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cagE 유전자 다형성이 위상피세포주에서 Interleukin-8 유도능에 미치는 영향

        이수민,이학성,이인석,조유경,한혜원,오정환,박재명,최명규,정인식,Lee Su-Min,Lee Hak-Sung,Lee In-Suk,Co Yu-Kyung,Han Hae-Won,Oh Jung-Hwan,Park Jae-Myung,Choi Myung-Gyu,Chung In-Sik 한국생명과학회 2004 생명과학회지 Vol.14 No.6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s highly prevalent, as high as 2/3 of whole population infected, in Korea. H. pylori infection initiates inflammation by induction of interleukin-8 through type IV secretion of CagA. It was recently suggested that induction failure of IL-8 is not associated with defect in cag PAI but associated with cagE locus divers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bility of 11-8 in-duction according to sequence variation within the cagE gene, cagA TP motifs and vacA m-types in vitro study using AGS cell-line, and to evaluate its association with different clinical outcome. Seventy-four H. pylori stains were isolated from 23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Ca), 24 subjects with gastritis (G) and 27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Du)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Seoul, Korea. cagE gene diversity was confirmed by the PCR-RFLP methods with MboI/NlaIII and tyrosine phosphate motifs (TPMs) of cagA was determined TPM-A and C by using DdeI/Tsp5091 restriction enzyme and TPM-B was determend by Real time PCR the method of Owen et al. and IL-8 was measured by ELISA assay. IL-8 activity was positively detected in 59 among 74 strains $(79.7\%)$. IL-8 secre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boI A and MboI B type compared to MboI C type and in MboI/NlaIII A-C and B-C type than C-C type. 1L-8 activity was not associated with either the number or composition of cagA tyrosine phosphorylation motifs and vacA m-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L-8 activity among patient groups. cagE gene diversity is thought to be mainly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IL-8 in H. pylori infection. 한국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균주가 위암 세포주에서 IL-8를 유도하는 유도능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4형 분비구조의 주요 구성체인 cagE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라 IL-8 유도능의 차이 및 각 질환에서 분리한 균주에서의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강남성모병원 내시경검사를 받은 환자들 중 H. pylori 감염 양성으로 확인된 위암 23명 $(31.0\%)$, 위염 24명$(32.6\%)$, 십이지장궤양27명$(36.4\%)$ 총 74명을 대상으로 하여 H. pylori를 분리한 후 PCR-RFLP방법을 이용하여 cagE 다형성을 확인하였으며, PCR 및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ragA TPMs를 결정하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를 위암세포주에 감염시켜 상등액을 취하여 ELISA방법으로 IL-8을 정량화 하였다. 전체 74개의 분리 균주 중 59개의 균주$(79.7\%)$에서 IL-8 유도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agE 다형성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는 형태는 MboI/NlaIII B-C, A-C 및 C-C 타입 이었으며, 이중 A-C와 B-C 형태가 C-C 형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IL-8 유도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cagA TPMs의 분류 및 vacA m-아형 분류와 IL-8 유도능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비록 본 연구에서 cagE 다형성과 IL-8 유도능과 아주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vacA m-아형이나 cagA TPMs 보다는 cagE 다형성이 IL-8 유도능과 연관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엔잘루타마이드의 용해도 개선을 위한 고형의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이수민(Su Min Lee),이정균(Jeong Gyun Lee),윤서완(Seo Wan Yun),김경수(Kyeong Soo Kim) 대한약학회 2022 약학회지 Vol.66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ovel enzalutamide-loaded solidified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formulation with enhanced solubility and dissolution rate. Various oil and surfactant were screened, then Medium Chain Triglyceride oil and Polysorbate 80 and Labrafil M2125CS were selected as oil and a surfactant. Pseudoternary phase diagram was constructed to detect the nanoemulsion zone. Among the SNEDDS formulations tested, SNEDDS consisted of MCT oil (oil), Polysorbate 80 (surfactant) and Labrafil M2125CS (co-surfactant) at a weight ratio of 20:70:10. The SNEDDS produced the emulsion droplet size 18.66±0.88 nm. Spray drying technique was used to convert the selected enzalutamide-loaded SNEDDS into solid SNEDDS with inert carrier such as silicon dioxide. Enzlautamide-loaded solid SNEDDS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powder X-ray diffractometry, dynamic light scattering, saturation solubility and in vitro dissolution study. The S-SNEDDS produced an emulsion droplet size of 15.37±0.49 nm and there was no change in particle size between with or without drug. SEM and PXRD results suggested that enzalutamide existed in amorphous form in enzalutamide-loaded solid SNEDDS. In addition, enzalutamide-loaded solid SNEDDS increased saturation solubility 42-fold and dissolution rates 23- fold compared to crystalline enzalutamide. Therefore, the solid SNEDDS could be a potential nano-sized drug delivery system for poorly water-soluble drug enzalutamide.

