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가, 시․도, 학교 수준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실태 분석 연구

        이승미,이병천,백경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governance at the level of national, local, and schoo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in four regions and interviewed about the general curriculum, subject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personnel.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ed into two divided sections, which are the accountability and the role of curriculum governance according to each level and the influence of each level on the curriculum governance of the lower level.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the long-term revision period of curriculum linked to education policy, the simplific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stage, the active linkage and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leadership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riculum members, and the decision on the degree of detailing or slimming the curriculum regulations based on the degree of curriculum expertise in the school fiel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국가, 시․도,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거버넌스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개 권역의 교육청, 교육지원청, 학교를 방문하여 교육과정 총론, 교과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각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책무성과 역할 실태와 각 수준이 하위 수준의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나누어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 정책과 연계한 장기간의 교육과정 개정 기간, 교육과정 개발의 단계 간소화,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에서 지역 사회와의 활발한 연계․협업, 교육과정 리더십과 구성원의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전문성의 정도에 기반한 교육과정 규정의 대강화 또는 상세화 정도의 결정 등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 설정을 위한 총론의 주요 역할 탐색

        이승미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총론이 수행해야 할 중요한 역할을 총론 문서와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문서가 하나의 일관된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총론 내, 총론과 각론과의 관계, 각론 내에서 모두 일관성 있는 편성 방향을 제공해주는데 있다고 보고, 특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꾸준히 관심사가 되고 있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하여 총론이 수행해야 할 일 을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총론과 각론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하여 총론이 중점을 두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자 하였으며,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표방하고 있는 뉴질랜드, 독일 헤센 주, 캐 나다 퀘백 주의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문서 체제 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를 합 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방향 설정을 위한 총론의 기본 질문의 리스트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만 2세 영아반 교사로서 맺는 다양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정서 분석

        이승미,이승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아반 교사들이 맺는 다양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정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2세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영아와의 관계에서 개별적인 애착형성에서 느끼는 보람과 기쁨, 영아의 교육과 성장발달에서 느끼는 성취감, 영아의 발달 특성에 대한 적응과 육체적․정신적 요구의 과다에서 오는 어려움, 교사주도의 집단활동을 계획․실행하면서 느끼는 난감함의 정서를 주로 가지고 있었다. 둘째, 부모와의 관계에서는 영아를 위해 협력하고 신뢰하면서 느끼는 만족감과 잦은 접촉으로 인해 느끼는 부담감, 그리고 어린 나이와 자녀양육경험이 없는데서 느끼는 위축감의 정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는 협력 및 지원을 통해 동기가 부여되고 만족감을 느끼지만 교육․보육과정 운영 중에 미묘한 갈등과 불편함의 정서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반 교사의 업무 특성 이해와 영아반 교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sought to explore toddler teachers' emotions that emerge from their various relationships in two-year-old classrooms. 13 teachers who were working with toddlers i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dence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ddler teachers had not only feelings of pleasure and reward but also feelings of difficulties and being at a los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oddlers. Second, toddlers teachers felt satisfaction and worth of their work, but also felt difficulties and burden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oddlers' parents. Third, toddlers teachers felt satisfaction, subtle complications, and discomfort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rincipals and other teacher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toddler teachers' work and for supporting their work.

      • KCI등재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이승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xtbooks and related support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on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lated to ‘Korean Responsibility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consisted of five units directly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mount of the fingerprint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integrated textbooks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generally reduced, which help the first graders to learn Korean language faithfully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34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ook charge of elementary school in 2018, which was first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in Korea,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compared to previous textbooks, new textbooks are positive to learn Korean language. But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strengthened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and level of students who have not learned Hangul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글책임교육 정책’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과서와 관련 지원의 효과를 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는 5개 단원을 한글 해득과 직접 관련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수학, 통합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지문의 양을 전반적으로 줄이고 제시되는 한글의 난도를 낮추어 초등학교 입학 이후에 한글을 충실히 배우는 한편 교과 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글책임교육 정책이 교육 현장에 처음으로 적용된 2018년도에 초등학교 담임을 맡은 34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의 교과서에 비하여 현재의 교과서가 한글 해득 교육 실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입학 초기 한글 미해득 학생의 비율과 수준을 고려할 때 한글 해득 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