾸었다. 이러한 관아조경은 공간 성격 및 위계를 반영하되 기능적 지속성(차폐와 방화, 미기후조절 등)과 심리적 건전성, 상징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경관미학이라 하겠다. 한편, 소나무, 느티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향나무(또는 노송), 연(蓮), 화목(花木) 등이 조경식물로 활용되었는데, 환경심리적 가치가 부가된 배후숲, 조산숲과 비보숲 등과 함께 건전한 문화경관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조 및 환경설계 원칙이 제도적 틀 안에서 정형성으로 작용되고 있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C57BL/6N 마우스 탈모모델에서 미세다륜침과 영지추출물이 모발성장에 미치는 영향
주봉현,유선애,강경화,이승연,Ju, Bong Hyun,Yu, Sun Ae,Kang, Kyung Hwa,Lee, Seung Yoen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14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8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GLE) and microneedle therapy system (MTS) on hair growth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N mice. Methods Five-week old mice were depilated and separated in 4 groups ; CON (50% EtOH), MXD (5% Minoxidil), MTS and GLE + MTS. The treatments were applied twice a week for 3 weeks. The hair growth was determined photographically, the hair density, thickness and length were identified by Folliscope and the weights of body and organs were measured. In dorsal skin tissue, the expression of hair growth-related gene and protein was analyzed by RT - PCR or Western blot. In addition, the hair follicles in the dermis were observed by H&E staining. Results The promotion of hair growth was observed in GLE + MTS and MTS compared to CON. The hair density, thickness and length were also improved in GLE + MTS and MTS compared to CON. The mRNA expression of TGF-${\alpha}$, TGF-${\beta}1$, IGF-1, PRL and PL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VEGF and IGF-1 were increased in GLE + MTS and MTS compared to CON. The hair follicles and hair root growth were improved in GLE + MTS and MTS compared to CON. In the above results, GLE + MTS were more effective than M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E and MTS has a hair growth activity and can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임재형 ( Jae Hyoung Im ),김민수 ( Min Su Kim ),이승연 ( Seung Yoen Lee ),김소헌 ( So Hun Kim ),홍성빈 ( Seong Bin Hong ),남문석 ( Moon Suk Nam ),김용성 ( Yong Seo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1
Acute esophageal necrosis is a rare clinical entity characterized by the endoscopic finding of extensive black discoloration of the esophageal mucosa. Acute esophageal necrosis in a patient with diabetic ketoacidosis has rarely been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acute esophageal necrosis in a patient with diabetic ketoacidosis. The patient had coffee ground emesis and, after an esophago-gastroduodenoscopy with mucosal biopsy, acute esophageal necrosis was diagnosed. The patient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an intravenous proton pump inhibitor and oral sucralfate without any complications.
이승연,여지선,김혜지,민혜란,오승열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 2004 약학논문집-숙명여자대학교 Vol.21 No.-
We have prepared hydrophilic karaya gum patches containing ketoprofen and studied some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 the transdermal flux of ketoprofen, as a first step to develop an iontophoretic transdermal patch system. The effect of penetration enhancer (propylene glycol monolaurate: PGML), short-time current treatment and continuous current on flux was studied. The effect of pH of the receptor solution and poly (L-lysine) (PLL) was also studied. PGML increased the passive flux markedly, and as the concentration of PGML in the matrix increased, passive flux increased. Iontophoretic treatment of skin (0.4 mA/cm²) for an hour increased the average passive flux more than two times, when the matrix contained no enhancer. It also increased the average passive flux further, when enhancer was incorporated into the matrix. Continuous iontophoretic transport showed unexpected result; the average flux at 0.2 mA/cm² was similar to that at 0.4 mA/cm², and was higher than that at 0.6 mA/cm². PLL increased the continuous iontophoretic transport at all current density, and the average flux was higher at 0.6 mA/cm² than at 0.4 and 0.2 mA/cm².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hen the receptor solution was changed to pH 4.0 buffer solution. These result demonstrate, that electro-osmotic flow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flux of ketopro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