      • 석면해체 공사의 작업 위험성 기반 공정 계획 모델 개발

        이수민 ( Lee Su-min ),노재윤 ( Noh Jae-yun ),한승우 ( Han Seung-wo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Asbestos is a durable and heat-resistant building material used in various building materials such as slate, ceiling tex, and spray paint. It has been banned since 2009 after found to be a first-class carcinogen that causes various cancers and asbestos lung disease. Since worker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asbestos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moval of asbestos-made building materials and facilities, laws and work standards are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ensure the safety of asbestos dismantling work. In addition, prior studies on exposure levels and analysis method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regard mainly for resident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 of the process conducted during the asbestos investigation and the work is still ambiguous for the safety of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 model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considers work risk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from asbestos dismantling companies.

      • KCI등재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분석

        이수민(Su-Min Lee),이재은(Jae-Eun Lee),,전해정(Hae-Jung Cho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 경력에 따라 직무의 적합도와 중요도, 빈도, 난이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장에서 효율적인 직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으로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 변량 분석 등을 실시하 였고,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의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피부미용 전공 교육이 메디컬 스킨케어에서 스킨케어 직무에서 적합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직무의 실제 현장 에서 빈도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았고, 실무 경력에 따라 난이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 미용 산업이 성장할수록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전문성 있는 직무로 체계화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y empirically analyzing whether the suitability,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of the job depends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f medical skincare workers.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help efficiently perform the duties in the field.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alysis,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looking at the suitability of the job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medical skincare workers, it was confirmed that skin beauty education was being used appropriately in the skincare job in medical skincare. The higher the frequency at the actual site of the job, the higher the importance, and the more difficult it was depending on the working experience. As the medical beauty industry grows, various studies on the jobs of medical skincare workers should be conducted to systematize them into professional jobs.

      • KCI등재

        어머니의 사교육 실천의 구조적 원인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를 활용한 질적 메타분석

        이수민(Lee, Su-Min),김경식(Kim, Kyung-Si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계층 재생산과 주거지 분화 등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사교육 실천이 사교육 경감 대책이라는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는 현상의 구조적 원인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교육 실천의 구조적 원인은 실천 주체인 어머니에 구조화된 사회구조, 즉 아비투스이다. 어머니의 사교육 실천의 아비투스를 밝히기 위해 실천 주체의 담론을 분석한 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였다. 질적 메타분석 결과, 사교육 실천에 매개된 사회구조는 학벌주의, 가부장주의, 자본주의로 드러났으며, 각 구조들이 어머니에 아비투스화된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즉, 학벌주의는 무성적으로(ungendered), 가부장주의는 무계층적으로 성별화된(unclassified and gendered) 방식으로, 자본주의는 계층적으로 성별화된(classified and gendered)방식으로 아비투스화되었다. 먼저, 학벌주의는 교육장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서, 질적 연구들에서 나타난 대학을 목적으로 한 사교육 실천, 학령별 사교육 실천, 기형적 공교육 실천 등으로부터 도출하였다. 그런데 질적 연구들에서 나타난 사교육 실천을 통해 각 구조들이 서로 중첩되어 실천을 일으켰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학벌주의와 가부장주의의 중첩은, 계층을 초월하여 모든 어머니들에게서 나타나는 동질적인 사교육 실천을 설명했으며, 학벌주의와 가부장적 자본주의가 중첩된 영역에서는 자본에 따라 차별적인 사교육 실천이 설명되었다.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과 질적 메타분석이라는 이론적, 방법론적 도구를 통해 사교육 실천의 구조적 원인에 해당하는 바로 그‘구조’를 밝힘과 동시에, 그 구조들이 아비투스화된 메커니즘을 드러내고, 사교육 질적 연구들이 드러내는 다양한 사교육 실천들을 구조들이 중첩된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개별 질적 연구결과들을 뛰어넘는 종합적 설명을 시도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tructural reasons why the shadow education increases despite of political endeavors to reduce it. The very structures are structured in the habitus of mother, the practical subject. To reveal the habitus, methodologically, we use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which synthesize the findings of qualitative research which analyze the discourses of practical subjects. The results indicate the social structures structured in habitus consist of credentialism, patriarchism, capitalism. Credentialism habitus is ungendered, motherhood habitus is gendered but unclassified and middle-class-full-time mother habitus is gendered and classified. Also, we discover the structures work simultaneously to produce practices, not separately. Credentialism is the most basic structure in the educational field. It explains the practices of shadow education forward prestigious university, abnormal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public educational field. Patriarchism overlapped with academic cliquism explains similar practices from all the mothers. In the area of patriarchism-capitalism overlapped with credentialism, we can explain classified practices. This study reveals the very ‘structures’ of structural reasons of the shadow education, the way how the structures are structured in mother, and explains practices of shadow education synthetically beyond individual qualitative findings.

      • 사교육 실천의 아비투스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수민(Lee, Su-Min),김경식(Kim, Kyung-Si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3

        본 연구는 주거지 분화와 계층 재생산 등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사교육 실천이 사교육 경감 대책이라는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는 현상의 구조적 원인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천주체인 어머니의 아비투스에 구조화된 사회구조를 밝히기 위해, 실천 주체의 담론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는 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 메타분석 결과, 사교육 실천의 아비투스에 구조화된 사회구조는 학벌주의, 가부장주의, 자본주의의 세 가지로 드러났으며, 그 중 학벌주의는 무성적으로(ungendered), 가부장주의는 성별화되어 무계층적으로(gendered, unclassified), 자본주의는 계층적으로 성별화되어(gendered, classified) 아비투스화되었다. 또한 각 구조들이 서로 중첩되면서 아비투스화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벌주의는 사교육장과 공교육장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서, 대학을 목적으로 한 사교육 실천, 학령별 사교육 실천, 기형적 공교육을 설명한다. 이러한 학벌주의와 가부장주의가 중첩된 영역에서 모성 아비투스가 내재화되었으며, 모성 아비투스는 계층을 초월하여 모든 어머니들에게서 나타나는 동질적인 사교육 실천을 설명해주었다. 또한 학벌주의, 가부장주의, 자본주의가 모두 중첩된 영역에서는 모성 아비투스가 계층화되어 중산층전업어머니 아비투스가 형성되었으며, 중산층전업어머니 아비투스는 어머니의 자본에 따라 차별적인 사교육 실천을 설명해주었다. 본 연구는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사교육 실천의 구조적 원인에 해당하는 바로 그 ‘구조’를 밝힘과 동시에, 구조가 실천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으로 아비투스 개념을 분석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방법론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개별 질적 연구결과들을 뛰어넘는 종합적 설명을 시도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s explore the structural reasons why the shadow education increases despite of political endeavors to reduce it. The structures are structured in the habitus of mother, the practical subject. To reveal the habitus, methodologically, we use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which synthesize the findings of qualitative research which analyze the discourses of practical subjects. The results indicate the social structures structured in habitus consist of academic cliquism, patriarchism, capitalism. Academic cliquism habitus is ungendered, motherhood habitus is gendered but unclassified. middle-class-full-time mother habitus is gendered and classified. Also, we discover the structures was structured in habitus simultaneously, not separately. Academic cliquism is the most basic structure in the educational field. It explains the practices of shadow education for good university, abnormal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public educational field. In the area of patriarchism overlapped with academic cliquism, we can see motherhood habitus which explains similar practices from all the mothers. In the area of capitalism overlapped with academic cliquism and patriarchism, we can see middle-class-full-time mother habitus which explains classified practices. This study reveals the very ‘structures’ of structural reasons of the shadow education. Also the use of the concept of habitus enables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synthesis beyond individual qualitative findings.

      • KCI등재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 결정 요인: 시장지향성을 중심으로

        이수민 ( Su Min Lee ),김경순 ( Kyung Sun Kim ),민순홍 ( Soon Hong Min ),허대식 ( Dae Sik Hur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4

        환경문제에 대하여 사회 전반의 우려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친환경 상품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점차 강화되는 환경 관련 규제는 공급망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들의 규제 준수 관련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높아지는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점차 강화되는 환경관련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이에 수반되는 비용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의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높은 품질, 적정한 가격을 모두 갖춘 혁신적 친환경 상품(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체)의 개발이 시급하다. 공급망 전체의 경쟁력이 개별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현 시대 (Gilmore 2006)에 공급망 차원의 친환경 상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개발이 우선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시대에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을 개발하여야 하며, 이러한 역량은 기업의 시장 지향적 문화를 바탕으로 개발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을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기능 간 조정의 세 가지 차원성으로 구분한 후,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이 기능 간 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능 간 조정은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한다. 또한 기능 간 조정은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과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 역량 간 관계를 매개함을 제안한다. 총 93개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한 가설 검증 결과, 기능 간 조정은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은 물론,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과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공급망 내의 전통적 주요 이해관계자인 고객 및 경쟁자로부터 적극적으로 시장 정보를 획득하여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이 친환경 맥락에서도 핵심 성공요인임을 새삼 일깨워준다. 또한 공급망 내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획득한 시장정보는 기업 내 이해관계자인 관련부서 간 의견교환을 통해서만 기업의 역량으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급망 전체의 친환경 상품 개발은 결국 공급업체의 역량에 의존함을 감안하여 공급업체 선정 시 그 업체의 친환경 상품혁신 개발 역량을 평가함은 물론 그 선행 조건으로써의 시장지향성 정도를 평가하여야 함을 보여준다. As environmental issues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concern, consumers have increasingly demanded eco-friendly or green products at reasonable price. In addition, ever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push up firm’s costs for environmental conformance. To cope with ever-increasing consumer’s complex needs and cut conformance costs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maintaining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supply chain partner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the age of supply chain vs. supply chain competition, it is ideal to develop supply-chain-wide capability for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reality, however, a supply chain as a whole cannot do so without accumulating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of each partner. Therefore, we focus on theorizing and empirically testing potenti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individual supply chain partner’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specific, we suggest a firm’s market orientation as a critical prerequisite for it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development. Specifically, we propose that the firm’s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should precede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that is a critical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to absorb green product innovation information. In turn,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is a key contributing process for the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is one of the seminal studies that examines the role of market orientation in developing a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e three dimensions of market orientation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market orientation, and empirically validated that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should be followed by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 KCI등재

        그리스,로마신화 속 여신의 여성상이 반영된 창작 업스타일 연구

        이수민 ( Su Min Lee ),김의형 ( Eui Hyoung Kim ),김선형 ( Sun Hyoung Kim ) 한국미용학회 2016 한국미용학회지 Vol.22 No.3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mage of women in Greek and Roman mythology by classifying female archetypes using the goddesses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based on social ideology and produced creative upstyles using those images. The female arche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ero ideology, innocence ideology, and love ideology. Utilizing the three goddesses who are considered to reflect these ideologies-Athena, the Goddess of War, Artemis, the Goddess of the Moon and the Hunt, and Aphrodite, the Goddess of Love and Beauty-their styles were creatively reinterpreted and upstyles created. Athena had a U-shaped bow and the upstyle created based upon this used binding and rolling. The style of the Goddess of War was made using the colors black and brown. Artemis used back combing and twisting techniques and a mahogany color expressed this Goddess of the Moon and the Hunt. Aphrodite expressed beauty using curves and an applied pink color, with back combing and a semi-circular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female images in Greek and Roman mythology and to enhance the value of creative upstyles that link ancient times and modern times by investigating the upstyles reflecting the female images in such mythology.

      • 사과 병해충 분류를 위한 CNN 기반 모델 비교

        이수민 ( Su-min Lee ),이유현 ( Yu-hyeon Lee ),이은솔 ( Eun-sol Lee ),한세윤 ( Se-yu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온대 과일 작물 중 하나인 사과의 생산성과 품질은 병해충 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많은 전문 지식과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다양한 병해충을 진단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분석에 큰 효율을 보인 딥러닝 기반 CNN 들을 비교 분석하여 사과의 병해충 여부를 판별하고 최적의 모델을 제시한다. 딥러닝 기반 CNN 구조를 가진 AlexNet, VGGNet, Inception-ResNet-v2, DenseNet 을 채택해 사과 병해충 분류 성능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DenseNet 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